소개글
"도너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도넛 본고장의 한국 브랜드 성공 비결
1.1. 건강한 맛에 한류 열풍까지 더해져
1.2. 기름 사용 최소화와 담백함 강조
2. GDP 중심에서 도넛 중심으로의 전환
2.1. 경제의 목적
2.2. 경제성장의 문제점
2.3. 도넛 이론의 대두
3. 도넛 안으로 들어가기 위한 과제
3.1. 사회적 기초와 생태적 한계
3.2. 인구, 분배, 열망, 기술, 거버넌스의 조정
4. 도넛 안에서의 삶을 향한 노력
4.1. 역동적 균형상태로의 진입
4.2. 비전의 표현을 위한 새로운 언어와 그림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도넛 본고장의 한국 브랜드 성공 비결
1.1. 건강한 맛에 한류 열풍까지 더해져
건강한 맛에 한류 열풍까지 더해지면서 바다를 건너간 한국 도넛에 대한 현지의 관심이 크다는 것이다. 바야흐로 세계는 국가 간의 마찰로 인한 전쟁과 높은 인플레이션, 그리고 세계 강대국들 간의 패권 전쟁으로 인류 역사상 유례 없는 격동의 혼란기를 겪고 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도 한국 도넛 브랜드들은 건강한 맛과 한류 열풍의 시너지 효과로 미국 현지에서 주목받고 있다. K-도넛은 기름 사용을 최소화하고 담백함을 강조하는 등 기존 도넛들과 차별화된 점을 내세우며 현지 소비자들을 공략하고 있다. 이처럼 건강한 맛과 한류 열풍이 결합되면서 한국 도넛은 미국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발견하고 있다.
1.2. 기름 사용 최소화와 담백함 강조
K-도넛은 기름 사용을 최소화하고 담백함을 강조하는 등 기존 도넛들과 차별화된 점을 내세우며 현지 소비자들을 공략하고 있다. 도넛 제조 시 기름 사용을 최소화하여 건강한 맛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는 최근 건강을 중요하게 여기는 밀레니얼 세대의 선호도에 부합한다. 기존의 기름에 튀긴 방식으로 만들어진 도넛은 이들에게 외면받으며 부진을 겪어왔다. 이에 K-도넛은 담백한 맛으로 현지인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또한 한류 열풍이 더해지면서 K-도넛에 대한 현지의 관심이 크다. 건강한 맛과 K-문화의 매력이 결합되어 K-도넛의 성공을 이끌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기름 사용을 줄이고 담백함을 강조하는 차별화 전략이 현지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며 도넛 본고장 진출의 성공 요인이 되고 있다.
2. GDP 중심에서 도넛 중심으로의 전환
2.1. 경제의 목적
경제학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고대 그리스의 크세노폰에 따르면, 경제학의 목적은 가정관리와 재물 획득술이다. 이후 1767년 제임스 스튜어트가 정치경제학 개념을 제안하면서 경제학의 중요 목적은 모든 주민이 생계를 유지할 일정한 자금을 확보하고, 모든 불안을 해소하며, 사회의 여러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상호 의존하며 필요한 것들을 교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10년 후 애덤 스미스 등장 이후, 경제학의 목적은...
참고 자료
K-도넛, 본고장 입맛을 훔치다
박시진 저, 서울경제, 2022
도넛경제학 | 케이트 레이워스(홍기빈 역) | 학고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