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왕벚나무

  • 1
  • 2
  • 3
  • 4
  • 5
  • 6
  • 7
>

상세정보

소개글

"제주왕벚나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제주왕벚나무 개요
1.2. 제주벚나무와 왕벚나무의 관계

2. 제주왕벚나무의 특성
2.1. 왕벚나무의 형태적 특징
2.2. 왕벚나무의 생육환경
2.3. 왕벚나무의 분포

3. 왕벚나무 원산지에 대한 연구
3.1. 한라산 왕벚나무 관찰 결과
3.2. 왕벚나무 유전적 분석 연구

4. 제주도 왕벚나무의 유래
4.1. 제주벚나무(사옥)의 발견
4.2. 왕벚나무와 제주벚나무의 관계

5. 결론
5.1. 제주도 왕벚나무의 중요성
5.2. 향후 왕벚나무 보존 방안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제주왕벚나무 개요

제주왕벚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제주도 및 전라남도 대둔산 일대에 자생하는 귀중한 자원이다. 제주도 남제주군 남원읍 신예리의 왕벚나무 자생지와 제주시 봉개동의 왕벚나무 자생지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제주도 왕벚나무는 높이 15m, 직경 70cm에 달하는 큰 나무이며, 옆으로 벗겨지는 암자갈색 수피와 잔털이 없는 소지를 특징으로 한다. 잎은 어긋나며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바소꼴로 끝이 급하게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4~5월에 분홍색 또는 백색 꽃이 피며, 6~7월에 둥근 적색에서 흑색으로 익는 열매를 맺는다. 왕벚나무는 양지 바르고 배수가 좋은 곳에서 잘 자라지만 대기 오염에는 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2. 제주벚나무와 왕벚나무의 관계

제주도에 자생하는 벚나무는 왕벚나무의 변종 혹은 기본종으로 알려져 있다. 1907년 프랑스의 타케 신부가 제주도 한라산에서 발견한 제주 사람들이 '사옥'이라고 부르는 식물을 유럽으로 보냈고, 이것이 벌링 대학교의 케네 교수에 의해 왕벚나무의 변종으로 발표되었다. 이후 한라산 남쪽 사면 해발 600m 지점에서 사옥과 왕벚나무가 동시에 자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제주벚나무가 왕벚나무의 기본종으로 여겨져 왔다. 산림청 김찬수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한라산에는 관음왕벚나무, 한라왕벚나무, 탐라벚나무 등 3종이 자생하고 있는데, 이들 중 탐라벚나무를 제외하고는 모두 암술대에 털이 있다는 공통점을 보인다. 이러한 털의 분포 차이는 이들 종이 교잡에 의해 생성되었음을 시사한다. 즉, 제주벚나무가 왕벚나무 형성과정에 관여한 기본종일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분자유전학 연구를 통해 한라산 왕벚나무와 일본 왕벚나무 간 유전적 근연관계가 밝혀져, 왕벚나무의 원산지가 제주도라고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제주도에 자생하는 제주벚나무가 왕벚나무의 기본종 혹은 유사한 유전적 근원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2. 제주왕벚나무의 특성
2.1. 왕벚나무의 형태적 특징

왕벚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이다. 잎은 호생하며 장타원형 또는 도란형으로 길이 10cm 안팎이다. 잎 끝은 급첨두이며 잎 기부는 원저 또는 넓은 설저이고 털모양의 거치나 복세치가 있다. 잎 양면과 잎자루에 털이 없으며, 잎 뒷면은 회록색을 띤다. 잎자루의 길이는 2~3cm로 2~3개의 밀선이 있다. 꽃은 4월에 잎과 거의 동시에 피며 산방화서 또는 산형화서에 3~5개씩 달리며 담홍색 또는 백색이다. 화경과 꽃받침 등에 털이 없으며 화축에 포가 있다. 열매는 둥글고 6~7월경에 적색에서 흑색으로 익는다. 수피는 암갈색으로 옆으로 벗겨지고, 소지는 털이 없으며 암갈색이다.


2.2. 왕벚나무의 생육환경

왕벚나무는 양지 바르고 배수가 좋은 곳에서 잘 자라며, 대기 오염에는 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주도와 전라남도 대둔산에서 자생하며, 제주도 남제주군 남원읍 신예리와 제주시 봉개동, 전라남도 해남군 산삼면 구림리의 왕벚나무 자생지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왕벚나무는 수명이 약 60년 정도이며, 자연 상태에서의 결실률이 4.2%로 매우 낮은 편이어서 왕벚나무 증식이 어려운 상태에 놓여 있다. 따라...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자생식물 [native plants, 自生植物]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익소라 [west indian jasmine]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익소라 (한국화재식물도감, 하순혜, 탕카)
[네이버 지식백과] 은행나무 [ginkgo] (식물학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목련 [Kobus magnolia, 木蓮]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벚나무 [Oriental cherry]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네이버 지식백과] 벚나무 [cherry tree] (식물학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느티나무 [saw-leaf zelkova] (식물학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장미 [Rose, 薔薇] (경기도농업기술원, 손에 잡히는 생태수목도감, 조경식물소재도감, 네이버 포토갤러리)
[네이버 지식백과] 철쭉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네이버 지식백과] 개나리 [Korean Forsythia] (국립중앙과학관 - 식물정보, 신재성, 유난희, 신현탁, 손에 잡히는 생태수목도감, 조경식물소재도감, 네이버 포토갤러리)
[네이버 지식백과] 팬지 [pansy]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메리골드 [Marigold] (경기도농업기술원, 네이버 포토갤러리)
[네이버 지식백과] 만수국 [French marigold, 萬壽菊]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천수국 [African marigold, 千壽菊]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디기탈리스 [Grecian Foxglove] (허브도감, 2006. 1. 5., 하순혜)
[네이버 지식백과] 데이지 [Daisy]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아프리카봉선화 [─鳳仙花]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코스모스 [common cosmos]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수국 (우리 생활 속의 나무, 2008. 3. 25., 정헌관)
[네이버 지식백과] 튤립 [tulip]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수선화 [Narcissus] (경기도농업기술원, 네이버 포토갤러리)
[네이버 지식백과] 아네모네 [anemone]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프리지아 [Freesia] (경기도농업기술원, 네이버 포토갤러리)
[네이버 지식백과] 양파 (텃밭백과(유기농 채소 기르기), 2012. 3. 2., 박원만, 김인경)
[네이버 지식백과] 백합 [Madonna Lily] (허브도감, 2006. 1. 5., 하순혜)
[네이버 지식백과] 감자 [POMME DE TERRE] (그랑 라루스 요리백과, 강현정, 김미선)
[네이버 지식백과] 감자 (텃밭백과(유기농 채소 기르기), 2012. 3. 2., 박원만, 김인경)
[네이버 지식백과] 고구마 [sweet potato]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고구마 (텃밭백과(유기농 채소 기르기), 2012. 3. 2., 박원만, 김인경)
[네이버 지식백과] 대나무 (우리 생활 속의 나무, 2008. 3. 25., 정헌관)
[네이버 지식백과] 금호선인장 (경기도농업기술원, 네이버 포토갤러리)
[네이버 지식백과] 부채선인장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칼랑코에 [Kalanchoe] (경기도농업기술원, 네이버 포토갤러리)
[네이버 지식백과] 알로에 (두산백과)
“익소라” https://en.wikipedia.org/wiki/Ixora
“익소라” http://www.nongsaro.go.kr
“은행나무” https://namu.wiki/w/%EC%9D%80%ED%96%89%EB%82%98%EB%AC%B4
“목련” https://namu.wiki/w/%EB%AA%A9%EB%A0%A8
“벚나무” https://namu.wiki/w/%EB%B2%9A%EB%82%98%EB%AC%B4
“느티나무” https://namu.wiki/w/%EB%8A%90%ED%8B%B0%EB%82%98%EB%AC%B4
“장미” https://ko.wikipedia.org/wiki/%EC%9E%A5%EB%AF%B8
“철쭉” https://ko.wikipedia.org/wiki/%EC%B2%A0%EC%AD%89
“개나리” https://ko.wikipedia.org/wiki/%EA%B0%9C%EB%82%98%EB%A6%AC
“코스모스” https://namu.wiki/w/%EC%BD%94%EC%8A%A4%EB%AA%A8%EC%8A%A4
“코리우스” https://www.pinterest.co.kr/pin/707065210226435041/
“수선화” https://namu.wiki/w/%EC%88%98%EC%84%A0%ED%99%94
“아네모네” https://namu.wiki/w/%EC%95%84%EB%84%A4%EB%AA%A8%EB%84%A4
“프리지아” https://ko.wikipedia.org/wiki/%ED%94%84%EB%A6%AC%EC%A7%80%EC%96%B4
“양파” https://namu.wiki/w/%EC%96%91%ED%8C%8C
“백합” https://namu.wiki/w/%EB%B0%B1%ED%95%A9
“히아신스” https://namu.wiki/w/%ED%9E%88%EC%95%84%EC%8B%A0%EC%8A%A4
“감자” https://namu.wiki/w/%EA%B0%90%EC%9E%90
“대나무”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B%82%98%EB%AC%B4
“칼랑코에” https://namu.wiki/w/%EC%B9%BC%EB%9E%91%EC%BD%94%EC%97%90
“알로에” https://namu.wiki/w/%EC%95%8C%EB%A1%9C%EC%97%90
박원만, 텃밭백과(유기농 채소 기르기) , 들녘, 2012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