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도면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상세정보

소개글

"병원도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병원도면 개요
1.2. 의료 민영화와 공공화 쟁점
1.3. 비판의 긍정성

2. 정치의 삼각형을 통한 의료 민영화와 공공화 분석
2.1. 정치의 삼각형 개념
2.2. 의료 민영화와 공공화에 대한 정치의 삼각형 적용
2.3. 자신이 지지하는 의료의 방향

3. 비판의 긍정성 사례
3.1. 악마의 옹호자 개념
3.2. 마더 테레사 수녀 비판 사례

4. 건물 붕괴 관련 사례 고찰
4.1.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4.2. 광주 화정아이파크 아파트 붕괴

5. 건물 붕괴 예방 정책
5.1. 현재 시행중인 정책
5.2. 사례 관련 정책 제시

6. 건물 붕괴-재난사고와 간호사의 역할
6.1. 건물 붕괴-재난사고의 간호사 필요성
6.2. 재난관리 연속선과 간호사 역할
6.3. 예방/완화, 준비, 대응, 회복 단계별 간호사 역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병원도면 개요

병원 도면은 병원 시설의 구조와 배치를 시각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병원 도면에는 다양한 부서와 공간의 위치, 크기, 동선 등이 상세하게 표현되어 있어 병원 내부의 전반적인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병원 도면은 병원의 공간 활용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병원 관계자들은 병원 도면을 토대로 공간 계획을 수립하고, 병원 운영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병원 도면은 환자와 보호자가 병원 시설을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병원 도면은 병원 설계, 건축, 운영 등에서 필수적인 도구라고 할 수 있다.


1.2. 의료 민영화와 공공화 쟁점

의료 민영화는 매우 포괄적인 개념이다. 의료 민영화의 형태는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의료기관의 소유를 공공이 아닌 민간으로 이전하는 것이고, 둘째, 의무가입 규정이 있는 건강보험 제도를 의무가 아닌 선택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셋째, 비영리법인으로 운영되고 있는 민간 병원에 외부 영리 자본을 유입시켜 병원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논쟁이 되고 있는 의료 민영화는 세 번째 형태에 속한다. 이와 관련한 대표적인 사례가 제주도에서 국내 1호 영리병원으로 추진되었던 녹지국제병원이다. 녹지국제병원은 내국인 진료 제한 조건으로 병원 개설 허가를 받았지만, 병원 측이 이를 수용하지 못하여 개설이 미뤄졌고 결국 제주도는 개설 허가를 취소하였다. 이후 법정 다툼 끝에 2022년 4월 법원이 녹지국제병원 측의 손을 들어주었지만, 제주도는 다시 6월 개설 허가를 취소하였다.

의료 민영화에 반대하는 측에서는 의료 민영화가 추진될 경우 병원이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할 것을 우려한다. 이에 대해 정부에서는 의료법인은 지도감독기관의 통제를 받기 때문에 반대 측 주장이 지나친 우려라고 이야기한다.

정치의 삼각형으로 해당 이슈를 살펴보면, 의료법인의 영리 행위를 인정해야 한다는 철학을 추구하는 세력과 의료법인의 의료 행위를 제한해야 한다는 철학을 추구하는 세력 간의 정치적 논쟁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는 기본적으로 의료 민영화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의료 서비스는 인간이 인간다운 삶을 살아가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서비스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경우 의료 민영화로 인해 민간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사람들은 치료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반면 영국의 국가보건 의료서비스는 의료 서비스를 공공재로 인식하고 사회의 구성원들이 계층에 상관없이 누구나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는 점에서 나는 이러한 방식에 찬성한다.


1.3. 비판의 긍정성

영국의 철학자이자 정치경제학자이었던 존 스튜어트 밀은 자유론에서 악마의 옹호자(대변인)라는 개념을 소개한다. 악마의 옹호자란 다수파를 향하여 비판과 반론을 의도적으로 제기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악마의 옹호자라는 용어는 가톨릭교회에서 사용하는 말이었는데 존 스튜어트 밀은 이를 차용하여 건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비판과 반론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악마의 옹호자와 관련하여 카톨릭에서 가장 유명한 사례는 마더 테레사 수녀의 시복을 앞두고 무신론을 옹호하는 크리스토퍼 히친스를 초청하여 테레사 수녀에 대한 비판, 즉 악마의 옹호자로서의 역할을 요청한 것이다. 이미 히친스는 자신의 책에서 마더 테레사 수녀를 비판한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이력을 인정받아 악마의 옹호자가 되었다. 히친스에 따르면 자신이 마더 테레사 수녀에 대해 비판을 하는 과정에서 카톨릭의 성직자들은 자유롭게 발언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고 그에게 압박을 가하지도 않았다고 한다. 이에 히친스는 카톨릭에 대한 본인의 평소 생각이나 무신론적 입장을 차치하더라도 이러한 검증 시스템 자체가 매우 좋았다는 평가를 남겼다.

사람들은 흔히 비판을 부정적인 것이라고 인식한다. 하지만 비판은 인간의 본질로서 비판하지 않은 인간은 인간다울 수 없고 비판이 허용되지 않는 사회는 결코 존재할 수 없다. 악마의 옹호자와 같은 사례가 아니더라도 사회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늘 자유로운 비판이 허용되어야 한다. 누군가는 대안이 없는 비판은 의미가 없다고 말하지만 그러한 비판일지라도 특정 사안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분명 의미가 있다. 즉, 비판은 인간의 본질이자 사회 발전의 필수적인 요소이며, 때로는 부정적으로 여겨질지라도 궁극적으로는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2. 정치의 삼각형을 통한 의료 민영화와 공공화 분석
2.1. 정치의 삼각형 개념

정치의 삼각형은 정치를 특정 세력이 자신의 철학을 정책으로 관철하는 과정으로 해석한다. 정치의 삼각형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는 세력, 철학, 정책이다.

세력은 정치 참여 주체로, 노동자, 정치인, 일반 시민 또는 특정 이해관계를 위해 결합된 조직일 수 있다. 세력은 자신들의 이상을 일상으로 만들고자 한다.

철학은 세력의 생각 또는 이익을 의미하며, 현재 사회를 어떻게 바라보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이념의 스펙트럼은 자본주의 사회를 기초로 매우 넓을 수 있다.

정책은 정치의 결과물로서 힘이 강한 세력에 의해 만들어진다. 정책은 그 세력에 더 큰 이득을 안겨주며, 약한 세력은 정치적 관계를 뒤집기 위해 노력한다.

제도는 특정 세력의 철학이 반영된 결과이며, 정치에 의해 언제든 변화할 수 있다. 개인은 정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자신에게 유리한 정책을 만드는 데 참여할 필요가 있다.


2.2. 의료 민영화와 공공화에 대한 정치의 삼각형 적용

의료 민영화는 매우 포괄적인 개념이다. 의료 민영화의 형태는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의료기관의 소유를 공공이 아닌 민간으로 이전하는 것으...


참고 자료

사회복지쟁점세미나 멀티미디어 강의 1강, 2강
이동건 기자. 녹지병원 법정 다툼서 제주도 2차 개설허가 취소 쟁점 떠오른 이유. 제주의소리, 2022년 9월 28일자.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408144 (검색일: 2022.9.29.)

강현석. (2022.2.22.). “하중 못 버틴 PIT층 바닥서 붕괴 시작”…경찰, 광주 ‘화정 아이파크’ 원인 분석. 경향신문. https://www.khan.co.kr/local/local-general/article/202202221233001.
국토교통부. (2022). 현대산업개발 아파트 신축공사 붕괴사고 사고조사 보고서.
국토교통부. (2022). HDC 아파트 붕괴사고 주요 원인은 “무단 구조변경”[보도자료], 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id=95086577.
뉴스1. (2022.12.21.). '6명 사망' 광주 화정아이파크 시공중 붕괴…돈이 초래한 인재. 파이낸셜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2212210602574034
서울특별시. (1996).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백서.
연합뉴스. (1995.6.29.). 三豊백화점 붕괴사고 현장.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999026?sid=102.
국가법령정보센터, (2024.05.17. 시행), 건축법.,
https://www.law.go.kr/%EB%B2%95%EB%A0%B9/%EA%B1%B4%EC%B6%95%EB%B2%95
국가법령정보센터, (2021.09.17. 시행),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https://law.go.kr/%eb%b2%95%eb%a0%b9/%ec%8b%9c%ec%84%a4%eb%ac%bc%ec%9d%98%ec%95%88%ec%a0%84%eb%b0%8f%ec%9c%a0%ec%a7%80%ea%b4%80%eb%a6%ac%ec%97%90%ea%b4%80%ed%95%9c%ed%8a%b9%eb%b3%84%eb%b2%95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2024.04.15.) 안전점검의 종류 및 실시시기.,
https://easylaw.go.kr/CSP/CnpClsMain.laf?csmSeq=1169&ccfNo=2&cciNo=1&cnpClsNo=2
양정은. "한국형 재난간호 핵심역량 측정도구 개발 (일반 간호사 대상으로)." 국내박사학위논문 가천대 대학원, 2022. 인천
홍석기. "사회적 재난이 출생결과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서울
한국일보. (2024, 04,04), 원폭급 강진 속 신생아 곁 지킨 간호사들… 수백명 고립에도 구출 난항,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40415540004698?did=NA
NEWSIS. (2006.09.27.), 환자이송훈련하는 일선 현직간호사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0191527?sid=102
Al Thobaity, A., Plummer, V., & Williams, B. (2017). What are the most common domains of the core competencies of disaster nursing? a scoping review. International Emergency Nursing, 31, 64-71., https://doi.org/10.1016/j.ienj.2016.10.0
03
Jennings-Sanders, A., Frisch, N., & Wing, S.(2005). Nursing students'perceptions about disaster nursing. Disaster Management& Response : DMR : An Official P ublication of the Emergency Nurses Association, 3(3), 80-85.
Chapman, K., & Arbon, P.(2008). Are nurses ready?: Disaster preparedness in the acute setting. Australasian Emergency Nursing J ournal, 11(3), 135-144.
김서현. "간호사의 재난간호역량과 안전통제감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우석대 일반대학원, 2017. 전북특별자치도
유명란, 이순영, 정유미, 연효정(2007). 모의상황을 이용한 재난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 군진간호연구, 25(1), 1-30
지역사회간호학 제4판., 차남현, 최인희 외.,현문사., 2024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