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개요
2.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목적
2.2.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 배경
3.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문제점
3.1. 영리 목적의 민간 요양원 난립
3.2. 감염의 사각지대인 노인요양시설
3.3. 요양보호사 전문성 및 처우 문제
4.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개선과제
4.1. 민간 요양시설에 대한 관리 강화
4.2. 요양보호사 처우 개선
4.3. 재원조달방식의 실효성 확보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회보험제도라는 것은 나이가 들거나 노인성 질병 같은 이유 등으로 혼자서 일상생활을 하기 힘든 노인 등에게 신체활동이나 가사활동을 지원해주는 등 장기요양급여를 제공하는 것이다. 노인을 부양하는 것은 그동안 가족들만 짊어진 짐이었는데, 2008년 7월부로 그 짐을 사회도 함께 나누어 짊어지겠다는 뜻에서 시행된 제도라고 할 수 있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에서는 보호가 필요한 노인들에게 제공하는 공식적 혹은 비공식적인 지원 모두를 의미하며, 각 개인들의 집과 시설에서 이루어지는 의료보호와 요양보호, 사회적인 보호 모두를 포괄하는 개념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본론에서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어떤것이며 문제점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2.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개요
2.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목적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목적은 나이가 들거나 노인성 질병 등의 이유로 혼자서 일상생활을 하기 어려운 노인 등에게 신체활동이나 가사활동을 지원해주는 등 장기요양급여를 제공하여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노인 부양의 책임이 가족에게 전적으로 달려있었으나, 이러한 가족 구조의 변화로 인해 더 이상 가족만으로는 노인을 돌볼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국가가 노인 돌봄에 대한 책임을 일정 부분 가지고 나서게 된 것이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급격한 고령화와 함께 증가하는 요양 필요 노인들에게 사회가 함께 책임을 지고 지원하고자 하는 것이 이 제도의 취지인 것이다.
2.2.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 배경
급격하게 고령화되어가고 있는 사회로 인해서 요양이 필요한 노인들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또한 세계적으로도 평균수명은 증가하고 있고, 한국 역시 마찬가지다. 평균수명이 나날이 증가하여, 1960년대에 평균 52.6세였던 것에서 2000년대에 이르러서는 76.5세를 넘었다. 이렇게 노후가 길어지면 노인성질병에 의해 의존적인 생활을 하게되는 노인인구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증가하는 노인에 비해서 돌봄의 손길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그도 그럴것이 사회 전반적으로 가족 구성원은 점차 핵가족화 되어가고 있고, 여성들은 사회참여 증가로 인해서 집에 있는 시간이 적어지고 사회활동으로 인해서 노인을 돌볼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정에서의 노인 돌봄은 이제 한계에 도달했다. 특히나 노인을 돌보는 가정에서는 흔히 가족간의 갈등이 많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노인을 돌봄으로서 발생하는 비용문제와 더불어, 치매나 중풍 등의 질환을 앓고 있는 노인들을 돌봄으로서 발생하는 감정의 소모 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도입되었고 현재도 유지되고 있다. 다시말해 점차 가속화되어가는 고령화로 인해서 발생하는 노후에 ...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 노인장기요양보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38286&cid=43667&categoryId=43667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64734&cid=42107&categoryId=42107
윤희숙 외 3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개발연구원, 2010.
최순옥 외 4명. (2016). 노인복지의 이해. 태영출판사.
최충웅. (2019. 07. 10). ‘현대판 고려장(高麗葬) 요양원’의 오명을 벗어나야. 대한식품의약신문.
권지담. (2019. 05. 13). 숨 멈춰야 해방되는 곳…기자가 뛰어든 요양원은 ‘감옥’이었다. 한겨레.
오대양. (2019. 07. 05). 노인의 밥상을 노리는 자들, 식자재 리베이트. 뉴스타파.
엄명용,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00
김태백(2018), 노인장기요양보험서비스의 질적향상을 위한 방안연구, 상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경수(2017),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정책적 개선방안, 대진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강영실(2012), <사회복지정책>, 서울 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