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담낭암 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2.1. 질병의 정의
2.2. 원인
2.3. 병태생리
2.4. 증상
2.5. 진단
2.6. 치료 및 간호
3. 간호사례
3.1. 간호사정도구
3.1.1. 일반정보
3.1.2. 입원상태 및 병력
3.1.3. 건강정보
3.1.4. 신체기관 문진
3.1.5. 정신적, 정서적 상태
3.2. 진단적 검사 및 기타 자료
3.3. 치료 및 질병경과
3.4. 간호과정적용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담낭암은 담낭에 생기는 암세포로 이루어진 종괴이다. 대부분 선암종 형태로 발생하며, 암이 진행되면서 주위 조직이나 장기로 직접 확산되거나 림프관을 통해 림프절 전이, 혈관을 통해 전이될 수 있다. 담낭암은 특별한 증상이 없어 초기 진단이 어려우며, 발견 당시에는 이미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다. 증상으로는 담낭염과 담석증 발생, 간헐적 상복부 통증, 식욕부진, 구역, 구토, 체중감소, 황달, 복부 종괴 촉진 등이 있다. 담낭암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담석, 만성 담낭 염증, 화생, 환경인자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단을 위해서는 초음파, CT, MRI 등의 영상검사와 ERCP, PTC 등의 담도계 검사, CA 19-9 등의 종양표지자 검사 등이 이용된다. 치료는 수술이 주요 방법이며, 암의 진행 정도에 따라 담낭절제술, 간 절제술 및 림프절 절제술 등이 시행된다.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 치료도 보조적으로 이용된다. 담낭암은 조기 발견이 어려워 예후가 좋지 않은 편이다.
2. 문헌고찰
2.1. 질병의 정의
담낭은 간에서 생산된 담즙을 십이지장까지 운반하는 담관과 담즙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주머니와 같은 공간이다. 담낭암은 이러한 담낭에서 생기는 암세포로 이루어진 종괴를 말한다. 담낭암은 대부분 선암종의 형태로 나타나며, 암이 진행되면서 주위 조직이나 장기로 직접 확산된다. 림프관을 따라 림프절 전이를 일으키거나 혈관을 통해 전이되기도 한다.
2.2. 원인
담낭암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여러 위험요인이 있다.
담낭결석이 있거나 과거 담낭결석의 병력이 있는 경우 담낭암 발생 위험이 5~10배 정도 높다. 담낭 점막의 만성적인 자극과 염증도 위험요인이 된다. 그 외에도 담낭 폴립, 이자관과 담관의 합류 이상, 감염, 약물, 발암물질 등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이 관련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2.3. 병태생리
담낭암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담낭암은 대부분 선암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선암종은 담낭 세포에서 발생한다. 암이 진행되면서 주위 조직이나 장기로 직접 침윤되며, 림프관을 따라 림프절 전이를 일으키거나 혈관을 통해 전이되기도 한다.
담낭암은 침윤성 형태와 유두형 형태로 구분된다. 침윤성 형태는 육안으로 봤을 때 담낭벽이 두툼해진 상태이고, 유두형 형태는 결절성 암과 담낭 벽 침윤이 거의 없는 상태이다. 유두형 암은 담낭 내강을 채우거나 담관 내강을 따라 퍼질 수 있으며 비교적 예후가 좋다.
담낭암은 대게 진행되면서 주변 장기로 직접 침윤되거나 림프절 전이, 혈관 전이가 일어난다. 이에 따라 담도, 간, 십이지장, 대장 등의 장기 폐색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전신으로 퍼져나가 다양한 증상을 유발한다.
2.4. 증상
담낭암의 초기 증상은 대부분 비특이적이다. 담낭암이 진행되면서 일부 담낭염과 담석증이 발생할 수 있다. 간헐적인 상복부 통증, 식욕부진, 구역, 구토, 체중 감소, 황달, 오심 등이 나타난다. 복부에서 덩어리를 촉진할 수 있으며, 십이지장이나 대장의 폐색이 발생할 수 있다.
2.5. 진단
담낭암은 담낭 내부에 생기는 암세포로 이루어진 종괴이다. 담낭암은 주로 선암종 형태로 나타나며, 암이 진행되면서 주위 조직이나 장기로 직접 확산된다. 림프관을 따라 림프절 전이를 일으키거나 혈관을 통해 전이되기도 한다.
담낭암의 정확한 발병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담석증, 만성적인 자극과 염증, 약물, 발암물질 등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이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담석증 환자는 담낭암 발생 위험이 5~10배 정도 높다.
담낭암은 초기에 특별한 증상이 없어 조기 진단이 어렵다. 체중 감소, 식욕부진, 오심, 복통, 황달 등의 비특이적인 증상이 나타나며, 간헐적인 상복부 통증이 있을 수 있다. 십이지장이나 대장의 폐색도 생길 수 있다.
담낭암의 진단을 위해서는 초음파검사, CT, MRI, ERCP, PTC, EUS, PET 등의 검사가 활용된다...
참고 자료
황옥남,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7, 486p
국가암정보센터, 『담낭암』, 2022.10.03,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19/cancer/view.do?cancer_seq=3749
약학정보원, 『보령세프트리악손주2g』, 2022.10.03.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7079
약학정보원, 『아세타펜주』, 2022.10.03.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9051600084
약학정보원, 『미카르디스정 40mg』, 2022.10.03.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GGGGA5249
약학정보원, 『트리돌주 50mg』, 2022.10.03.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450A0335
약학정보원, 『이노엔0.9%생리식염주사액(1000mL)』, 2022.10.03.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CCCCC0273
약학정보원, 『콤비플렉스페리주(1100mL)』, 2022.10.03.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1831
약학정보원, 『맥페란주사액2ml』, 2022.10.03.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570A0304
약학정보원, 『페리올리멜엔4이주』, 2022.10.10.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2060700010
약학정보원, 『플라스마솔루션에이주』, 2022.10.10.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EEEEE0208
약학정보원, 『낙소졸정』, 2022.10.10.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3082200006
약학정보원, 『덱사메타손주5mg』, 2022.10.10.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350A0089
서울아산병원, 『리도카인 주 2%』, 2022.10.10.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XV-2LID20
김용석, 『췌담도 질환에서 항생제의 올바른 사용』, 대한췌담도학회지 19권4호, 대한췌장담도학회, 2014, 157-163p
황옥남,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7, 40~43p
송경애,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2021, 466~474p
황옥남,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7, 239~259p
박은영,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19, 22~25p
박은영,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19, 256~261p
박은영,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19, 253~255p
박은영,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19, 176~180p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2015, 원종순 외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제7판 2018, 황옥남 외
인체구조와 기능 해부생리학, 수문사, 2017, 이인모 외
최신기본간호학2, 수문사, 2017, 송경애 외
국가암정보센터 공식홈페이지
약학정보원 공식홈페이지
서울아산병원 공식홈페이지
성인간호학Ⅰ, 9판개정, 윤은자 외 공저, 수문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2015, 원종순 외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제7판 2018, 황옥남 외
인체구조와 기능 해부생리학, 수문사, 2017, 이인모 외
최신기본간호학2, 수문사, 2017, 송경애 외
국가암정보센터 공식홈페이지
약학정보원 공식홈페이지
서울아산병원 공식홈페이지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2012-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