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동물의 언어나 다른 기호는 갖고 있지 않은 인간만이 지니고 있는 배타적 특성에 대해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동물 언어와 인간 언어의 차이점
1.2. 인간 언어의 배타성
2. 본론
2.1. 의지적 행위와 본능적 행위의 차이
2.2. 창조적 행위와 기계적 행위의 차이
2.3. 의사소통의 양방향성과 단방향성의 차이
2.4. 문화성
2.5. 전위성
2.6. 유기체성
2.7. 자의성
2.8. 반복성
2.9. 지적능력
2.10. 이중분절
2.11. 역사성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동물 언어와 인간 언어의 차이점
동물 언어와 인간 언어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지적 행위와 본능적 행위의 차이이다. 인간의 언어 행위는 의지적인 행위이다. 반면 동물의 언어 행위는 본능적인 행위이다. 예를 들어 꿀벌은 꿀을 발견하면 반드시 그 위치를 알리는 춤을 추게 되는데, 이는 꿀벌의 본능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간은 같은 상황에서 그 사실을 말할지 말지를 자신의 의지에 따라 결정한다. 즉, 인간은 같은 상황이나 질문에 대해 각각 다른 언어적 반응을 보이는데, 이는 인간 언어 행위의 의지적 성격을 나타낸다. 반면 동물은 같은 상황에서 언제나 동일한 메시지를 전달하므로 본능적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창조적 행위와 기계적 행위의 차이이다. 인간의 언어적 행위는 창조적이다. 즉, 동일한 언어를 사용하더라도 그 실제 사용 양상은 개인마다 다르며, 한 사람의 말에는 그 사람의 생각과 개성이 담겨있다. 심지어 특정인의 언어 사용은 예술적 차원으로 승화되기도 한다. 이처럼 인간 언어는 각 개인이 창조적으로 구사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닌다. 그러나 동물의 언어는 같은 상황에서 언제나 동일한 메시지가 나오므로 기계적인 행위라고 볼 수 있다.
셋째, 의사소통의 양방향성과 단방향성의 차이이다. 인간의 언어적 행위는 양방향적이다. 내가 상대방에게 말하면 상대방도 나에게 응답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인간은 서로 메시지를 주고받는다. 하지만 동물 언어는 대부분 단방향적이다. 예를 들어 꿀벌이 꿀 위치를 알려주면 다른 꿀벌들은 그곳으로 가기만 할 뿐 알려준 꿀벌에게 다시 메시지를 보내지 않는다. 따라서 동물 언어는 단방향성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인간 언어와 동물 언어 간에는 의지적 행위 대 본능적 행위, 창조적 행위 대 기계적 행위, 양방향성 대 단방향성 등의 차이가 존재한다. 이러한 차이점들은 인간 언어만이 지닌 고유한 속성과 인간의 언어능력을 잘 보여준다.
1.2. 인간 언어의 배타성
인간의 언어는 동물 언어나 다른 기호 체계와는 질적으로 차이가 있다. 이는 인간 언어가 갖고 있는 배타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첫째, 인간의 언어는 인간의 문화를 온전히 반영하고 있는 문화성을 지니고 있다. 둘째, 인간의 언어는 현재의 상황을 넘어 과거와 미래의 상황까지도 언어로 전달할 수 있는 전위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거짓의 내용도 전달할 수 있다. 셋째, 인간의 언어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유기체성을 지니고 있다. 이는 언어의 역사성과도 연결된다. 넷째, 인간의 언어는 그 형태와 의미가 자의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는 자의성을 지니고 있다. 다섯째, 인간의 언어는 무한한 메시지를 ...
참고 자료
이희란, 이경재 외 1명. (2021). 언어학개론. 에이스북.
김석근(2010), 언어학개론, 경상대학교출판부.
정한석 외(2013), 기초 언어학 개론, 한국문화사.
김경학(2017), 언어의 이해와 활용, 신아사.
우윤식, 인간언어의 이해, 역락, 2004.
김경학, 언어의 이해와 활용, 신아사, 2017.
정한석 외, 기초 언어학 개론, 한국문화사,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