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일반과목문제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장애영유아보육교사의 자격기준
1.2. 장애아관련 기사 검색
1.3. 장애영유아보육교사의 역량 강화 방안
2. 본론
2.1. 장애영유아보육교사의 자격기준
2.1.1. 장애영유아보육교사 자격취득 요건
2.1.2. 장애영유아 보육교사 자격 제도 취득 현황
2.2. 장애아관련 기사
2.3. 그에 따른 장애영유아보육교사의 역량 강화 방안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장애영유아보육교사의 자격기준
장애영유아보육교사의 자격기준은 「영유아보육법」 제21조 제3항에 따른 보육교사 2급 이상의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으며 「고등교육법」 제2조에 따라 학교에서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특수교육 또는 재활 관련 교과목 및 학점을 이수한 사람이다. 2012년 8월 5일 이후 2015년 2월까지는 특수학교 관련 자격을 가지고 어린이집에서 장애영유아를 담당하고 있거나 특수교육 또는 재활 관련 교과목 및 학점을 이수 또는 인정받은 사람에 대해서는 80시간의 직무교육 또는 온라인 교육 40시간을 이수할 경우까지만 장애영유아보육교사로 인정하였다. 그러나 2015년 3월 1일부터는 온라인 교육과 직무교육을 통한 자격인정을 금지하고 특수교사와 장애영유아보육교사 자격을 갖춘 보육교사를 배치하고 있다. 2020년 기준 특수교육 교사 양성과정을 설치한 대학은 36개교이며, 승인인원은 1,493명이다. 19개 대학의 교육대학원에서 27개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장애영유아 보육학과는 2개 대학에만 있다.
1.2. 장애아관련 기사 검색
장애 영유아 전문가에 맡기라고? 보낼 곳이 있어야 보내죠. 장애아동은 매년 증가하지만 장애아동 보육서비스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전국에서는 장애영·유아를 보육할 시설을 갖춘 어린이집을 운영 중이다.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은 장애영·유아 12명 이상 보육시설을 갖춘 어린이집이며,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은 장애영·유아 3명 이상을 보육하는 어린이집이다. 해당 어린이집은 일반 보육뿐 아니라 언어·행동치료와 같은 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해 전체적인 돌봄을 맡는다. 인천지역 만 0∼6세 장애아동 수는 매년 증가 추세지만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은 부족해 장애아동 보육에 공백이 생기는 실정이다. 장애아전문어린이집과 관련 인력 부족은 전국적 문제지만 인천은 광역지자체 중에서도 어린이집 수가 적은 편이다. 비슷한 규모 광역지자체의 장애아전문어린이집 수는 대구 20곳, 부산 12곳, 광주 12곳이지만 인천은 7곳에 불과하다. 현재 인천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은 남동구 2곳, 서구 2곳, 미추홀구 2곳, 중구 1곳으로 나머지 6개 군·구에는 한 곳도 없다. 인천에 거주하는 자폐아동 부모 A씨는 거주지역 근처에 도움 받을 보육시설이 부족하다고 토로했다. A씨는 최근 아이 자폐 증상이 심각해지며 장애아전문어린이집으로 옮기는 게 어떻겠느냐는 권유를 받았다...
참고 자료
보육사업안내(2021). 장애영유아를 위한 보육교사의 자격기준.
강주희 (2010). 장애전담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승현, 원종례, 안의정(2021). 장애 영유아를 위한 예비보육교사의 사전실습 프로그램 모형 개발. 특수교육.
김태윤(2020). 장애 영유아를 위한 보육교사의 전문적 정체성 형성에 관한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수진, 이정화 <장애 영유아 활동 중심 통합교육과정>, 굿에듀북, 2007
신현기 <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 박학사, 2005
총신대학교 부속유치원 <장애유아 통합교육과정>, 학지사, 2011
김평기(2000). 대학교육원가 분석모형. 경영경제연구, 5(1), 51-87.
아주대학교 행정 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