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화, 드라마, 웹툰 캐릭터 분석의 중요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영화, 드라마, 웹툰의 중요성
1.2. IP 중심으로의 콘텐츠 산업 변화
1.3.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개념
2. 웹툰과 영상화의 차이점
2.1.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특성
2.2.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사례
2.3. 연상호 감독의 세계관 구축
3. OTT 서비스를 통한 웹툰의 영상화
3.1. 웹툰의 영상 매체 전환 추세
3.2. 웹툰과 드라마의 공통점과 차이점
3.3. OTT 서비스의 장단점
4. OTT 서비스의 영향
4.1. OTT 서비스를 통한 새로운 드라마 장르 탄생
4.2. 청소년 유해 콘텐츠 접근성 확대
4.3. 웹툰과 영상물의 상호작용 증가
5. 결론
5.1. OTT 서비스와 웹툰 기반 영상화의 시사점
5.2. 콘텐츠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영화, 드라마, 웹툰의 중요성
영화, 드라마, 웹툰은 현대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대중문화 콘텐츠이다. 이러한 콘텐츠들은 시대를 반영하고 대중의 흥미와 관심사를 반영하며, 많은 사람들에게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웹툰의 경우 2000년대 이후 급성장하며 새로운 만화 문화를 창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한 영화와 드라마 제작이 증가하면서 이들 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처럼 영화와 드라마, 웹툰은 시대의 흐름에 맞춰 끊임없이 변화하며 대중문화 콘텐츠 시장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콘텐츠들은 지적재산권(IP)을 기반으로 한 콘텐츠 산업의 핵심 영역으로 자리 잡고 있다. 미디어 플랫폼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매체를 통해 확장되면서 원작 IP를 활용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장르를 넘어 콘텐츠의 세계관을 구축하고 이를 다양한 플랫폼으로 확장하는 새로운 창작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콘텐츠의 부가가치와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영화, 드라마, 웹툰은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어 진화하며 대중문화 콘텐츠 산업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1.2. IP 중심으로의 콘텐츠 산업 변화
과거에는 하나의 원작을 다른 미디어 형태로 개작하는 것이 콘텐츠의 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온라인 환경이 고도화되면서 웹툰, 웹소설, 웹드라마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들이 여러 매체를 통해 창작 및 유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창작자들 역시 이러한 멀티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모색하고 있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란 하나의 콘텐츠가 서로 다른 매체에서 전개되면서 매체 특성에 맞는 새로운 스토리라인이 창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를 들 수 있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는 마블 코믹스의 캐릭터와 세계관을 활용하여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매체로 스토리를 확장하고 있다. 이처럼 하나의 IP(지적재산권)를 중심으로 다양한 콘텐츠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방식이 콘텐츠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확산은 콘텐츠 산업 전반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IP를 중심으로 한 다매체 확장 전략이 대두되면서 콘텐츠 제작사와 플랫폼 사업자 간 협력이 강화되고 있다. 또한 콘텐츠의 수명 주기가 연장되고 부가가치가 증대되는 등 새로운 수익 모델이 등장하고 있다. 이로 인해 콘텐츠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3.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개념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개념이다. 트랜스미디어란 매체와 매체를 가로지르는 스토리텔링을 의미한다. 과거에는 하나의 원전을 두고 이러한 원전을 다른 미디어의 형태로 개작하는 것이 콘텐츠의 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온라인 환경의 고도화로 웹툰과 웹소설, 웹드라마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들이 여러 종류의 매체를 타고 창작 및 유통되는 상황이 되었다. 따라서 창작자들 역시 이러한 방식에 걸맞은 다면적인 스토리텔링을 고민하고 있다. 즉 오늘날 이러한 매체 환경에 걸맞은 스토리텔링이란 "원스소멀티유즈(OSMU, One source multi-use)"와는 다소간 차별화되는 형태의 스토리텔링이어야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다른 매체에서 스토리텔링이 전개될 경우 그 매체의 특징에 맞는 스토리라인이 새롭게 창출되는 형태의 트랜스미디어 작법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마블 코믹스에 기반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 Marvel cinematic universe)의 사례라 할 수 있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는 이 중에서도 마블의 영화, 드라마를 중심으로 구축되어 있는 세계관이다. 다만 사실 "시네마틱 유니버스"란 영상물에만 그치지 않는다. 마블의 원작 그래픽노블 코믹스 및 이러한 원작의 캐릭터들에 기반하여 만들어진 여러 게임들, 또한 때때로는 코믹스나 게임의 스토리텔링을 그대로 가져와 쓰기도 하고 또 그를 변주해 나가기도 하는 영화와 드라마들이 서로 복잡하게 얽혀 있는 거대한 트랜스미디어 세계관을 총칭하는 것으로 이해해도 좋다. 이처럼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는 기본적으로 마블코믹스라는 만화를 원전으로 하되, 이것이 영화와 드라마 및 게임으로 뻗어나가며 콘텐츠 유니버스 세계관을 구축하고 있다.
2. 웹툰과 영상화의 차이점
2.1.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특성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서로 다른 매체를 넘나들며 하나의 거대한 세계관을 구축하는 특징이 있다. 서로 다른 매체들 간 상호작용과 확장이 일어나며, 각 매체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스토리텔링이 전개된다.
특히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서는 독자나 시청자가 능동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독자들은 서로 다른 매체에 걸쳐있는 이야기를 연결하고 해석하며, 자발적으로 세계관을 확장해 나간다. 이러한 과정에서 작품의 의미 형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또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기존 원전에 충실하면서도 매체 특성에 맞춰 새로운 이야기를 창출한다. 동일한 세계관 안에서 각 매체별로 다른 스토리라인이 전개되는데, 이를 통해 보다 풍부하고 확장된 세계관을 경험할 수 있다.
이처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하나의 원작을 다양한 매체로 확장시키며, 독자의 능동적 참여와 해석을 이끌어낸다. 이를 통해 기존 작품을 재해석하고 새로운 이야기를 창출하는 창의적인 형태의 스토리텔링이라 할 수 있다.
2.2.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사례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는 이른바 "어벤저스" 시리즈라 불리는 일련의 슈퍼히어로 영화, 또한 이러한 영화 시리즈에 등장하였던 개별 인물들이나 또는 언급만 되었던 인물들에 집중하고 있는 드라마들...
참고 자료
OTT연구소, <지옥>과 연상호, 그의 세계관, 2021.12.01.
KOFICE 문화소식,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유형, 2020.3.20.
테마파크버프, 디즈니랜드, 새로운 마블 뮤지컬 선보인다… 캡틴 아메리카 뮤지컬 ‘로저스’, 2023.2.27.
송예진. (2021). 마블의 트랜스 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 : 완결성과 확장성을 중심으로. 영상기술연구, 1(36), 117-138.
윤혜영. (2019). 트랜스미디어에 대한 개념적 고찰.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9(11), 644-652.
박인하, 「한국 웹툰의 변별적 특성연구」, 애니메이션연구, 2015.
송요셉, 「웹툰의현황및특성과웹툰기반osmu 활성화방안」, 코카포커스, 2012.
채희상, 「웹툰의 매체전환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4.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년 웹툰산업 현황 및 실태조사」, 2015.
한창완, 홍난지, 「웹툰의 영화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1.
서진욱, ‘네이버웹툰, '스튜디오N' 설립… 웹툰'영상화' 본격 추진’’, 머니투데이, https://www.msn.com/ko-kr/money/topstories/네이버웹툰-스튜디오n- 설립…-웹툰-영상화-본격-추진/ar-BBLGpXw, 2018.
조혜련, ‘웹툰이 드라마화 되는 과정’, 뉴스에이드,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7753219&memberNo=22401813&vType=VERTICAL, 2020.
김미라,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사례 연구 -웹툰 <미생>의 드라마 <미생>으로의 재매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61, 한국언론학회, 2015.06.16.
권호영 외 6인, 「방송영상 콘텐츠 유통플랫폼 해외 사례연구 : OTT서비스를 중심으로」, 『KOCCA 연구보고서』15-22,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 10. 31.
안희환, 「웹툰의 영향력과 파괴력을 아는가? 」, 『성결교회와 신학』 35권 0호,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2017.07.
이선정, 「드라마 PPL광고에서 상품의 돌출성과 프로그램과의 부합성이 소비자들의 인지, 태도, 검색 및 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 OOH광고학회 학술대회』, 한국 OOH광고학회, 2017.06.
한국콘텐츠진흥원, 「2020년 만화 이용자 실태조사」, 『2020 만화 이용자 실태조사 보고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20.12.21.
한혜경, 「웹툰의 아카이빙 방안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지』11, 디지털산업정보학회, 2015.
황성기, 「OTT서비스 규제기준에 관한 연구- 내용적 규제를 중심으로 -」, 『법학논총』 34권 1호,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김양수, 「장삐주, 드라마 ‘신병’작가 로 참여…개성·대사맛 살린다」, 『조이뉴스24』, 2021.11.30. ( https://www.inews24.com/view/1427672, 2021-12-02)
심현지, 「군대 하이퍼리얼리즘 연출로 흥행 1위를 달리는 넷플릭스 시리즈”D.P.” 」, 『소비자평가』, 2021. 09. 08. (http://www.iconsumer.or.kr/news/articleView.html?idxno=21289, 2021-21-01)
온라인 중앙일보, 「스낵컬처의 뜻은? “간편한 문화 생활” …늘어나는 이유는? 」, 『중앙일보』, 2014. 12. 16. (https://www.joongang.co.kr/article/16708295#home, 2021-2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