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 케이스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최초 생성일 2025.06.26
8,3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모성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모성 케이스 분석
1.1. 대상자의 임상적 정보
1.2. 진단명 및 수술
1.3. 검사 결과 및 약물 투여
1.4. 간호 문제 및 간호 계획
1.5. 산모와 신생아의 경과 관찰

2. 모성 간호 계획 및 중재
2.1. 수술 후 통증 관리
2.2. 위장관 기능 회복
2.3. 전해질 및 영양 불균형 관리
2.4. 불안 감소를 위한 정서적 지지
2.5. 회복을 위한 간호 교육

3. 모성 간호 결과 평가
3.1. 간호 중재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
3.2. 간호 목표 달성 정도
3.3. 추후 관리 계획

4. 문헌 고찰 및 간호학적 함의
4.1. 출산 후 산모 관리의 중요성
4.2. 모유 수유와 산욕기 관리
4.3. 산모 교육 및 정서적 지지의 필요성
4.4. 간호사의 역할과 간호 과정 적용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모성 케이스 분석
1.1. 대상자의 임상적 정보

대상자 M씨는 33세 여환으로 전치태반을 진단받고 제왕절개 수술을 위해 입원하였다. 입원 당시 재태기간은 37주 6일이었으며, 산과력은 G5 P0 L0 D0 A4였다. M씨는 임신 12주 때 고혈압과 간수치 상승을 진단받았으나 임신말기에 호전되어 분만에 지장이 없었다. 또한 임신 중 전방 벽에 근종이 발견되었으나 크기가 작아 수술은 진행하지 않았다.

M씨는 11월 10일 제왕절개 수술을 받았고, 전신마취하에 800mL의 실혈량으로 태반 무게 605g의 출산이 이루어졌다. 신생아는 여아로 2.7kg, APGAR 점수 1분 9점 5분 10점이었다. 수술 당일 M씨는 Eruvin, Cefamezin, D/W, Oxciton 등의 약물을 투여받았고, 이후 POD#1에 Eruvin, POD#2에 Airtal, Varidase 등을 투여받았다. 또한 수술 후 통증 관리를 위해 PCA로 Fentanyl, Denogen, nasea를 사용하였다.

M씨는 수술 후 통증으로 인해 움직이기 어려웠으나, POD#1에 조기 이상을 위해 병실을 산책하고 신생아실까지 보행하였다. POD#0에 자궁 저부의 높이가 배꼽아래 1cm였으며, POD#1에는 제왕부 아래 2cm까지 내려왔다. 오로는 양이 적었으며 소변 볼 때 패드에 적색으로 약간씩 묻어나왔다.

M씨는 모유수유를 계획하고 있었으나 초산부라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였고, 오로의 의미와 유방마사지 방법에 대해 알지 못하였다. 임신 전 M씨는 음주와 기름진 음식을 즐겨 먹었으나 임신 후에는 금주하였고, 수술 전날부터 금식을 시작하였다. M씨는 산전 검사 결과 빈혈 소견을 보였으며, 수술 후에도 빈혈 증상이 지속되었다. M씨는 임신 중 태교를 위해 아기용품 제작, 음악 감상, 그림 그리기 등을 하며 아기에 대한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다.

M씨는 모유수유와 유방마사지 방법 등에 대한 교육을 받았고, 산후 나타날 수 있는 신체적 변화와 이상 징후에 대해 교육을 받았다. 면담과 교육 중 M씨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며 질문하는 등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1.2. 진단명 및 수술

전치태반을 진단 받고 제왕절개 수술을 받았다. 입원 당시 재태기간은 37주 6일이었으며, 산과력은 G5 P0 L0 D0 A4 이었다. 임신 12주때 고혈압과 간수치 상승이 있었으나 임신말기에는 호전되어 분만에 지장이 없었다. 초음파 검사에서 자궁의 전방 벽에 3cm 크기의 근종이 2개 발견되었으나 크기가 작아 분만에 지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년 월 일 Low flap transverse c-sec 수술을 받았으며, 전신마취를 하였고 실혈량은 800mL였다. 태반의 무게는 605g이었다. 분만 과정 중에 문제는 없었으며 신생아는 여아, 2.7kg, APGAR 점수는 1분에 9점, 5분에 10점이었다. 수술 후 ERuvin, Cefamezin, Denogen을 투여 받았고 PCA를 통해 Fentanyl, Denogen, Nasea를 투여받았다.


1.3. 검사 결과 및 약물 투여

대상자는 임신 5개월부터 철분제 훼로모아를 복용하였으며, 산전 CBC 검사 결과 WBC(11.24▲), RBC(4.20), Hb(12.6), Nuetrophil (81.2▲), Lymphocyte%(12.2▼)이었다. 산후 CBC 검사 결과에서는 WBC(12.65▲), RBC(3.42▼), Hct(29.8▼), Hb(10.2▼), Nuetrophil (84.3▲), Lymphocyte%(8.8▼)로 Hb 수치가 떨어진 상태였다.

POD#0에는 Eruvin inj [2000mcg] 2amp #2 IM, Cefamezin inj [1g] 2via #2 IV을 투여받고 D/W 5% [1000ml] 1bag #1 IV with) Oxciton inj [5iu] #1 을 2회 투여받았다. POD#1에는 Eruvin inj[2000mcg] 2amp #2 IM, POD#2에는 Airtal tab [100mg] 2tab #2 PO BID, Varidase tab 6tab #3 PO TID를 투여 받고 있었다. 또한 수술 후 통증 완화를 위해 Fentanyl 600mcg, Denogen 8gm, nasea 0.3mg을 총 용량 100ml으로 device 2days로 투여받았다.

POD#0에 고체온 관리를 위해 냉요법을 위한 ice bag을 적용하였고 Denogan inj [1g] 1 via #1 INJ IV를 오후 10시에 투약받았다. POD #1 에 다시 체온이 37.9도로 상승하여 Ice bag을 적용하였고 약물 투약없이 체온이 다시 정상으로 돌아와 유지하였다.


1.4. 간호 문제 및 간호 계획

대상자는 전치태반을 진단 받고 제왕절개 수술을 받았다. 수술 후 지속되는 구토와 낮은 혈색소 수치로 인해 영양 및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이 있다...


참고 자료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 2007. 수문사: 서울.
유은광, 김명희, 김순애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Ⅱ. 2005. 현문사: 서울.
고명숙 외. 모성간호학 上. 1995. 현문사: 서울.
조결자, 송지호, 유일영, 박인숙, 박은숙, 김미원, 김희순, 신희선 외. 가족중심의 아동간호학Ⅰ. 2005. 현문사: 서울.
Carol B. Benson외 2인. 산부인과 초음파 진단 실용적 접근법. 서울: 군자출판사. 2005
대한산부인과학회. 산과학(제4판). 2007. 서울: 군자출판사
NANDA International , NANDA-I Nursing diagnoses : definitions & classification, 007-2008 : NANDA International, 2007, Philadelphia, Pa : NANDA International
이강이 외. 건강사정. 2007. 현문사: 서울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2012). 여성건강간호학Ⅱ. 서울:수문사.
차영남, 장효순(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제3판(2013). 서울: 현문사
최명애, 홍해숙(2011). 인체의 구조와 기능. 서울: 엘스비어코리아
박영주 외, 여성건강간호학1 제 5판, 현문사, 2020
박영주 외, 여성건강간호학2 제 5판, 현문사, 2020
신혜숙 외, 임신오조증 임부의 증상완화를 위한 내관지압의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35권 제3호, 2005
김경옥, 임신 중 구역과 구토의 관리, 대한내과학회지 제 82권 제 5호, 2012
Hyperemesis gravidarum-medlineplus
https://medlineplus.gov/ency/article/001499.htm
Hyperemesis gravidarum - clevelandclinic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diseases/12232-hyperemesis-gravidarum#diagnosis-and-tests
약학정보원 약물백과, 수용성비타민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신일피리독신정
드러그인포 약물상세검색, 5%포도당가엔에이케이주3,
https://www.druginfo.co.kr/detail/product_cp_cancer.aspx?pid=4262
드러그인포 약물상세검색, 삐콤헥사주,
https://www.druginfo.co.kr/detail/product_cp_cancer.aspx?pid=2747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 하트만용액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