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펜싱 지도자의 지도유형이 선수만족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선행연구 검토
1.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2. 펜싱 지도자의 코칭유형이 선수 만족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2.1. 펜싱 선수 경기력의 개념과 영향요인
2.2. 코칭행동의 유형과 특성
2.3. 코칭유형이 선수 만족에 미치는 영향
2.4. 코칭유형이 선수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3. 논의
3.1. 펜싱 지도자의 코칭유형과 선수 만족의 관계
3.2. 펜싱 지도자의 코칭유형과 선수 경기력의 관계
3.3. 코칭유형 개선을 위한 제언
4. 결론
4.1. 연구결과 요약
4.2. 연구의 시사점
4.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펜싱 지도자의 코칭유형이 선수들의 만족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스포츠 현장에서 지도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코칭행동은 선수들의 심리와 수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펜싱은 개인전 종목으로 지도자의 코칭유형이 선수 개개인의 만족과 경기력에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펜싱 지도자의 코칭유형을 분석하고 그것이 선수들의 만족과 경기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펜싱 선수 육성을 위한 효과적인 코칭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2. 선행연구 검토
기존 연구에서는 지도자의 코칭유형이 선수 만족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있다. 권위적인 지도자의 코칭행동은 선수들의 내적 동기를 저하시키고, 이로 인해 선수 만족도와 경기력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반면 민주적이고 자율성을 지지하는 지도자의 코칭행동은 선수들의 자신감을 높이고, 선수 만족도와 경기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선행연구들은 코칭유형이 선수 개인의 심리적 요인, 예를 들어 자신감, 불안 수준, 몰입도 등에 유의미한 관련이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권위적인 지도자일수록 선수들의 불안감을 증가시키고, 민주적인 지도자일수록 선수들의 자신감과 몰입도를 높여 경기력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또한 코칭유형과 더불어 지도자-선수 간 상호작용 및 관계의 질적 수준도 선수 만족과 경기력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지도자의 코칭유형은 선수들의 심리적 특성과 동기에 작용하여 결과적으로 선수 만족과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선수들의 욕구와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코칭유형의 선택과 적용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태권도 지도자의 코칭유형이 선수 만족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태권도 선수 경기력의 개념과 영향요인을 살펴보고, 코칭행동의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어서 코칭유형이 선수 만족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펜싱 지도자의 코칭유형과 선수 만족 및 경기력의 관계를 논의하고, 코칭유형 개선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 분석과 더불어 현장 관찰, 심층 면담, 설문조사 등을 활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태권도 지도자의 코칭유형이 선수들의 만족도와 경기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2. 펜싱 지도자의 코칭유형이 선수 만족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2.1. 펜싱 선수 경기력의 개념과 영향요인
펜싱 선수 경기력의 개념과 영향요인이다. 경기력은 경기장에서 선수 개인이나 팀이 발휘하는 능력과 기술 등을 포함한 종합적 능력이다. 실제, 팀의 응집력, 전술과 같은 모든 것을 발휘하는 능력으로 일회성 기록이 아니라 장시간의 철저한 준비와 노력, 훈련을 통해 얻게 되는 안정적인 개인의 운동능력이다. 하지만, 현장에서 경기력 향상은 다양한 요인이 훈련이나 시합 상황에서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영향은 체격 및 체력, 유전적 요인, 훈련량, 훈련 기간 및 경기 상황에서의 심리적 상태, 경험 여부, 경기장 조건 등의 내·외적인 요인 등에서 선수들은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즉, 선수 개인에 따라 그들은 자신의 종목에 따른 경기력 결정 요인에 관련해 파악 후, 분석할 것이며, 그 결과 요인의 우선순위에 따라 경험과 관찰하여 실력 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장시간의 철저한 준비와 노력뿐만 아니라 훈련을 통해 얻은 최상의 운동능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선수들이 최상의 경기 수행을 이루고 경기력을 최대화 시키려는 목표는 선수와 지도자 모두의 공통된 목표이다. 즉, 최고의 수행과 경기력은 사회적, 신체적, 기술적, 심리적 요인들이 조화를 이룰 때 폭발적 수준의 경기력이 발휘될 수 있으며, 특히 선수들의 강인한 승부 근성이 최고의 경기 성적을 내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2.2. 코칭행동의 유형과 특성
권위적 코칭 행동은 모든 의사결정과 집행을 지도자가 단독으로 실시하며 팀 구성원에게 자신의 의사를 강조하는 행동이다. 명령적 성향의 지도자는 모든 결정권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선수에게 어떠한 것을 지시할 것인지 지시하며, 선수는 지도자의 명령을 듣고, 받아들이며, 따라야 한다. 대부분의 코치들은 자신의 역량에 대한 의구심을 차단하기 위해 권위적인 명령형 코칭을 선호한다. 이는 표면적으로는 효과적으로 보일 수 있으나, 선수들의 내적 동기를 억압할 위험이 내포되어 있어 선수들이 지도자의 칭찬을 받기 위해 경기를 하거나 분노 표출을 피하기 위해 경기를 진행하는 등의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최근 모든 스포츠 수준에서 지도자들은 권위적인 코칭 행동이 선수들에게 긍정적이지 않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다.
민주적 코칭 행동은 팀의 목표 설정, 훈련 방법, 그리고 팀의 전술에 관한 결정에 팀 구성원을 참여시키는 행동이다. 민주적 코칭 행동은 선수 개인의 의지로 선택하고 노력할 수 있도록 조건을 마련해 주는 것이며, 선수들에게 운동에 대한 만족과 참여 동기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선수들의 운동 수행뿐만 아니라 심리적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도자의 자율성 지지 코칭 행동은 엘리트 선수의 운동 수행을 높일 뿐만 아니라 선수 개개인이 지각하는 경기력 수준도 함께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시 및 피드백 코칭 행동은 팀 구성원에게 강하고 고된 훈련을 강조하며, 기술과 전술을 중점적으로 지도하고 팀의 체계를 세우며 팀 구성원의 활동을 조정하고 구성하는 행동이다. 협동적인 지도자들은 선수들과 함께 의사결정...
참고 자료
김순영, 박상혁, 2016; 박중길, 김기형, 2013; Adie, Duda, & Ntoumanis, 2008; Amorose& Anderson-Butcher, 2007
Ames, C. (1984). Achievement attributions and self-instructions under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goal structur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3), 478-487
Duda, J. L., & Nicholls, J. G. (1992). Dimensions of achievement motivation in schoolwork andspor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Elliot, A. J., & Thrash, T. M. (2001). Achievement goals and the hierarchical model of achievement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3(2), 139–156.
Dweck, C. S. (1986). Motivational processes affecting learning. American Psychologist, 41(10), 1040-1048).
Duda, J. L., & Hall, H. (2001). Achievement goal theory in sport:Recent extensions and future directions. IN R N. Singer, H. Hausenblas, & C. Janelle(Eds.), Handbook of sport psychology(2nd ed., pp. 417-443.)NY: Wiley.
Nicholls, J. G. (1989). The competitive ethos and democratic educa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박경훈, 한명우(2016).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들의 성취 목표 성향이 심리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7(1), 35-50.
곽미리, and 문한식.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성취 목표 성향과 심리기술 및 경기력과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지 18.4 (2023): 183-190.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Hutchinson, J. C., Sherman, T., & Martinovic, N. (2008). The Effect of Manipulated Self-Efficacy on Perceived andSustained Effort. Journal of Applied Sport Psychology, 20, 457-472.
Zimmerman, B. J. (2000). Self-efficacy: An essential motive to learn.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5, 82-91
Duda, J. L., & Balaguer, I. (2007). The coach-createdmotivational climate. In D. Lavalee & S. Jowett (Eds.), Social psychology of sport (pp. 117-130). Champaign, IL: Human Kinetics.
Goddard, Y., Goddard, R. D., & Tschannen-Moran, M. (2007). A Theoretical and Empirical Investigation of Teacher Collaboration for School Improvement and Student Achievement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Teachers College Record, 109, 877-896.
Vargas-Tonsing, T. M.,Warners, A. L., & Feltz, D. L. (2003). The predictability of coaching efficacy on team efficacy and player efficacy in volleyball. Journal of Sport Behavior, 26, 396-407
Ryan, M. R., & Deci, L. E.(2000). Self-determination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Vallerand, R. J., & Losier, G. F.(1999). An integrative analysis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in sport. Journal of applied sport psychology, 11(1), 142-169.
박중길, 김기형(2013). 지각된 코칭행동, 자율적-통제적 행동조절 및 정서의 인과구조. 한국체육학회지, 제52권 제5호, 263-277
Harackiewicz, J. M., & Elliot, A. J.(1993).Achievement goals and intrinsic 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
송기현, 정구인(2014). 통제적 코칭행동과 운동 탈진의 관계에서 청소년 선수들의 운동정체성과 접근-회피동기의 다중매개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25권 제4호, 143-157.
이일주. "인간중심 성과관리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서울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82ed699cc11cf0b1ffe0bdc3ef48d419&outLink=K
김은주. "경영전략, HR의 경영전략 참여도, HR시스템 유형, 조직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경기도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6a2e51ff2ab429c2ffe0bdc3ef48d419&outLink=K
이종애, 정지혜, 이보람. (2022). 농구선수들의 팀 상호작용이 회복탄력성 및 스포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24(4), 64-73. 10.47684/jcd.2022.09.24.4.64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143629&utm_source=chatgpt.com
오인수, 서용원. (2002). 구조화된 역량기반 채용면접 체계: 이론적 고찰과 개발 사례. 인적자원개발연구, 4(1), 49-75.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0492384
강성구, 최재원(2003). 프로골프선수들의 심리기술 훈련 프로그램 개발.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4(2), 265-285.
강성구, 최재원(2003). 프로골프선수들의 심리기술 훈련 프로그램 개발.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4(2), 265-285.
김병준(2003). 골프 심리기술훈련 효과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4(2), 213-233.
김성옥(2002). 자기효능감 및 집단효능감과 팀 퍼포먼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3(1), 29-38.
김원배(1999). 스포츠-자신감질문지(SSCQ)의 타당성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0(2), 107-123.
김응준, 서동균, 조선령, 신성득, 엄정식. (2008). 코치의 리더십 행동 유형과 스포츠 탈진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17(3), 439-449.
임동석(2015). 대학생 태권도 선수의 시합 전 체중조절과 식습관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임주희, 김정현, 이명철(2017). 인라인 스케이트 선수들의 스포츠 자신감, 운동 몰입과 인지된 경기력의 구조적 관계. 코칭능력개발지, 19(3), 22-29.
정성우, 표내숙(2009). 체조선수의 자기관리가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20(4), 229-242
최헌혁, 조승관(2014). 청소년 운동선수들이 지각한 열정과 탈진의 관계에서 코치-선수관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5(4), 111-125.
한명우(2004). 심리기술훈련이 리듬체조선수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단일 사례 연구. 체육과학연구, 15(4), 99-114.
허승욱, 백원칠. (2013). 스키장 이용객의 지각된 서비스품질, 서비스가치,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도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11(2), 209-223.
홍길동(2008). 중ㆍ고교 양궁선수용 이완훈련 콘텐츠 개발 및 현장 적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4), 237-246.
Bandura, A., Adams, N. E., & Beyer, J. (1977). Cogn itive processes mediating behavioral chang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5(3), 125.
Chelladurai, P., & Saleh, S. D. (1980). Dimensions of leader behavior in sports: Development of a leadership scale.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2(1), 34-45.
Goleman, D., Boyatzis, R. E., & McKee, A. (2002). The new leaders: Transforming the art of leadership into the science of results.
Mainka, J., Lehmberg, S., Budelmann, H., & Kloft, H. (2013). Non‐Standard Fügeprinzipien für leichte Bauteile aus UHPFRC. Beton‐und Stahlbetonbau, 108(11), 763-7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