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가르칠 수 있는 용기
1.1. 교육기술과 방법 이전에 지녀야 할 가르침의 전제들
가르침의 전제들
가르친다는 것은 단순히 교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교실이라는 공간에 있을 때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분야에서 전공 지식과 실력을 쌓아 가르침을 실천한다. 가르침과 배움은 인간의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가르침은 인간의 내면에서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는 것으로, 나 자신을 이해하는 것이 가르침과 배움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무엇을', '어떻게', '왜'라는 질문은 교육에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성, 감성, 영성을 모두 갖추어야 한다. 지성은 가르침과 배움에 대한 우리의 사고방식을 말하고, 감성은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서 상호 간 느끼는 방식을, 영성은 삶에 대한 깊은 동경이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는 양상을 의미한다. 가르침과 배움은 학생의 내면적인 여행을 인도하며, 세상을 진지하게 바라보고 살아가는 방식을 가르치는 것이다.
교육은 배움 쪽에 더 신경을 써야 하며, 교사의 역할은 배우는 학생이 교육의 최종 목적이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교사는 학생에게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도록 돕는 조건을 만들 수도 있고, 방해하는 조건을 만들 수도 있다. 좋은 교육을 하려면 행위와 의도의 내적인 원천을 먼저 이해해야 한다. 본서의 핵심 주제는 '교사의 자아의식'이며, '누구'라는 질문에 끝까지 집중한다. 이것은 교육 개혁과 훌륭한 교사의 내면적 탐구의 길이기 때문이다.
훌륭한 가르침은 교사의 정체성과 성실성에서 나온다. 강렬한 개인의 정체성이 수업에 배어들어 있는 교사는 학생들을 매료시킨다. 유대감을 만들어내는 능력 또한 훌륭한 교사의 특징이다. 교사, 학생, 학과는 배움과 삶이 요구하는 공동체로 엮여지는 것이다. 정체성과 성실성은 단순한 특징이나 성행이 아니라 그림자, 한계, 상처, 공포, 힘과 잠재력을 모두 지니고 있다.
많은 교사가 열성을 가지고 교사가 되었지만 근무 연수가 늘수록 용기를 잃게 된다. 교직은 매일 마음의 상처를 주는 직업이기 때문이다. 교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