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윤리사례 아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아동학대의 개념
1.1. 아동학대의 정의
1.2. 아동학대의 유형
2. 아동학대의 현황
2.1. 아동학대 통계
2.2. 아동학대 사례
3. 아동학대 관련 법적 기준
3.1. 아동복지법
3.2.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3.3. 아동ㆍ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4. 아동간호실무의 윤리적 기준
4.1. 선행의 원칙
4.2.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4.3. 한국간호사 윤리지침
5. 해외 아동학대 예방 사례
5.1. 미국의 아동학대 예방 시스템
6. 국내외 아동학대 대응 비교
6.1. 정인이 법과 미국 사례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아동학대의 개념
1.1. 아동학대의 정의
아동학대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의 건강 또는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정신적·성적 폭력이나 가혹행위를 하는 것과 아동의 보호자가 아동을 유기하거나 방임하는 행위이다. 구체적으로는 신체학대, 정서학대, 성학대, 방임이 포함된다. 신체학대는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에게 우발적인 사고가 아닌 상황에서 신체적 손상을 입히거나 또는 신체손상을 입도록 허용한 모든 행위를 말한다. 정서학대는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에게 행하는 언어적 모욕, 정서적 위협, 감금이나 억제, 기타 가학적인 행위를 말한다. 성학대는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자신의 성적 충족을 목적으로 18세 미만의 아동에게 행하는 모든 성적 행위를 말한다. 방임은 보호자가 아동에게 위험한 환경에 처하게 하거나 아동에게 필요한 의식주, 의무교육, 의료적 조치 등을 제공하지 않는 행위를 말한다.
1.2. 아동학대의 유형
신체학대 "신체학대"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에게 우발적인 사고가 아닌 상황에서 신체적 손상을 입히거나 또는 신체손상을 입도록 허용한 모든 행위이다. 구체적인 예로는 직접적으로 신체에 가해지는 행위(손,발 등으로 때림, 꼬집고 물어뜯는 행위, 조르고 비트는 행위, 할퀴는 행위 등), 도구를 사용해 신체를 가해하는 행위(도구로 때림, 흉기 및 뾰족한 도구로 찌름 등), 완력을 사용해 신체를 위협하는 행위(강하게 흔듬, 신체부위 묶음,벽에 밀어붙임,떠밀고 잡음,아동 던짐,거꾸로 매담,물에 빠트림 등), 그리고 신체에 유해한 물질로 신체에 가해지는 행위(화학물질 혹은 약물 등으로 신체에 상해를 입히는 행위, 화상을 입힘 등)가 해당된다.
정서학대 "정서학대"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에게 행하는 언어적 모욕, 정서적 위협, 감금이나 억제, 기타 가학적인 행위로서 언어적, 정신적, 심리적 학대의 개념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원망적/거부적/적대적 또는 경멸적인 언어폭력, 잠을 재우지 않는 것, 벌거벗겨 내쫓는 행위, 가족 내에서 왕따 시키는 행위, 아동의 정서 발달 및 연령상 감당하기 어려운 것을 강요하는 행위(감금, 약취 및 유인, 아동 노동 착취) 등이 있다.
성학대 "성학대"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자신의 성적 충족을 목적으로 18세 미만의 아동에게 행하는 모든 성적 행위를 말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자신의 성적만족을 위해 아동을 관찰하거나 아동에게 성적인 노출을 하는 행위, 아동을 성적으로 추행하는 행위, 아동에게 유사성행위를 하는 행위, 성교를 하는 행위, 성매매를 시키거나 성매매를 매개하는 행위 등이 있다.
방임 "방임"이란 보호자가 아동에게 위험한 환경에 처하게 하거나 아동에게 필요한 의식주, 의무교육, 의료적 조치 등을 제공하지 않는 행위를 말하며, "유기"란 보호자가 아동을 보호하지 않고 버리는 행위를 말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기본적인 의식주를 제공하지 않는 행위, 불결한 환경이나 위험한 상태에 아동을 방치하는 행위, 정당한 사유 없이 계속하여 2일 이상 결석하는 행위, 아동에게 필요한 의료적 처치 및 개입을 하지 않는 행위, 아동을 보호하지 않고 버리는 행위 등이 있다.
2. 아동학대의 현황
2.1. 아동학대 통계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2020 아동학대 연차보고서"를 발간하였다. 2020년 아동학대 신고접수 건수는 총 42,251건으로 2019년 41,389건 대비 2.1% 증가하였으나, 증가폭은 예년에 비해 다소 낮은 수준이다. 아동학대 사례는 총 30,905건으로 2019년 30,045건 대비 2.9% 증가하였고, 피해아동의 성별은 남아가 15,815건(51.2%), 여아가 15,090건(48.8%)이다. 학대행위자는 부모가 25,380건으로 전체의 82.1%를 차지하여, 2019년 22,700건에 비해 11.8% 증가하였다. 대리양육자 2,930건(9.5%), 친인척은 1,661건(5.4%) 순으로 확인되었다. 2020년 피해아동 발견율이 4.02‰로 2019년 대비 0.21‰p 증가하였고,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매년 피해아동 발견율은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이다. 2020년 아동학대로 사망한 아동은 총 43명으로 2019년 42명에 비해 1명이 증가했으며, 1세 이하(24개월 미만) 아동이 27명(62.8%)을 차지한다.
2.2. 아동학대...
...
참고 자료
홍선기.(2020).독일 아동보건의료법?정책 연구.외법논집,44(3),129-156.
배건이.(2019). 아동 보건의료법제 개선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심의선.(2021). 아동학대 현황과 대응 정책. 육아정책포럼
김민중. (2012). 미성년자에 대한 의료행위와 부모의 권한- 종교상의 신념에 기한 수혈거부를 중심으로 -. 의료법학, 13(2), 217-261.
서울특별시. (2021). 서울시 아동복지시설 종사자를 위한 아동학대 예방 및 대처 안내서. 아동학대 예방 및 대처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아동학대의 대상 및 범위. 6-13
https://www.easylaw.go.kr/CSP/CnpClsMain.laf?csmSeq=1125&ccfNo=1&cciNo=1&cnpClsNo=1
국가지표체계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8054
손의식.(2014). 다운증후군 미숙아 ‘치료거부’했던 부모, 비난만 할 수 있을까. 파로프시안.
https://www.rapportian.com/news/articleView.html?idxno=15700
윤진수 and 현소혜. (2013). 부모의 자녀 치료거부 문제 해결을위한 입법론. 법조, 62(5), 40-98.
보건복지부. (2021). 2020 아동학대 주요통계. p. 87
한영혜, “"수학 답 몰라? 위치로"…망치손잡이로 쌍둥이 때린 학원”, 연합뉴스,
2022.09.20,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03052#home
이미나, “"너무 아팠어 나" 중학생 딸·친구 성폭행 의붓父 25년형 확정”, 한국경제,
2022.09.15,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2091524717
최은지, “'3살 딸 방치 사망' 30대 엄마, 2년째 아이 어린이집 안 보내”, 연합뉴스,
2021.08.09,https://www.yna.co.kr/view/AKR20210809075900065
대법원 2020. 3. 12. 선고 2017도5769 판결.
[네이버 지식백과] 아동복지법 [兒童福祉法]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64005&cid=40942&categoryId=31708
[네이버 지식백과]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2603&cid=43667&categoryId=43667
[네이버 지식백과] [아동학대 범위와 처벌] 말 안듣는다며 자녀 밥 굶겼다면? - 아동학대;굶김;아동복지법 (판례와 사례로 보는 생활법률)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631646&cid=69440&categoryId=69440
유영미·박현숙. (2021), “「아동학대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개정내용 검토와 개선방안”, 치안정책연구, 35(1):277-278
아동복지법 제1조. 제2조. 제17조. 제71조.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1조. 제4조. 제5조.
아동ㆍ청소년의성보호에관한법률 제1조. 제7조
대한간호협회“한국간호사윤리강령”
https://www.koreanurse.or.kr/about_KNA/ethics.php?mn=2#s1
칼럼니스트 이은,“아빠와 병원 온 아이에게 “학대당했니?” 몰래 묻는 미국“, 베이비뉴스, 2020.12.03.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0433
박명숙, ”미국 학교의 아동학대 예방 대응 시스템“, 행복한교육 2016년 03월호,
http://happyedu.moe.go.kr/happy/bbs/selectHappyArticle.do?nttId=5463&bbsId=BBSMSTR_000000000192
취재K, ”[아동학대]⑤ 반복되는 아동학대, 해외는?…“국가가 대응해야”“, KBS NEWS. 2022.02.16.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396173
황준범. “[특파원 칼럼] 정인이가 미국에 있었다면”. 한겨례. 2021.01.08.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977772.html
조혜람·박용필. “시행 1년 넘은 ‘정인이법’…정인이 지키기엔 아직 빈틈이 많다. 경향신문. 2022.04.28.https://m.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204282225005#c2b
김태호. ”'육아 대통령' 오은영 "아동 학대 처벌 강해져도 학대 안 멈춰"”. 중앙일보. 2021.06.13.
https://www.joongang.co.kr/article/24080757#home
서예진. “[정인이사건, 그 후①] 국민적 분노로 탄생한 ‘정인이 방지법’”. 시사위크.. 2022.04.28.
https://www.sisaweek.com/news/curationView.html?idxno=153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