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병동 간호윤리.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아동병동 간호윤리에 대한 개요
1.2. 실습 경험을 통한 윤리적 갈등 사례 소개
1.3.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임상현장에서 경험한 윤리적 갈등과 문제
2.1. 환자 권리 침해 사례
2.2. 간호사의 불윤리적 행동 관찰 사례
3. 이론적 고찰
3.1. 생명의료윤리 4원칙
3.2. 간호사의 윤리적 책무
4. 윤리적 문제 상황에 대한 간호학적 판단
4.1. 간호학적 관점에서의 문제점 분석
4.2. 아동병동 간호사의 윤리적 자질 고찰
4.3. 예방 및 개선 방안 모색
5. 결론
5.1. 연구 결과 요약
5.2. 향후 과제 및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아동병동 간호윤리에 대한 개요
아동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는 발달과정에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아동의 고유한 권리와 특성을 존중하는 윤리적 간호 실천이 매우 중요하다. 아동은 자율적 의사결정 능력이 성인에 비해 부족하므로 간호사는 아동의 연령과 발달 수준에 맞는 맞춤형 교육과 정보 제공을 통해 아동의 자율성을 존중해야 한다. 또한 보호자와의 신뢰관계 형성을 통해 아동과 부모가 함께하는 의사결정을 이끌어내야 한다. 간호사는 아동의 권리 보장을 위해 노력하고, 윤리 강령에 따라 아동의 생명과 존엄성을 존중하며, 아동에게 해를 끼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이를 통해 아동이 안전하고 행복한 환경에서 건강한 성장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
1.2. 실습 경험을 통한 윤리적 갈등 사례 소개
임상실습 중 아동병동에서 A 간호사 선생님께서 환아에게 약물투약을 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A 간호사 선생님께서 환아에게 약물을 투약하기 위해 트레이에 주입할 약물이 들어간 주사기, 알콜솜을 가지고 병실로 들어갔다. 그러나 A 간호사 선생님은 알콜솜으로 3-way stopcock의 캡과 주입 입구를 소독하지 않고 바로 약물을 주입하였다. 이론 수업시간에는 3-way stopcock에 약물을 주입하기 전 캡과 주입 입구를 모두 알콜솜으로 소독 후 약물을 주입해야 한다고 배웠으나, A 간호사 선생님의 행동은 이를 위반하였다.
관찰한 바로는 환자가 자신의 처치과정을 보지 않고 핸드폰을 보고 있었고, A 간호사 선생님께서도 알콜솜을 다시 가져오는 것이 시간을 잡아먹는 행위라고 판단하였기 때문에 소독 절차를 거치지 않고 약물을 주입한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소독하지 않은 상태로 약물을 주입하는 것은 환자에게 감염의 위험성을 줄 수 있어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 상황은 생명의료윤리 4원칙 중 악행금지의 원칙을 위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악행금지의 원칙은 타인에게 의도적으로 해를 입히거나, 입힐 위험을 초래하는 행위를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A 간호사 선생님의 행동은 환자에게 감염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 원칙을 위반한 것이다.
관찰 당시 주저하였던 이유는 경력이 많은 선배 간호사 선생님의 행동을 직접 지적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경험을 계기로 앞으로 이러한 생명윤리원칙이 무시되는 상황을 목격하게 된다면, 나와의 관계보다는 환자에게 끼칠 해악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여 솔직하게 말할 수 있는 정직의 자세를 가지게 되었다.
또한 이번 경험을 통해 자신도 활력징후나 BST 측정 시 손위생을 항상 잊지 않고 수행해야 함을 되새기게 되었다. 간호사는 아무리 시간이 부족하고 귀찮더라도 자신의 행위가 환자의 생명과 직결된다는 것을 명심하고 기본적인 절차를 준수해야 한다는 점을 깨달았다.
결국 이번 실습 경험을 통해 간호사로서 윤리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이 무엇인지, 아동 환자의 권리를 어떻게 보호해야 하는지 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1.3.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아동병동에서 임상실습을 하며 간호사들의 불윤리적인 행동을 관찰하게 되었다. 일부 간호사들이 아동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행동을 하는 것을 목격하였기에, 이러한 상황에 대해 생명의료윤리 원칙에 입각하여 간호학적으로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아동병동 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윤리적 자질에 대해서도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아동 환자의 안전과 권리를 보장하고, 윤리적으로 바람직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아동병동 간호사의 불윤리적 행동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행위가 아동 환자에게 미칠 수 있는 위험에 대한 간호학적 분석과 함께 예방 및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아동병동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윤리적 자질에 대해 고찰하여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
참고 자료
WMA Declaration of Helsinki – Ethical Principles for Medical Research Involving Human Participants
https://www.wma.net/policies-post/wma-declaration-of-helsinki/
한국간호사윤리강령
https://khna.or.kr/home/about/principles.php
이선미, and 이승욱. "국내 간호학 연구논문에 활용된 통계기법의 타당성 평가 연구." 한국보건통계학회지 3.1 (1998): 42-64.
https://www.e-jhis.org/upload/pdf/21400187.pdf
생명윤리, 현문사, 공병혜외, 2017, 48-50P
생명윤리에 기초한 간호전문직 윤리, 대한간호협회, 2018, 안성희 외, 20p
https://www.koreanurse.or.kr/about_KNA/ethics.php?mn=2#a24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생명윤리에 기초한 간호전문직의 윤리 2판. 대한간호협회 130p
보건복지부 I 아동권리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