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벤틸레이터 소개
1.1. 정상 호흡과 기계적 양압 호흡의 차이
정상 호흡과 기계적 양압 호흡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정상 호흡은 외늑간근과 횡격막의 수축으로 인해 흉곽의 자위 상하경이 증가하면서 음압이 형성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공기가 폐 내부로 흡인되어 환기가 이루어진다. 반면, 기계적 양압 호흡은 호흡기를 통해 양압을 형성함으로써 폐를 확장시키고 공기를 폐 내부로 송입하는 방식이다. 이는 호흡근 기능 저하로 인해 자발적인 음압 형성이 어려운 환자에게 적용된다. 기계적 환기를 통해 정상적인 가스교환을 유지하고 산소화를 개선할 수 있다.
정상 호흡과 달리 기계적 양압 호흡은 환자의 호흡노력과 무관하게 호흡이 이루어지므로, 의식저하나 근육 이완이 필요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호흡 보조를 통해 심근의 부담을 줄일 수 있어 호흡부전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된다.
이처럼 정상 호흡과 기계적 양압 호흡은 호흡 메커니즘에서 차이가 있지만, 모두 폐의 환기와 산소화라는 공통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식이다. 특히 기계적 양압 호흡은 자발호흡이 제한적인 환자에게 필수적인 치료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
1.2. 기계적 환기의 정의와 목적
기계적 환기란 호흡기능 유지하지 못해 산소교환이 적절하지 않을 때 혈액 내 CO2, O2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인위적으로 호흡기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양압으로 폐를 확장시키며 환기, 산소화의 효율성 증진을 위해 호흡 시 필요한 산소 소모량을 저하시켜 심근의 부담을 줄인다. 기계적 환기는 환자의 자발호흡만으로는 정상적인 가스교환을 기대할 수 없는 경우, 즉 Sedation, 마취, 호흡중추 손실, Coma 등의 상황에서 저산소성 호흡부전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된다. [1,3]
1.3. 기계적 환기의 적응증
환자의 자발호흡만으로는 정상적인 가스교환을 기대할 수 없는 경우에 기계적 환기가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Sedation, 마취, 호흡중추 손실, Coma와 같이 환자의 호흡기능이 저하된 상황이다. 또한 저산소성 호흡부전이 있어 FiO2 60%이상을 제공해도 SaO2가 50mmHg 미만이거나 pH가 7.35 미만인 경우에도 기계적 환기가 필요하다. 이처럼 정상적인 호흡 기능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기계적 환기는 환기와 산소화의 효율성을 높여 혈액 내 CO2와 O2의 압력을 유지하고, 심근의 부담을 줄여줌으로써 환자의 생명을 보존하는데 필수적이다.
2. 벤틸레이터의 구조와 기능
2.1. 주요 구성 요소
벤틸레이터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벤틸레이터는 압축 공기와 산소를 공급하는 가스 전달 시스템, 호흡 매개변수를 모니터링하고 조절하는 전자 제어 시스템, 그리고 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한 환기 회로로 이루어져 있다. 가스 전달 시스템은 공기와 산소 주입관, 가습기, 배출관 등으로 구성되며, 전자 제어 시스템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니터링 센서, 디스플레이 화면 등으로 구성된다. 환기 회로는 환자와 직접 연결되는 호흡 회로와 유량계, 압력 센서, 배출 밸브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통해 벤틸레이터는 환자의 호흡을 지원하고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며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환자의 생리적 상태에 따라 호흡 매개변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조절할 수 있어, 효과적인 기계적 환기를 가능하게 해준다.
벤틸레이터의 흡기와 호기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전자 제어 시스템의 설정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