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폐렴은 하부 호흡기계 염증이며 폐렴에 의한 노인의 사망률은 40% 정도이다. 급성 치료기관의 경우 병원 감염성 폐렴에 의한 사망률이 병원 감염증의 15%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폐렴의 원인은 병원성 세균, 음식물 흡인, 체액 침하 및 화학물질 흡인인데 특히 노인의 경우 박테리아성 폐렴이 대부분이며 이 중 약 50%가 폐구균에 의해 일어난다. 이처럼 노인 폐렴이 심각해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장기인 폐와 관련된 질병인 폐렴에 대해 더 공부하고 그에 따른 간호가 필요하다. ()
1.2. 폐렴의 정의와 특성
폐렴은 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이 폐에 감염이 되어 발생하는 급성 염증성 호흡기 질환이다. 주로 열과 기침, 가래가 나고, 가슴 엑스레이 사진상 폐렴 병변을 보이게 된다. 그 중 흡인성 폐렴은 기관지 및 폐로 이물질이 들어가면서 생기는 폐렴을 말하며, 주로 병원내 감염 폐렴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폐렴은 주로 정상 방어기전의 손상, 의식 상태 저하, 기관내삽관, 공기 오염, 흡연, 노화, 상기도염, 영양장애 등의 위험요인, 폐렴균의 침입으로 발생한다. 흡인성 폐렴은 이물질을 폐로 흡인하여 발생하는 경우로, 타액의 박테리아와 입과 코의 분비물, 소화액이나 구토물과 같은 위 내용물, 음식 또는 음료 등이 있다. 흡인성 폐렴을 일으키는 흔한 병원균은 녹농균, 황생포도상구균, 대장균, 그람음성간균 등이다. 정상인의 경우 폐의 방어기전이 균의 침입을 막아주지만, 면역 기능이 떨어져 있는 환자들의 경우에는 입안의 세균이 흡인되며 폐렴이 발생할 수 있다. 중환자실 환자이며 tracheostomy를 적용한 환자의 경우에는 폐의 방어 기전이 저하되어 입안이나 위장에 존재하는 세균이 폐로 흡인되며 폐렴을 일으킬 수 있다.
염증은 폐 간질공간과 폐포, 세기관지에서 발생하며, 감염에 대한 반응으로 폐포에 부종이 있고 폐포 내 세균과 다형핵 백혈구가 증가한다. 적혈구의 삼출 등으로 액체성 삼출물이 있으며, 이후 폐포 내 삼출액이 증가하고 밀접된 섬유소 가닥과 많은 다형핵 백혈구로 가득해지며 삼출액은 화농되는 병태생리를 보인다. 세균 제거와 염증 과정 감소로 다형핵 백혈구 수가 줄어들면 폐 정상 회복이 가능하다.
1.3. 흡인성 폐렴의 원인 및 증상
노인의 경우 연하운동에 관여하는 신경과 근육의 감각이 떨어져 있어 흡인성 폐렴에 취약하다. 이들은 사래가 걸려 발작적인 기침을 하는 등의 반사작용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그대로 삼키게 되어 음식물, 타액, 구강 내 세균이 기도로 흡인되어 흡인성 폐렴이 발생하게 된다.
흡인성 폐렴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은 액체 형태의 물, 주스, 국물 등이다. 이는 고체 형태의 음식보다 쉽게 폐까지 침투하기 때문이다. 또한 치태에 존재하는 다량의 세균들이 타액과 함께 기도로 흡인되어 폐렴을 유발할 수 있다.
흡인성 폐렴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증상으로는 발열, 화농성 가래를 동반한 기침, 호흡곤란, 흉부통증 등이 있다. 또한 폐 타진 시 탁음과 진동감 증가, 수포음 등의 증상이 관찰된다. 비전형적인 증상으로는 건성 기침과 폐 외 증상인 두통, 근육통, 피로감, 인두염, 오심, 구토, 설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2. 문헌고찰
2.1. 폐의 구조와 기능
폐의 구조와 기능은 다음과 같다.
폐는 호흡을 담당하는 필수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