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골관절염은 관절 통증, 강직, 부종과 관절기능 감소를 주증상으로 하는 만성 퇴행성질환이다. 골관절염은 장애율이 높고, 대상자의 가족의 삶의 질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치료비를 상승시킨다는 점에서 매우 심각한 건강문제이다. 우리나라는 2010년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의 11.0%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2018년에는 14.3%, 2026년에는 20.8%로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측된다. 우리사회가 고령화 될수록, 고령에서 남성에 비해 여성인구가 많아질수록 골관절염의 유병률이 증가될 전망이다. 이러한 골관절염에 대해 알아보고 비수술적 요법으로 치료될 수 없는 경우 시행하는 THA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한다.
1.2. 고관절 anatomy
절구 또는 소켓(socket) 모양의 골반 골과 공이 또는 볼(ball) 모양의 둥근 넙다리뼈머리가 이루는 관절이다. 오른쪽 왼쪽에 각각 하나씩, 총 2개가 있으며, 골반을 통해 전달되는 체중을 지탱하고 걷기와 달리기 같은 다리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두터운 관절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볼-소켓 형태로 되어 있어 매우 안정적이면서 운동 범위가 큰 관절이다. 그러나 상당한 외력에 의해 관절이 빠지거나 관절 주위에 골절이 빈번히 생길 수 있고, 퇴행성 관절염이나 골조직의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한 무혈성 괴사가 생길 수 있다. 다른 관절과 마찬가지로 관절 내측은 활액막(synovial membrane)으로 덮여 있어 관절액이 만들어진다.
고관절은 골반의 외측 비구부와 대퇴 골두가 만나는 부분으로, 소켓 역할을 하는 비구부와 공 모양의 대퇴 골두로 구성되어 있다. 대퇴골두와 비구부는관절 연골로 덮여있으며, 비구 외측부에는 관절 와순이 비구와 함께 대퇴 골두를 덮고 있으며, 그 외측으로 관절낭이 비구부와 대퇴 경부를 함께 감싸고 있다. 대퇴골은 부위에 따라 공모양의 대퇴 골두, 대퇴골두에서 전자간부를 잇는 가늘어지는 부분인 대퇴 경부, 대전자와 소전자 사이를 잇는 부위로 여러 근육들이 부착하는 전자간부로 크게 나뉘어 집니다. 대부분의 골절은 대퇴 경부와 전자간부에서 발생하며 대퇴 겨우 골절일 경우 골절이 관절낭 내에 존재하게 되며, 전자간 골절의 경우는 관절낭 외에 골절이 위치하게 됩니다. 대퇴 경부와 대퇴 간부가 이루는 경간 각은 성인에서는 평균 135도 정도이고, 대퇴 골두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진 접영각은 대개 15도 내외이며, 대퇴 골두의 크기는 40~60mm 정도이다.
고관절은 골반골의 비구(acetabulum)라고 불리는 소켓 모양의 골반 골 부위와 넙다리뼈(대퇴골, femur)의 끝 부분에 해당하는 넙다리뼈머리가 관절을 이루고 있다. 양측 골조직은 관절 연골로 덮여 있으며, 1cm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관절막이 이를 둘러싸고 있다. 관절막의 내측은 활액막(synovial membrane)으로 덮여 있어 관절액을 생성한다.
고관절에는 퇴행성 관절염,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고관절 탈구, 고관절 주위 골절 등의 다양한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질병을 진단하기 위해 X선 촬영, 초음파 검사, 컴퓨터 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등의 검사가 활용된다.
1.3. 진단명
골관절염은 관절 통증, 강직, 부종과 관절기능 감소를 주증상으로 하는 만성 퇴행성질환이다. 골관절염은 장애율이 높고, 대상자의 가족의 삶의 질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치료비를 상승시킨다는 점에서 매우 심각한 건강문제이다. 우리나라는 2010년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의 11.0%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2018년에는 14.3%, 2026년에는 20.8%로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측된다. 우리사회가 고령화 될수록, 고령에서 남성에 비해 여성인구가 많아질수록 골관절염의 유병률이 증가될 전망이다.
고관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