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전남 방언의 특징과 의의
서론. 오늘날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 표준화의 권세는 그 어느 때보다도 높다고 할 수 있다. 대중매체의 발달, 교육의 보편화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표준어의 보급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이러한 상황에 기대어 앞으로 우리의 말이 완전 표준어 일색으로 통일되리라고 예측하는 사람이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오산이 될 가능성이 크다. 언어는 본래 이질성과 다양성을 그 본질로 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또 방언이란 것이 그렇게 하루아침에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릴 수 있는 존대도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의 일상생활은 물론이거니와 시, 소설, 수필 속에서도 우리의 방언들은 생생이 살아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80년대 이후 한국 소설문학의 최고봉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조정래 선생의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전남 방언의 특징에 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2. 전남 방언의 형성과 특징
2.1. 전남 방언 연구의 필요성
전남 방언 연구의 필요성이다.
언어는 본래 이질성과 다양성을 그 본질로 하기 때문이다. 또한 방언이란 것이 하루아침에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릴 수 있는 존재도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의 일상생활은 물론이거니와 시, 소설, 수필 속에서도 우리의 방언들이 생생히 살아있다. 따라서 최근 한국 소설문학의 최고봉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조정래 선생의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전남 방언의 특징에 관하여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그동안 소홀히 생각했던 혹은 일상생활에서 종종 사용했던 방언에 관하여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방언은 촌스러운 구시대적인 언어가 아니라 우리 민족의 역사와 정신, 삶이 살아 숨쉬는 언어라는 것을 우리는 항상 기억해야 할 것이다.
2.2. 전남 방언의 역사적 배경
전남 방언의 역사적 배경이다.
전라남도 방언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살펴보면, 전라남도가 마한의 옛터였고 백제가 마한을 통합할 때까지 약 4세기동안 마한과 백제가 공존관계였기 때문이다. 백제의 전·중기 지역이 중부지역이었다는 점도 전라남도 방언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이후 마한은 백제에 통합되어 약 3세기 동안 지내다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자 신라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고려하여 볼 때, 전라방언은 마한어를 근간으로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방언과 지명의 비교·연구를 통해 그 타당성이 입증될 것으로 보인다. 전라도 말이 서울말과 276년 전에 갈라진 것으로 보고 있는데, 이는 제주도말(334년) 다음으로 서울말과의 대비에서 기초 어휘의 잔존율이 낮음을 의미한다. 그만큼 전라도 특히 전라남도 말은 중앙어와 음운, 형태, 통어 등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3. 「태백산맥」에 나타난 전남 방언의 특징
3.1. 음운체계
3.1.1. 모음체계
전남 방언에는 동부지역과 서부지역에 따라 각각 10모음체계와 9모음체계가 나타난다이다.
동부지역의 10모음체계는 /i, e, ɛ, ɨ, ʌ, u, o, a, wi, we/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부지역의 9모음체계는 /i, E, ʌ, u, o, a, wi, we, wo/로 이루어져 있다.
이처럼 전남 방언은 표준어와 달리 독특한 모음체계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전남 지역의 방언이 오랜 기간 동안 발전하면서 형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ɨ, ʌ, wi, we/와 같은 모음은 전남 방언의 대표적인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전남 방언에서는 모음의 장단 대립이 단어의 의미를 변별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이처럼 전남 방언의 독특한 모음체계는 오랜 역사적 발전 과정을 거쳐 형성된 것으로, 이는 국어의 다양성과 풍요로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3.1.2. 자음체계
전남 방언의 자음체계이다. 표준어와 마찬가지로 19개의 자음체계를 갖고 있다. 이에는 양순음 ㅂ, ㅃ, ㅍ, 치경음 ㄷ, ㄸ, ㅌ, 구개음 ㄱ, ㄲ, ㅋ, 마찰음 ㅅ, ㅆ, ㅎ, 파찰음 ㅈ, ㅉ, ㅊ, 비음 ㅁ, ㄴ, ㅇ, 유음 ㄹ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자음체계는 전남 방언이 중부 방언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보여준다. 다만 일부 지역에서는 어두경음화 현상이나 자음군 단순화 등의 음운 변동이 활발하게 나타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처럼 전남 방언의 자음체계는 표준어와 유사하지만 세부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