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여성 생식기 건강사정
1.1. 문진
1.1.1. 건강력
임신이나 피임 여부, 월경 주기, 유전적 질병력 등 여성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과거에 경험했던 임신, 분만, 유산 내역을 파악하여 현재 및 미래의 건강문제를 예측할 수 있다. 성생활 관련 정보를 통해 성병 감염 위험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심리사회적 요인을 사정하여 여성의 전반적인 건강과 삶의 질을 사정할 수 있다. 생애주기별 주요 건강문제를 확인함으로써 전인적인 여성건강관리가 가능하다.
사춘기에는 초경 경험, 월경통, 월경전증후군 등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가임기에는 질경련증, 원치 않는 임신, 불임, 성병 등의 건강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중년기에는 폐경으로 인한 골다공증, 근골격계 질환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노년기에는 뇌, 신경계 질환과 근골격계 질환, 급·만성 질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영유아기부터 노년기까지 생애주기별 주요 건강문제를 확인하고 성교육이 필요하다.
1.1.2. 과거력과 주호소
대상자는 불규칙한 월경 및 유방 압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과거력 상 20대 초반부터 월경통과 월경 전 증후군을 겪어왔으며, 최근 들어 월경 주기가 불규칙해지고 월경량이 많아지는 증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유방의 민감성이 증가하고 통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에 여성 생식기 건강을 종합적으로 사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1.1.3. 가족력
가족의 질병이나 건강 관련 정보를 통해 유전적인 위험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유방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등의 부인과 질환 가족력이 있는 경우 해당 질환에 대한 유전 감수성이 높을 수 있다. 또한 고혈압, 당뇨병, 심혈관 질환 등의 만성질환 가족력도 중요하게 조사되어야 한다. 가족구성원의 건강상태와 기능을 파악하여 질병 발생 여부, 조기 발견 여부, 치료 경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건강 위험요인을 효과적으로 사정할 수 있다.
1.1.4. 성생활력
개인의 성생활 관련 정보를 파악하는 것은 여성 생식기 건강사정에서 매우 중요하다. 성생활 력에는 성 정체성, 성적 지향, 성행동, 성적 만족도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보를 통해 성매개 감염 질환, 성폭력, 성적 불만족 등의 위험요인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피임 방법, 성에 관련된 가치관과 태도 등도 파악한다. 여성의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