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만성편도염,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1개, 간호진단 수술(편도절제술)과 관련된 급성통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만성편도염의 정의와 특성
2. 본론
2.1. 만성편도염의 병태생리
2.2. 만성편도염의 임상적 특성
2.2.1. 증상과 징후
2.2.2. 진단 및 검사
2.3. 만성편도염의 치료
2.3.1. 내과적 치료
2.3.2. 외과적 치료
2.4. 만성편도염 환자의 간호
2.4.1. 편도선염 간호
2.4.2. 편도절제술 간호
3. 사례 연구
3.1. 대상자 선정과 방법
3.2. 대상자의 간호력
3.3. 간호과정
3.3.1. 간호진단 도출
3.3.2. 간호계획 및 중재
3.3.3. 간호 평가
4. 결론
4.1. 연구 요약
4.2. 제언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편도선염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관찰되는 질환이다. 주변에서 편도선염을 겪었던 사례를 접하면서 편도선염의 효과적인 예방과 간호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편도선염의 병태생리, 임상적 특성, 치료 방법 및 간호 방안을 고찰하여 편도선염 환자의 건강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편도선은 상기도를 침범하는 미생물에 대항하는 방어벽 역할을 하는데, 급·만성 편도선염은 편도에 국한된 감염이나 인두의 일부까지 침범할 수 있다. 편도선염의 원인균은 주로 연쇄상구균이며,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편도선염 증례도 있다. 편도선염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고열, 인후통, 삼킴 곤란 등이 있다. 만성 편도선염은 급성 편도선염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거나 급성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보존적 치료와 함께 항생제 투여, 진통제 및 소염제 투여 등의 내과적 치료와 편도 절제술과 같은 외과적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편도선염 환자의 간호에서는 통증 관리, 기도 청결 유지, 감염 예방 등이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이처럼 편도선염은 다양한 병태생리와 임상 양상을 보이며, 이에 따른 다각도의 치료와 간호가 요구된다. 따라서 편도선염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은 보건의료 현장에서 환자 간호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1.2. 만성편도염의 정의와 특성
만성편도염이란 급성 편도염이 반복되는 경우 혹은 급성과 같은 증상은 없더라도 지속적으로 편도의 염증으로 불편한 상태를 의미한다. 대개는 급성 편도염의 증상이 자주 반복되는 형태를 보이며, 전신적 감염 혹은 상기도 감염의 발병률이 증가할 수도 있다. 만성편도염의 원인균은 급성 편도염과 비슷하나 그람양성균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만성편도선염 환자에서는 반복되는 급성 편도선염의 증상이 있을 수도 있지만, 가장 흔한 증상은 만성적인 인후통이며, 그 외에 연하곤란이 나타나기도 하고 구취를 호소하기도 한다.
2. 본론
2.1. 만성편도염의 병태생리
편도는 코와 입으로 들어오는 항원에 대해 반응을 하고 주로 점막 표면을 방어하기 위해 항체를 만들어 분비한다. 편도는 출생 시부터 커지기 시작하며 면역학적으로 4-10세에 가장 활발하다가 사춘기 이후에는 점차 퇴화한다. 편도염은 이러한 편도 구조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급성 편도염은 편도에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인해 발생한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베타 용혈성 연쇄상구균이지만 포도상구균, 폐렴구균 등 다양한 원인균이 존재하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콕사키바이러스 등 여러 바이러스들도 편도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만성 편도염은 급성 편도염이 반복되는 경우 혹은 급성과 같은 증상은 없더라도 지속적으로 편도의 염증으로 인해 불편한 경우를 말한다. 대개는 급성 편도염의 증상이 자주 반복되는 형태를 보이며, 전신적 감염 혹은 상기도 감염의 발병률이 증가할 수도 있다. 만성 편도염의 원인균은 급성 편도염과 비슷하나 그람양성균이 더 많다.
2.2. 만성편도염의 임상적 특성
2.2.1. 증상과 징후
편도선염 환자들은 대부분 갑작스러운 고열, 오한, 심한 인후통을 호소한다. 음식을 삼킬 때 아픈 통증이 동반되며, 두통, 전신위약감, 관절통 등의 전신증상이 함께 나타난다. 4~6일 후에는 증상이 호전되는 양상을 보인다. 환자의 구강을 살펴보면 편도 주위의 입 안이 붉게 충혈되고 편도가 커지면서 하얀 삼출액이 붙어 있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만성편도염 환자들은 주로 만성적인 인후통을 호소하며, 연하곤란과 구취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편도선염의 국소 합병증으로는 편도주위농양이 흔히 관찰되며, 이때 심한 통증과 귀 아픈 증상을 호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도의 연쇄상구균 감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전신 합병증으로 급성 류마티스열과 연쇄상구균성 사구체 신염이 있다.
2.2.2. 진단 및 검사
급성 편도염은 일반적으로 환자의 증상을 파악하고 신체 검진을 시행하여 진단할 수 있다. 구인두를 면밀히 관찰하여 발적, 부종, 삼출물의 유무 등을 판단할 수 있다. 감염원을 알아보기 위해 세균 배양 검사나 인두 도말 검사 등을 시행할 수도 있다. 합병증이 의...
참고 자료
의학 정보원 http://www.health.kr/
[네이버 지식백과] (의약품 사전)
[출처] 병원혈액검사 lab결과 임상적의의 1편 : 혈액검사 피검사 질환해석|작성자 조커윤 https://blog.naver.com/ycr533/222020751317
성인간호학Ⅰ, 윤은자 외 11명, 수문사, 2019년
성인간호학 임상실습 1,2, 황순정·이선영, 수문사, 2020년
만성편도염 완치 방법 출처 : 자연건강 https://blog.naver.com/smileforyou_/221107846708
편도선염 – 나무위키 http://me2.do/52rSWYJr
편도선염 문헌고찰 https://blog.naver.com/ycr533/221412368631
Susan Rowen James, Kristine Ann Nelson, Jean Weiler Ashwill, 박호란, 박인숙, 김은경, 전화연, 오원옥, 김동희, 박선남, 신현숙, 임여진, 지은선 외,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9, 436-437.
Susan Rowen James, Kristine Ann Nelson, Jean Weiler Ashwill, 박호란, 박인숙, 김은경, 전화연, 오원옥, 김동희, 박선남, 신현숙, 임여진, 지은선 외,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9, 487.
황옥남, 유양숙, 조경숙, 김희경, 권보은, 은 영, 박효미, 박영례 엄미란 외, 제7판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8, 40.
양선희, 원종순, 백훈정, 조현숙, 강정희, 이정인, 김영주, 박진희, 신미경 외, 제3판 기본간호학Ⅱ, 현문사, 2018, 11-25.
의약품안전나라_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드러그인포
아동간호학Ⅱ (2020)/ 김효신 외/ 수문사 p.383 ~ p.385
임상원저: 편도절제술의 합병증/ 윤경성 외/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10, 32권 5호 pp.437-441 (5page)
성인간호학 (상) (2022)/ 유양숙 외/ 현문사 p. 228 ~ 248 p. 492 p. 508~509
편도절제술의 4가지 기법에 대한 비교 / 김남국 외/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13, vol.56, no.12, pp. 773-777 (5 pages)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