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척추질환의 정의 및 중요성
현대인은 장시간 앉아있는 경우가 많아짐에 따라 척추에 무리가 가고 비뚤어지게 되어 척추 관련 질환이 생길 확률이 높아지고 있다. 척추는 경추, 흉추, 요추로 구성되며 추간판과 척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척추에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질환으로는 경추간판수핵 탈출증, 수핵 탈출증, 추간원판 탈출, 척추협착증, 척추전방전위증, 후방인대골화증, 마미 증후군 등이 있다. 이러한 척추질환은 통증, 마비, 파행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어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척추질환의 정의와 종류, 증상, 진단 및 치료법 등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척추는 경추(7개), 흉추(12개), 요추(5개)의 33개 척추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요추 아래쪽으로 천추(5개)와 미추(4~5개)가 위치한다. 척추체 사이에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추간판(디스크)이 있고, 척추관 내에는 척수와 31쌍의 척수신경이 있다. 또한 척추관 바로 옆에는 척추뼈를 세로로 묶는 황색인대가 있다.
경추간판수핵 탈출증은 목뼈와 목뼈 사이 추간판이 돌출되어 신경근과 척수를 누르는 질환이다. 주된 증상은 목, 등, 팔의 통증과 저림, 근력 약화 등이다. 진단을 위해 단순 방사선 검사, MRI, CT 등의 검사를 시행한다. 보존적 치료나 수술적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수핵 탈출증은 디스크의 수핵이 섬유륜의 파열로 정상 위치를 벗어나 신경을 누르는 경우를 말한다. 요통, 하지방사통, 압통, 감각이상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진단을 위해 MRI, CT 등의 검사를 시행하며, 보존적 치료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추간원판 탈출은 척추와 척추 사이의 수핵이 섬유륜의 파열로 정상 위치를 벗어나 신경을 누르는 경우이다. 요통, 하지방사통, 압통, 감각이상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진단을 위해 MRI, CT 등의 검사를 시행하며, 보존적 치료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척추협착증은 척추관, 추간공, 신경근과가 좁아져 마미신경총이나 신경근이 압박되어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보행 시 허리, 엉덩이, 다리의 통증과 저림, 감각 저하, 근력 약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진단을 위해 단순 방사선 검사, MRI 등을 시행하며, 보존적 치료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척추전방전위증은 척추 분리증 또는 퇴행성 변화로 인해 하부 요추나 천추의 척추체가 전방으로 전위되는 질환이다. 요통, 하지방사통, 감각 저하, 근력 약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진단을 위해 단순 방사선 검사, MRI 등을 시행하며, 보존적 치료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후방인대골화증은 후종 인대가 뼈처럼 단단하게 굳어져 척추관을 지나는 신경을 압박하여 신경장애를 유발하는 질환이다. 경부 통증과 압박감, 상지의 저림, 감각 저하, 보행 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진단을 위해 단순 방사선 검사, MRI 등을 시행하며, 보존적 치료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마미 증후군은 제 3요추 이하의 신경근 다발인 마미에 발생한 신경학적 병증을 말한다. 주요 증상은 엉덩이, 회음부, 하지의 감각 이상과 방광, 장, 성기능 장애 등이다. 진단을 위해 척수조영술, CT, MRI 등을 시행하며, 약물 치료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이와 같이 척추질환은 통증, 마비, 기능 장애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어 환자의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척추질환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 연구의 목적
척추질환의 연구 목적은 현대인들의 척추 관련 질환 관리를 위함이다. 장시간 앉아있는 생활습관으로 인해 척추에 무리가 가해지면서 척추 관련 질환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추와 요추 질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척추수술 및 보조기 사용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척추질환 관리를 돕고자 한다.
척추는 경추(7개), 흉추(12개), 요추(5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척추체와 추간판(디스크), 척수, 척수신경(신경근)으로 이루어져 있다. 척추는 다양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어 여러 종류의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주요 척추질환으로는 경추간판수핵 탈출증, 수핵 탈출증, 추간원판 탈출, 척추협착증, 척추전방전위증, 후방인대골화증, 마미증후군 등이 있다. 이들 질환은 연령 증가, 외상, 퇴행성 변화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통증, 감각 및 운동 이상, 보행 장애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진단을 위해서는 영상 검사와 신경학적 검사 등이 활용된다.
척추질환의 치료는 보존적 요법과 수술적 요법으로 나뉜다. 보존적 요법에는 약물 치료, 물리 치료, 운동 요법 등이 포함되며, 증상 관리와 함께 질환 악화 방지를 목적으로 한다. 수술적 요법에는 디스크 절제술, 척추관 확장술, 척추 유합술 등이 있으며, 신경 압박 해소와 척추 불안정성 교정을 위해 시행된다.
척추수술 전후 간호 역시 중요하다. 수술 전에는 상처 관리와 수술에 대한 설명 및 동의서 작성이 필요하며, 수술 후에는 활력징후 확인, 상처 간호, 재활 등을 수행한다. 척추질환 환자는 경추나 요추 보조기를 착용하여 척추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척추질환은 현대인들에게 매우 흔한 문제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치료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척추질환의 특성과 치료법, 재활 등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2. 척추의 해부학적 구조
2.1. 경추, 흉추, 요추의 구조 및 기능
척추는 경추(cervical vertebrae, 7개), 흉추(thoracic vertebrae, 12개) 그리고 요추(lumbar vertebrae, 5개)로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추 아래쪽으로 천추(sacrum, 5개)와 미추(coccyx, 4~5개)가 위치하고 있다.
척추는 총 33개의 척추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에서 주로 문제를 일으키는 곳은 경추 7개, 흉추 12개와 요추 5개로 구성된 24개의 척추체이다.
디스크는 척추체 사이에서 척추에서 받아들이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신발에 비유하면 밑창과 같은 역할을 담당하는 해부학적인 구조물이다. 척수는 척추관 속에 있는 중추신경으로 뇌 신경과 척수신경(신경근)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척수신경(spinal nerve)이란 척수에서 갈라져 나와 신체의 각 부위에 퍼져 있는 신경의 총칭이며, 사람의 몸에는 모두 31쌍의 척수 신경이 있다. 황색인대는 척추관 바로 옆에서 척추뼈를 세로로 묶어주는데, 황색인대가 두꺼워지면 직접적으로 척추관을 압박하게 되어 척추 협착증을 일으키게 된다.
2.2. 추간판(디스크)과 척수의 역할
추간판(디스크)은 척추체 사이에 위치하여 척추에서 받아들이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해부학적 구조물이다. 척추체 사이에 위치한 디스크는 신발 밑창과 같은 역할을 하여 척추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완화시킨다. 척수는 척추관 속에 있는 중추신경으로, 뇌와 척수신경(신경근)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척수는 척추골의 보호를 받으며 중추신경계의 일부를 이루어 신체의 감각과 운동 기능을 담당한다.
3. 척추질환의 종류
3.1. 경추간판수핵 탈출증
목뼈와 목뼈 사이 추간판이 돌출되어 신경근과 척수를 누르게 되어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 것을 목 디스크 또는 경추간판 탈출증이라 한다. 연령증가에 따라 수분이 감소하여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 경추 간판의 탄력성이 상실되고 추간판벽에 균열이 발생하여 내부의 굳어진 수핵이 빠져 나오기 때문에 발생한다. 또한 외상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목이 뻣뻣하고 두통이 오거나 목이나 등에 통증을 느끼며, 경추 신경이 점차적으로 눌리게 되면 어깨와 팔, 손가락이 저리고 당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