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약물용량계산
1.1. 검사 (아동)
아동의 검사와 관련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아동의 검사 과정에서 이유와 절차에 대해 충분한 설명이 필요하다. 모든 설명은 아동에게 적합한 언어로 이루어져야 하며, 아동이 경험하게 될 모든 느낌을 알려주며 준비해야 한다. 검사물의 종류와 무관하게 표준감염 예방 및 관리지침을 지켜야 하며, 글러브, 가운, 마스크, 눈 보호대, 손위생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잠재적인 감염원과의 접촉에서 보호해야 한다.
소변검사물의 경우, 영아와 어린 유아는 배변훈련이 안 되었기 때문에 검사물 수집기구가 필요하다. 가장 신뢰하는 비침습적 방법은 아동 소변수집백이며, 부착할 수 있게 만든 비닐백으로 회음부위에 붙일 수 있다. 24시간 수집백도 사용할 수 있지만, 회음부에 상주하는 유기체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아동의 경우 단순 도뇨나 방광천자를 통해 검사물을 수집할 수 있다. 연장아와 청소년에는 변기, 소변컵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어린 아동과 학령전기 아동은 배뇨 요청이 어려워 간호사가 친숙한 용어를 사용하고 유아용 변기의자나 'hat set'을 활용해야 한다.
도뇨관 삽입은 아동의 심리적, 발달적 요구로 성인과 다르므로, 간호사는 처치 전에 아동과 가족을 준비시키고 지지해야 한다. 적절한 크기의 카테터를 선택하고 올바른 방법을 사용해야 하며, 아동의 발달 수준에 따라 처치 단계와 과정을 교육해야 한다.
대변검사물의 경우 연장아는 화장실 변기나 검사물 수집기를 이용할 수 있지만, 아동은 검사물 수집 절차에 대해 사실 중심으로 조용히 설명해주어야 한다.
산소화 사정을 위해 맥박산소측정기와 모세혈관 및 동맥혈 가스분석을 활용할 수 있다. 맥박산소측정기는 아동의 산소포화도와 관류상태를 반영하지만, 비정상적인 헤모글로빈 수치나 말초관류 감소 등의 요인으로 인해 잠재적인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모세혈관과 동맥혈 가스분석은 혈액의 산소농도, 신체의 산-염기 균형을 측정할 수 있다.
1.2. 약물용량 계산 학습
1.2.1. 약 용량계산
약 용량계산이다. 먼저 체중 당 용량(mg/kg/일) 방법으로 권장용량을 확인한다. 그리고 아동의 체중에 근거해서 처방된 용량이 안전한지 확인한다. 또한 권장되는 분할 용량 횟수(예, 4시간마다, 3회/1일, 12시간마다)를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투여경로가 올바른지 확인한다. 체표면적이나 BSA로 계산할 수도 있는데, 약용량 = 아동의 BSA(m2)/17 X 성인용량이다.
1.2.2. 유지 수액요구량과 속도
아동의 일일 수액요구량은 체중에 따라 결정된다. 10kg 또는 그 이하의 경우 100ml/kg/day이며, 10~20kg인 경우 1,000ml/day에 10kg을 초과한 체중 1kg당 50ml/day를 더한다. 20kg 이상의 경우 1,500ml/day에 20kg을 초과한 체중 1kg당 20ml/day를 더한다. 따라서 체중에 따라 아동의 일일 수액요구량은 변화한다. 이러한 공식을 활용하여 개별 아동의 정확한 일일 수액요구량을 계산할 수 있다.
1.2.3. 약물용량 계산 학습
약물 용량계산은 환자의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먼저 체중 당 용량(mg/kg/일) 방법으로 권장용량을 확인한다. 그 다음 아동의 체중에 근거해서 처방된 용량이 안전한지 확인한다. 또한 권장되는 분할 용량 횟수(예, 4시간마다, 3회/1일, 12시간마다)를 확인하고, 투여경로가 옳은지 확인한다. 체표면적이나 BSA로 계산하여 약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아동의 일일 수액요구량은 체중에 따라 다르다. 10kg 또는 그 이하는 100ml/kg/day, 10~20kg는 1,000ml/day+50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