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학교 정보과학 특성화의 필요성
학교 정보과학 특성화의 필요성이다. 정보과학 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정보과학에 대한 이해와 활용 능력이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정보과학 역량 강화를 위해 특성화된 교육과정 운영이 필요하다. 학교 정보과학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진로와 적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편성되어야 한다. 다양한 정보과학 관련 비교과 활동과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정보과학 분야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제고하고 미래 사회에 필요한 정보과학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1.2. 교과 교육과정 구성 방향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은 정보과학 특성화를 위한 융합적인 접근이다. 학년별로 정보, 수학, 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편성하여 운영한다. 1학년은 정보 교과를 선택 이수하고, 2학년은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융합과학 과제연구 과목 중 선택 이수한다. 3학년은 고급 수학, 고급 물리, 고급 화학, 고급 생명과학, 고급 지구과학, 융합과학 탐구, 융합과학을 선택 이수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주제연구를 수행하고 심화 학습을 하여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탐구 실험 역량 강화를 위하여 학교 간 연계 공동교육과정으로 물리학실험, 화학실험, 생명과학실험, AI, 프로그래밍 등을 운영하여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을 강화한다. 이와 함께 정보, 수학, 과학 동아리 활동을 활성화하고 지역사회 연계 행사에 참여하도록 하여 진로 역량을 강화한다. 교과 교육과정 구성의 핵심은 학생들의 자기주도성과 창의성을 향상시켜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융합적 역량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다.
2. 학교 정보과학 특성화 운영
2.1. 학년별 교육과정 편성
1학년에는 정보 과목과 통합과학 과목을 공통으로 이수하고, 물리학I, 화학I, 생명과학I, 지구과학I 중 선택과목을 이수한다. 또한 물리학 과제연구, 화학 과제연구, 생명과학 과제연구, 융합과학 과제연구, 정보과학, 프로그래밍 등의 선택 진로 과목을 운영한다.
2학년에는 물리학II, 화학II, 생명과학II, 지구과학II 중 선택과목을 이수하고, 응용물리학탐구, 응용화학탐구, 응용생명과학탐구, 응용지구과학탐구 등의 선택 진로 과목을 운영한다. 또한 AI, 물리실험, 화학실험, 생명과학실험 등의 공동교육과정 선택 과목을 편성한다.
3학년에는 고급 물리학, 고급 화학, 고급 생명과학, 고급 지구과학, 융합과학 탐구, 융합과학 등의 선택 진로 과목을 편성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와 관심에 따라 심화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응용 과목들을 개설하여 일상생활이나 산업 분야에서 관찰할 수 있는 과학 현상을 과학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능력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