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항공기 기체의 중요성
항공기의 기체는 항공기관과 장비 계통이 제외한 항공기의 거의 모든 부분을 가리킨다. 항공기 기체는 동체, 주 날개, 꼬리날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부분은 항공기의 비행에 절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동체는 항공기의 몸체로서 승무원, 승객 및 화물을 수용하는 공간이며, 날개와 꼬리날개, 착륙장치 및 엔진 등이 부착되는 부분이다. 주 날개는 공기와의 상대운동을 통해 양력을 발생시켜 항공기를 공중으로 들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꼬리날개는 항공기의 안정성과 조종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부분이다. 이처럼 기체 구조의 각 부분은 항공기의 비행에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1.2. 기체 구조의 분류와 특징
항공기의 기체 구조는 크게 트러스 구조, 모노코크 구조, 세미모노코크 구조로 분류된다. 트러스 구조는 강재나 목재를 삼각형 그물 모양으로 짜서 하중을 담당하게 하는 구조이다. 모노코크 구조는 정형재와 벌크헤드에 두꺼운 외피를 입혀 내부 공간 마련을 용이하게 제작하는 형태이다. 세미모노코크 구조는 모노코크 구조에 세로방향 부재를 추가시킨 형태로, 대부분의 하중을 동체 골조 구조가 담당하기 때문에 외피를 가볍게 할 수 있어 무게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현대 항공기는 대부분 세미모노코크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윈드실드는 비행기의 여압 및 충돌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날개는 양력 발생을 위해 중요한 부분이며, 리브와 날개보, 스트링어 등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날개는 동체에 지주식 또는 외팔보식으로 장착된다. 연료탱크는 인테그럴형, 블래더형, 셀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된다. 날개에는 방빙 및 제빙 장치가 설치되어 결빙 문제를 해결한다. 꼬리날개는 동체 후방에 위치하며, 안정성과 조종성을 제공한다. 착륙장치는 이륙, 착륙, 지상운전 시 항공기 무게를 지탱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엔진 마운트는 엔진을 기체에 장착시켜 추력을 전달하며, 나셀은 엔진을 둘러싸는 공기역학적 구조물이다.
2. 기체 구조 구성
2.1. 동체
항공기의 동체는 승무원, 승객 및 화물 등을 수용하는 공간이며, 날개, 꼬리날개, 착륙장치 및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