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우리나라 산업재해 현황
1.1. 주요 산업재해 지표
우리나라 산업재해의 주요 지표는 다음과 같다.
사망재해 발생 건수는 342건으로 전년 대비 10.3% 감소했다. 사망재해 발생률은 10만 명당 4.3건으로 전년 대비 11.1% 감소했다. 근로재해 발생 건수는 70,481건으로 전년 대비 4.5% 감소했으며, 근로재해 발생률은 100만 명당 9,003건으로 전년 대비 5.2% 감소했다.
근로재해보험 가입 사업장 수는 521,025개소로 전년 대비 0.2% 증가했고, 근로재해보험 가입 근로자 수는 1,741만 명으로 전년 대비 0.6% 증가했다.
이를 통해 사망재해와 근로재해 발생 건수와 발생률이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근로재해보험 가입 사업장과 근로자 수도 증가하고 있어, 안전보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2.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기업의 안전 문화 발전 방안
기업의 안전 문화 발전 방안은 다음과 같다.
기업은 안전관리체계를 강화하여 안전에 대한 책임과 역할을 명확히 해야 한다. ISO 45001과 같은 국제 표준을 준수하고, 안전 관련 프로세스와 절차를 명확히 정의하고 시행함으로써 안전 문화를 강화할 수 있다.
또한 관련 법규를 철저히 준수하고, 법규에 따른 안전 절차와 기준을 준수할 수 있도록 감시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정부의 감독과 지원을 받아 안전 규정을 준수하고, 안전 문제에 대한 신고 및 제재체계를 운영해야 한다.
안전보건위원회를 설립하여 직원들과 경영진이 함께 안전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안전 활동을 기획하고 추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안전보건위원회는 안전에 대한 의식을 높이고, 안전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역할을 한다.
안전을 우선시하는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안전성과 안전 행동에 대한 보상제도를 도입하거나 개선해야 한다. 우수한 안전성과 안전 행동을 보이는 직원들에게는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거나 신고하는 직원들에게는 보상을 지급함으로써 안전에 대한 동기부여를 높일 수 있다.
안전에 대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강화하여 직원들의 안전 인식과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정기적인 안전 교육과 훈련을 통해 안전 절차와 기술을 습득하고, 안전 관련 최신 정보를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이러한 제도적 방안들을 통해 기업은 안전문화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직원들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안전문화의 구축은 단기적인 노력이 아닌 장기적인 시각에서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경영진의 리더십과 직원들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2. 안전보건경영체계의 PDCA 사이클
2.1. 계획(Plan) 단계의 주요 활동
계획(Plan) 단계의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다.
기업의 안전보건경영체계 구축을 위한 전략 및 목표를 수립하는 것이 이 단계의 핵심이다. 먼저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범위와 목적을 명확히 정의한다. 그리고 조직의 안전 및 건강 위험을 평가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한다.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조직 구조와 역할을 정의하고, 성과 지표를 설정하며 성과 평가 방법을 수립한다. 마지막으로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개선을 위한 목표와 계획을 수립한다.
구체적인 주요 활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최고 경영진은 안전보건에 대한 의지와 정책을 명확히 천명한다. 안전보건 목표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한다.
둘째, 사업장의 안전보건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위험 수준을 평가한다. 이를 바탕으로 위험 요인을 제거하거나 관리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한다. 이때 법규와 규정 준수 사항을 고려한다.
셋째,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운영을 위한 조직 구조와 역할, 책임, 권한을 정의한다. 안전보건 담당자와 근로자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구분한다.
넷째,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설정한다. 이를 통해 계획 대비 실행 결과를 확인하고 개선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다.
다섯째, 수립된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계획을 체계적으로 문서화한다. 이를 통해 향후 실행, 점검, 개선 단계에서 참고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한다.
이처럼 계획 단계에서는 안전보건 목표와 전략을 수립하고, 위험 요인을 파악하며, 조직 체계와 성과 지표를 정의한다. 이를 바탕으로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핵심이다.
2.2. 실행(Do) 단계의 주요 활동
실행(Do) 단계에서는 계획 단계에서 수립한 대책을 실행하고,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운영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주요 활동을 수행한다.
계획에 따라 안전보건 교육, 안전장치 설치, 작업 절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