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호이스트 작업의 중요성 및 위험성
호이스트 작업은 다양한 건설현장에서 필수적인 작업이다. 건물의 골조 조립, 중량물 상하차 작업, 토목공사 자재 인양 등 건설공사 전반에 걸쳐 호이스트가 활용된다. 호이스트 작업은 현장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므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호이스트 작업은 작업 특성상 많은 위험요인이 내재되어 있다. 호이스트 장비 고장, 작업자의 부주의, 작업환경 요인 등으로 인한 추락, 낙하, 충돌, 끼임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특히 타워크레인, 이동식크레인, 고소작업대 등 대형 호이스트 장비를 사용할 경우 인명 및 재산상 피해가 심각할 수 있다. 따라서 호이스트 작업 시 안전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체계적인 위험성 평가와 예방대책이 필요하다. []
1.2. 연구 목적
건설업의 재해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타 업종에 비해 재해자수, 사고부상자, 사고사망자 수가 가장 높다. 특히 건설기계를 이용한 작업 시 재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건설기계 작업 중 발생하는 재해는 넘어짐, 끼임, 떨어짐, 물체에 맞음, 감전 등이 주로 발생하며 재해강도가 매우 크고 인적·물적 손실이 크다. 따라서 건설기계 작업의 안전성 확보는 건설업 발전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호이스트 작업에서의 위험요인 분석
2.1. 타워크레인 작업의 위험요인
타워크레인 작업에는 여러 가지 위험요인이 존재한다. 첫째, 타 장비와의 추돌 위험이다. 타워크레인 인상작업 중 이동식크레인 등의 다른 건설기계와 충돌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충돌방지장치를 설치하고 타 장비의 작업 반경 내에서는 작업을 지양해야 한다. 둘째, 과부하로 인한 충격 및 볼트 불량으로 인한 붕괴 위험이다. 과부하 작업을 금지하고 안전장치 해제를 금지하며 볼트류에 대한 주기적인 비파괴 검사가 필요하다. 셋째, 고소작업 중 안전대 미착용으로 인한 추락 위험이다. 고소작업 시 반드시 안전대를 착용해야 하며, 이를 위반할 경우 강한 처벌이 필요하다. 넷째, 지면 불량으로 인한 세워놓은 부재의 전도 위험이다. 작업 전 지면 상태를 확인하고 수시로 환경을 점검하여 위험요소를 제거해야 한다. 이처럼 타워크레인 작업에는 다양한 위험요인이 존재하므로 안전장치 설치, 작업절차 준수, 작업환경 관리 등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2.2. 이동식크레인 작업의 위험요인
장비 제원을 초과하여 크레인이 넘어가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작업 전 작업계획서를 작성하여 장비 제원을 확인하고 준수해야 한다. 또한 지반 상태를 미확인한 채 작업을 진행하다 크레인이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전 지반 상태를 충분히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지반을 보강해야 한다. 이와 같이 이동식크레인 작업 시 장비 제원 초과 작업과 지반 상태 미확인이 주요 위험요인이다.
2.3. 지게차 작업의 위험요인
지게차 운전원이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으면 지게차가 전복되었을 때 작업자가 부상을 당할 수 있다. 또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