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성문법과 불문법의 비교
1.1. 성문법 체계의 특징
성문법 체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성문법은 법률, 판례, 행정명령 등이 문서화되어 고정된 법 체계를 이루고 있다. 이는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 등 공식적인 국가기관에 의해 제정되고 공포되어 강제성을 갖는다. 성문법은 법률적 근거가 명확하고 내용이 구체적이어서 법 해석과 적용이 명확하다. 따라서 법적 예측가능성과 안정성이 높다. 또한 성문법은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어 관련 법령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성문법은 절차적 정당성을 갖추고 있으며, 국민이 법을 쉽게 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국민의 법적 안전성과 법적 평등이 보장된다.
1.2. 불문법 체계의 특징
불문법 체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로부터 축적되어 온 판례가 1차적인 법원(法源)이 되며, 이러한 판례법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둘째, 판결문 내에서도 판결이유와 방론의 구속력에는 차이가 있는데, 판결이유가 핵심 쟁점에 대한 판단 근거로서 강력한 구속력을 가지는 반면, 방론은 상대적으로 약한 구속력만을 가진다. 셋째, 상급법원의 판결이 하급법원에 대해 구속력을 발휘하는 선례 구속의 원리가 적용된다. 다만, 선례라도 충분한 근거가 있다면 법원이 이를 깨고 새로운 판례를 형성할 수 있다. 넷째, 영국의 경우에는 선례가 전적으로 구속력을 가지지만, 미국은 기본적으로 선례를 존중하되 이를 반드시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섯째, 영국의 법관은 전문가적이고 객관적인 태도를 보이는 반면, 미국의 법관은 정치적 성향이나 사회적 인식을 드러내는 경향이 강하다. 여섯째, 미국에서는 연방법원 판사와 주 법원 판사로 구별되며, 법관 임용에 있어서도 구체적인 자격 요건과 선발 절차를 거치게 된다. 이처럼 불문법 체계는 판례법주의와 선례 구속의 원리를 바탕으로 하며, 그 적용과 해석에 있어 국가 간 차이가 존재한다.
1.3. 성문법과 불문법의 차이점
성문법과 불문법은 법체계의 근원에 차이가 있다. 성문법은 제정된 법전을 근거로 하는 반면, 불문법은 역사적으로 축적된 판례를 법원으로 인정한다. 이에 따라 성문법과 불문법은 다음과 같은 차이를 보인다.
첫째, 성문법은 법전에 명문화되어 있어 법의 내용이 명확하고 안정적이지만, 불문법은 판례법으로서 개별 사안에 따라 법리가 변화할 수 있어 법적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즉, 성문법은 법의 내용이 명시적이지만, 불문법은 개별 판례의 축적을 통해 점진적으로 발전하기 때문에 일관성과 예측가능성이 낮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성문법은 입법부에 의해 제정되는 반면, 불문법은 사법부에 의해 판례로 형성된다. 따라서 성문법은 입법 과정을 거쳐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하지만, 불문법은 법관의 재량에 의해 형성되므로 민주적 정당성이 약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성문법은 성문화된 상위법과 하위법 간의 체계적인 위계질서를 가지지만, 불문법은 판례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점진적으로 발전하므로 법체계의 위계가 명확하지 않다. 이에 따라 성문법은 법적 안정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