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응급환자 분류체계 Triage의 정의와 유래
Triage는 '분류하다'라는 뜻의 프랑스어 trier에서 유래된 단어이다. 처음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사람은 나폴레옹 전쟁 당시의 프랑스군의 군의관이자 의무총감이었던 도미니크 장 라레(Dominique Jean Larrey, 1766~1842)이다. 전쟁 당시 전쟁에 투입 가능한 자와 불가능한 자를 구분하기 위해 처음 사용되었으며, 자원이 부족한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자원 활용을 위해 사용되었다.
1.2. Triage 체계의 필요성 및 목적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들은 의료적 상태가 다양하므로, 한정된 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응급환자 분류체계인 Triage가 필요하다.
Triage는 응급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치료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응급실뿐만 아니라 전쟁, 재난 현장, 대형 사고 등에서도 적용되고 있다. Triage의 주요 목적은 생명이 위급한 환자를 신속히 치료하여 사망률을 낮추고, 치료 가능성이 높은 환자부터 우선 치료함으로써 더 많은 생명을 구하는 것이다. 또한 응급실 내 혼잡을 줄이고 의료진이 빠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다.
과거 나폴레옹 전쟁 당시 최초로 도입된 Triage는 특히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효율적인 자원 활용이 가능하게 하였다. 이처럼 Triage 체계는 응급의료 현장에서 필수적인 시스템으로, 한정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운용하여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1.3. 응급환자 분류체계의 발전과 KTAS 도입
응급환자 분류체계인 Triage가 20세기 초반부터 발전해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히 전쟁 당시 전투 중 부상자의 치료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사용되었으며, 병원 응급실에서 비응급 환자의 증가로 인해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Triage 체계의 발전 과정에서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체계인 KTAS가 도입되었다. KTAS는 캐나다의 CTAS를 기반으로 국내 실정에 맞게 보완되어 2016년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KTAS는 응급실에서 환자의 중증도를 평가하고 진료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체계화된 시스템이다. Triage가 응급실, 재난, 전쟁 등의 광범위한 상황에 적용되는 개념인 반면, KTAS는 한국 응급실에 특화된 표준화된 Triage 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다.
KTAS 도입의 필요성은 분류체계를 통해 진료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고, 필요시 환자를 적절한 의료기관으로 이송할 수 있으며, 보다 효과적으로 응급의료체계를 관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KTAS는 5단계로 환자를 분류하는데, 소생(1단계), 긴급(2단계), 응급(3단계), 준응급(4단계), 비응급(5단계)으로 구분한다. 각 단계에는 대표적인 증상과 처치시간이 제시되어 있어,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환자를 평가하고 진료할 수 있다.
2. Triage(트리아제) 체계
2.1. Triage의 개념과 적용 분야
Triage(트리아제)의 개념과 적용 분야이다. Triage는 응급 상황에서 다수의 환자들 중 각 환자의 중증도를 평가하여 즉각적인 처치가 필요한지 여부와 그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분류 체계이다. Triage는 응급실뿐만 아니라 전쟁, 재난 현장, 대형 사고 현장 등에서도 적용되며, 제한된 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수적인 시스템이다. Triage의 주된 적용 분야는 응급실, 재난 현장, 그리고 전쟁터이다. 응급실에서는 응급 환자를 분류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재난 현장에서는 대형 사고 발생 시 부상자들을 신속히 분류하며, 전쟁터에서는 전투 중 부상자들의 치료 순서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Triage는 한정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더 많은 생명을 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2. Triage 분류 체계의 유형
Triage 분류 체계의 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