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UTI)은 비뇨기계에 발생하는 비특이적 염증 질환이다. 요도, 방광, 요관, 신장을 포함하는 요로계의 감염으로 면역체계가 균을 막지 못하면 상행성으로 전파하여 요로감염이 발생한다. 요로감염은 호흡기계 감염 다음으로 노인에게 많이 발병하는 주요 원인 질병이다.
특히 여성은 해부학적으로 요도가 짧아 장내세균이 요로에 집락을 이루기 쉬워 요로감염의 위험이 높다. 또한 노령화에 따라 요로감염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관리와 예방이 필요하다. 요로감염은 빠른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만성신장염, 신부전 등의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요로감염의 정의, 원인 및 병태생리, 증상, 진단, 치료와 간호 등 전반적인 내용을 고찰하고, 실제 요로감염 환자 사례를 통해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요로감염의 정의
요로감염은 신장, 요관, 방광, 요도를 포함하는 비뇨기계에 발생하는 비특이적 염증이다. 요로는 신장에서부터 소변이 나오는 길에 감염이 있는 것으로, 감염 부위에 따라 하부 요로 감염인 방광염, 요도염과 상부 요로 감염인 신우신염 등이 있다.
2.2. 요로감염의 원인 및 병태생리
요로감염은 대부분의 경우 장내 세균에서 발생하며, 그중에서도 대장균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대부분의 요로감염은 상행성 감염 기전에 의해 발생한다. 장내 세균이 요도부위에 균 집락을 이루고, 이후 방광으로 이동하게 된다. 방광을 감염시킨 세균이 지속적으로 증식하고 세균이 분비하는 독소와 단백분해 효소 등에 의해 상피세포가 손상되면, 감염원은 콩팥으로 이동하여 상행성 감염인 신우신염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요로감염은 장내 세균이 요도를 통해 상행성으로 이동하여 방광과 콩팥을 감염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2.3. 요로감염의 증상
요로감염의 증상은 감염부위에 따라 다양하다. 상부 요로감염인 신우신염일 때엔 신장에 염증이 생긴 경우로 발열, 오한, 옆구리 통증, 배뇨통이 있고 소변을 자주 보거나 밤에 소변을 보기위해 잠을 깨기도 하며 메스꺼움이나 구토가 동반되기도 한다. 하부 요로감염인 첫 번째 방광염은 소변을 자주 보고, 소변을 볼 때 통증을 느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