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빅컨셉 강의페어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강의페어링의 목적과 필요성
2. 페어링 강의의 내용 분석
2.1. [빅컨셉+]의 주제와 핵심 개념
2.2. [클라시카, 듀이, 민주주의와 교육]의 주제와 핵심 개념
3. 페어링 강의의 주제와 관점 비교
3.1. [빅컨셉+]과 [클라시카, 듀이, 민주주의와 교육]의 주제(개념) 비교
3.2. [빅컨셉+]과 [클라시카, 듀이, 민주주의와 교육]의 주제 심화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강의페어링의 목적과 필요성
우리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 변화는 좋은 방향일 수도, 좋지 않은 방향일 수도 있다. 그러한 세계 속에서 우리는 최선을 다해 좋은 방향으로의 변화, 즉 발전하기 위한 큰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그런 발전이 모두 옳은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일부는 시간이 흐르며 계속해서 바뀌기도 하고, 일부는 완전히 부정되어 역사의 산물로 남게 된다. 우리는 [빅컨셉+]수업을 통해 이런 식으로 발전하는 인류의 모습을 일부 볼 수 있었다. 특히 과학혁명을 통하여 인류가 발전하는 모습을 잘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과학혁명 이전 중세에는 종교적 사상을 중심으로 과학을 접하였기 때문에 제대로 된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를 통해 과학혁명과 같은 과학의 엄청난 발전은 자유를 전제로 하여 이루어진 계몽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다. 나는 [빅컨셉+]에서 다루는 과학의 발전이 [클라시카, 듀이, 민주주의와 교육]에서 다루는 교육과정의 변화에서 주는 자유와 연관 지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 나는 과거 자유가 억압되었던 사례를 통해 현대의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이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해 이 글을 통해 탐구해 본다.
2. 페어링 강의의 내용 분석
2.1. [빅컨셉+]의 주제와 핵심 개념
빅컨셉+의 주제와 핵심 개념은 발전이다.
인류는 수많은 세월 동안 수많은 분야에서 발전을 이루었고, 그 수는 셀 수 없을 것이다. 근대로 넘어오는 동안 일어난 발전이 지금 현대 사회를 이루게 해주는 가장 큰 기틀이 된다.
근대는 과학혁명이 일어났기 때문에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과학혁명에서 확립된 지적 지식을 바탕으로 인간 안에 웅크리고 있던 인간의 고유한 역량인 이성을 드러내고 그 힘을 작동시키는 계몽을 통하여 근대를 시작하게 되었다.
과학혁명의 시초는 지동설에 대한 논의이다. 코페르니쿠스는 지구는 태양 주위를 돈다는 태양 중심설을 완성하였다. 이는 서양 중세의 우주관, 인간관, 세계관의 뿌리를 뒤흔들어놓을 만큼 충격적인 이론이었다.
케플러는 스승인 티코 브라헤가 수만 번 직접 관측한 자료를 받아 연구한 과학자이다. 그는 행성의 궤도가 타원궤도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갈릴레이도 지동설을 주장하였으나, 교황청 종교 재판에서 유죄를 선고받게 되었다. 이는...
참고 자료
최두선, 세종교육청 “고교학점제, 중학교부터 준비해요”, 한국일보, https://url.kr/rhy1tz
아널드 R 브로디, 인류사를 바꾼 위대한 과학, 글담, 2018
존 듀이,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과학사, 2007
백인립. “복지국가의 모순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서울
오소. “공유경제 서비스에 대한 고객 참여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1. 경기도
유향순. “사회복지철학의 재구성.” 국내석사학위논문 위덕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경상북도
나기현, “저소득층 독거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수요에 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경기도
김화경 (2013), 인간 본성에 대한 수수께끼 : 이성과 감정, 시민인문학
류근성 (2007), 맹자 도덕철학에서 이성과 감성의 문제, 동양철학연구회
정탁준 (2005), 이성과 감정의 상호의존특성에 따른 도덕교육의 교수학습 모형탐색, 도덕윤리과교육연구
최용철 (2018), 만들어지는 자아 이성vs감성을 넘어, 철학연구회
박찬국 (2018), 인간과 인공지능의 미래 : 인간과 인공지능의 존재론, 현대유럽철학연구회
[2019 뇌교육 융합심포지엄] 휴먼브레인, 인간 내적 역량의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