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심장의 전기전도 체계
1.1. 동방결절(SA node)
동방결절(SA node)은 상대정맥과 우심방 접합부에 위치하고 있다. 동방결절은 분당 60-100회에 이르는 전기자극(심박동)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탈분극 파동은 방실 간 경로를 통해 우심방에서 좌심방과 방실결절로 전달된다. 따라서 동방결절은 심장의 정상적인 박동을 유발하는 자연 박동조절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1.2. 방실결절(AV node)
방실결절(AV node)은 심방과 심실 사이에 위치하는 전도 경로이다. 심방에서 발생한 전기 자극이 심실로 전달되는 유일한 통로로, 방실결절을 통해 전기 자극이 전달되어야만 심실이 수축할 수 있다. 방실결절은 심방섬유(atrial muscle)와 심실섬유(ventricular muscle) 사이에 위치하며, 심방에서 심실로 전기 자극을 천천히 전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심방수축과 심실수축 사이에 적절한 시간 지연이 생기게 되어 심장의 기능이 효율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방실결절은 약 0.06~0.12초의 시간 지연을 발생시키는데, 이는 심실이 완전히 충만될 수 있도록 해준다. 만약 방실결절에서 전기 전도가 차단되면 심방과 심실이 독립적으로 수축하게 되어 심장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방실결절은 심장 기능 유지에 필수적인 구조이다.
1.3. His속
His속은 심실 중격에 위치하는데, 좌우 각(bundle branch)을 따라 전기자극을 Purkinje 섬유로 전달한다. His속은 좌심실과 우심실의 수축을 동기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히스속 차단이 발생하면 심실의 효율적인 수축이 저하되어 사지의 혈류공급이 적절하지 않게 된다. 또한 히스속 차단은 방실블록의 원인이 되어 느린 심박동을 유발하므로 영구형 심박동기 삽입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His속은 심장의 전기전도 체계에서 필수적인 부분이며, 그 기능 저하는 심각한 부정맥을 초래할 수 있다.
1.4. Purkinje 섬유
Purkinje 섬유는 심실의 내막 안에 넓게 퍼져 있는 흥분 전달 섬유이다. 심실의 탈분극 파동이 Purkinje 섬유를 통해 신속하게 전달되어 좌우 심실의 동시 수축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심장의 효율적인 펌프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Purkinje 섬유는 심실근 섬유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 심실근 섬유를 신속하게 탈분극시킨다. 이로 인해 심실벽 전체의 동시 수축이 일어나며, 이는 심장의 펌프 기능 향상으로 이어진다. Purkinje 섬유는 His속과 연결되어 있어 His속에서 시작된 전기 자극이 신속하게 심실 전체로 퍼져 나갈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Purkinje 섬유는 심실 수축의 동기화와 펌프 기능 향상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2. 서맥성 부정맥
2.1. 동기능부전 증후군(Sick Sinus Syndrome)
동기능부전 증후군(Sick Sinus Syndrome)은 동방결절에서 규칙적인 동율동 형성이 장애되어 서맥이 유발되는 부정맥의 한 종류이다. 동서맥(sinus bradycardia), 동정지(sinus pause or sinus arrest), Mobitz Ⅱ형 동방차단(Mobitz Ⅱ-type SA block), 서맥-빈맥 증후군 등 여러 증상이 나타난다. 동서맥은 심박동수가 분당 40-60회 미만으로 느린 경우이며, P파와 PR 간격이 정상이고 QRS파 형태도 정상적이며 리듬이 규칙적이다. 동정지는 SA노드가 일시적으로 전기적 자극을 형성하지 못하는 상태로, P파와 QRS복합체가 정상 리듬 간격에서 일시적으로 관찰되지 않는다. 리듬은 불규칙적이다. 서맥-빈맥 증후군은 동성기능 부전증후군에 따른 서맥과 상실성의 빈맥형 부정맥이 번갈아 나타나는 것이다. 즉, 서맥 환자에게서 발작적으로 빈맥형 부정맥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처럼 동기능부전 증후군은 동방결절의 기능 장애로 인해 다양한 증상의 서맥성 부정맥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2.2. 방실전도 차단(A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