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프랑스 극작가 장 라신느의 대표작 '페드라'는 전통적인 그리스 비극을 재해석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페드라라는 인물의 비극적 운명을 다루고 있다. 페드라는 남편 테제의 부재 속에서 전실의 아들 이폴리트를 사랑하게 되지만, 이 금기된 사랑은 결국 그녀와 자신을 파멸로 이끌게 된다. 이 레포트에서는 '페드라' 작품의 주요 내용과 등장인물, 작품 주제 및 메시지, 그리고 기존의 그리스 비극 '오이디푸스왕'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라신느의 작품 세계를 심도 있게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페드라'가 지닌 문학적 가치와 교훈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2. 페드라 작품 분석
2.1. 작가 라신느 소개
장 라신은 1639년에 태어난 프랑스의 극작가이다. 그는 몰리에르, 피에르 코르네이유와 함께 프랑스 3대 극작가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인물이다. 라신은 주로 역사적 인물을 주인공으로 한 비극을 창작하였으며, '앙드로마크', '페드르', '베레니스' 등이 그의 대표작이다. 그의 작품들은 권력이나 신에 의해 대표되는 숙명에 저항하면서 정념으로 인해 파멸되는 처절한 인간의 모습과 갈등을 다루고 있다. '베레니스', '이피제니' 등 그의 작품들은 삼일치의 법칙을 지킨 정념비극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라신은 극작가로서의 성공을 거두었을 뿐만 아니라, 궁정 신하가 되고 귀족이 되는 등 지위와 재산도 얻었다. 이는 그가 프랑스 작가 중 최초로 이루어낸 성과이다.
2.2. 작품 "페드라" 개요
페드라는 프랑스의 극작가 장 라신이 1677년에 발표한 5막의 비극적 희곡이다. 라신은 그리스 로마 비극 시인들이 이미 많이 다루었던 주제를 선택하여 작품을 집필하였다. 이 작품은 프랑스 고전비극의 대표작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죄의식에 사로잡혀 사랑 때문에 스스로를 파멸시키는 페드라의 운명을 아름다운 시로 노래한 걸작이다. 테세의 부인이자 아테네의 왕비 페드라는 전실자식 이폴리트를 짝사랑하며, 이 과정에서 유모 외논의 권유로 사랑을 고백했다가 거절당하고, 외논은 오히려 왕비를 구하기 위해 이폴리트가 페드라를 사랑하고 있다고 거짓으로 보고한다. 이에 노한 테세는 아들을 죽게 하고, 페드라도 죄를 고백하며 자살하는 비극적인 내용으로 전개된다. 이 작품을 통해 라신은 인간의 정념이 초래하는 파멸의 과정을 섬세하게 그려내었다.
2.3. 등장인물
페드르는 테제의 부인이자 아테네의 왕비이다. 그녀는 전실 자식인 이폴리트를 짝사랑하고 있다. 페드르는 남편 테제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유모 에논의 권유로 이폴리트에게 사랑을 고백하지만 거절당한다. 이에 에논은 왕비를 구하기 위해 이폴리트가 페드르를 사랑하고 있다고 거짓으로 참언한다. 이로 인해 크게 노한 테제는 아들 이폴리트를 추방하고 그에게 복수를 내리게 된다. 결국 페드르는 자신의 죄를 고백하며 자살한다. 그녀는 정념에 사로잡혀 비극적 운명에 이르게 된다.
이폴리트는 테제와 아마존 여왕 앙티오프의 아들이다. 그는 아리시에 대한 사랑을 느끼고 있으나 자신의 마음을 숨기려 한다. 한편 양모 페드르가 자신에게 사랑을 고백하지만 이를 단호히 거절한다. 이후 테제에 의해 이폴리트는 추방되고 결국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그는 자신의 아버지 테제와 내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