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역T형 옹벽은 토사, 콘크리트, 철근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지반을 보강하고 토압을 지탱하는 구조물이다. 이는 도로, 철도, 항만 등의 건설 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안전성과 경제성이 중요한 설계 요소이다. 본 보고서는 역T형 옹벽 설계에 필요한 주요 절차와 방법론을 상세히 다루고자 한다. 옹벽의 제원 및 재료 특성, 하중 조건, 토압 산정, 안정성 검토 등 설계 과정의 핵심 내용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최신 연구 동향과 기술 발전을 반영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옹벽 설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실무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지침을 마련하고자 한다.
2. 역T형 옹벽 설계
2.1. 설계 조건
H=6.0m, N=1:1.50, Ho=1.000m인 역T형 옹벽의 설계 조건은 다음과 같다. 옹벽 높이는 6.000 m이며, 배면토의 경사는 1:1.50이고 배면토의 높이는 3.000 m이다. 뒤채움토의 내부마찰각은 φ=35°이고, 단위중량은 γt=20.0 kN/m3이다. 기초저면 흙의 단위중량 또한 γt=20.0 kN/m3이며, 마찰각은 φ=35°, 마찰계수는 tanφ=0.5이다. 흙의 점착력은 C=0.000 kN/m3이다. 상재하중은 10.0 kN/m2이다. 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은 γc=24.50 kN/m3이고, 설계기준강도는 24 MPa이며, 철근의 항복강도는 fy=400 MPa이다. 토압 계산 시에는 시행쐐기법을 적용한다.
2.2. 옹벽 치수
옹벽 치수는 다음과 같이 설계되었다. 기초 저판의 폭은 옹벽 높이의 1/2~2/3 범위인 3.5~4.667 m 내에서 4.5 m로 결정되었다. 저판 두께는 옹벽 높이의 7~10% 범위인 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