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의문과 모호문을 제시하고 차이점에 대해 서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중의성과 모호성의 정의
1.1. 중의성의 개념
1.2. 모호성의 개념
2. 중의문의 유형
2.1. 어휘적 중의성
2.2. 구조적 중의성
2.3. 영향권 중의성
3. 모호문의 유형
3.1. 지시적 모호성
3.2. 의미의 불확정성
3.3. 의미의 구체성 부족
3.4. 정보 부족의 모호성
4. 중의문과 모호문의 차이
4.1. 의미의 명확성
4.2. 맥락 의존도
5. 중의문과 모호문의 언어교육적 함의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중의성과 모호성의 정의
1.1. 중의성의 개념
중의성은 한 단어나 한 문장이 둘 이상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언어적 속성이다"" 중의성은 언어 표현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의미 중 둘 이상의 의미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하나의 단어나 문장이 여러 가지 해석이 가능함을 뜻하며, 문맥이나 문장 구조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는 아버지와 함께 왔다"라는 문장은 '아버지와 함께' 왔다는 의미와 '아버지와' 함께 왔다는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한데, 이처럼 하나의 표현이 둘 이상의 의미로 이해될 수 있는 언어적 특성이 중의성이다""
1.2. 모호성의 개념
모호성의 개념은 의미하는 바가 명료하지 않아 무엇을 말하는지 분명하게 알 수 없는 언어적 속성을 일컫는다. 즉, 모호성은 의미의 경계가 불분명하여 지시 대상을 정확하게 규정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대표적인 모호성의 유형으로는 '지시적 모호성', '의미의 불확정성', '의미의 구체성 부족', '정보 부족의 모호성' 등이 있다.
지시적 모호성은 어디까지를 언덕이라 하고 어디부터를 산으로 해야 하는지와 같이 의미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아 지시 대상을 정확히 규정하기 어려운 경우를 말한다. '존의 기차'와 같은 표현은 존이 출근하는 기차인지, 존이 소유한 기차인지, 존이 관리하는 기차인지 애매모호하여 의미의 불확정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창수는 역에 갔다'와 같이 이동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경우 의미의 구체성 부족으로 인한 모호성이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그가 내일 집으로 온다고 했어요'에서와 같이 해석에 필요한 정보가 부족한 경우 정보 부족의 모호성이 나타나게 된다.
이처럼 모호성은 의미하는 바가 불분명하여 명확한 해석을 내리기 어려운 언어적 특성을 말하며, 이는 중의성과 구분되는 특징이다. 반면 중의성은 하나의 언어 표현이 둘 이상의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각각의 해석이 분명한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모호성과 구분된다.
2. 중의문의 유형
2.1. 어휘적 중의성
어휘적 중의성은 문장 속에 사용된 어휘의 특성에 의해서 나타나는 중의성이다"". 어휘적 중의성은 크게 다의어의 사용으로 인한 중의성, 동음어의 사용으로 인한 중의성, 부착성 동사의 다의성으로 인한 중의성으로 나눌 수 있다"".
다의어의 사용으로 인한 중의성의 예로는 ""길이 있다.""라는 문장을 들 수 있다"". 이 문장에서 ""길""은 도로, 방법, 지혜, 도리 등 여러 가지 의미로 해석할 수 있어 중의적이다"". 또한 ""나에게 그 정도의 힘은 있다.""라는 문장도 ""힘""이 능력을 나타...
참고 자료
이정은(2021), 한국어 의미론, 진흥원격평생교육원
정재윤(2016), 말과 글을 살리는 문법의 힘, 시대의 창
안찬원(2017), 중의성과 모호성의 국어교육적 의의, 국어교육학회
이정은(2019))『 한국어 의미론 교안』,진흥
조민정(2019)『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