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실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Borda 진자의 주기와 길이를 측정하여 그 지점의 중력가속도 g를 구하는 것이다. 단진자와 물리진자의 운동 원리와 방정식을 이해하고, 실험을 통해 중력가속도를 측정함으로써 이론적 지식을 실제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단진동 운동의 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물리진자의 운동 특성을 분석하고, 실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 요인을 파악하여 측정값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실험 조건에 따른 중력가속도의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실험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단진자와 물리진자를 이용한 중력가속도 측정 실험의 이론적 배경과 실험 방법, 결과 분석의 의미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2. 이론 배경
2.1. 단진자의 운동 원리
단진자는 질량이 무시되는 길이 l인 끈에 질량 m인 추가 추 중심에서 진자 끝까지의 거리가 L이 되도록 매달려 주기 운동하는 것이다. 이때 m인 추에 작용하는 힘은 중력과 장력이며, 추가 중력에 의해 연직 아래로 당겨지는 복원력이 존재한다. 이 복원력은 F=-mg sin θ=m d^2S/dt^2 sin θ로 표현된다. 여기서 θ는 연직선과 추가 이루는 각도이고, S는 추의 변위이다. 만약 θ가 매우 작다면 sin θ≒θ로 근사할 수 있으므로, 식은 -mg S/L=m d^2S/dt^2로 간단해진다. 이를 정리하면 d^2S/dt^2=-g/L S=-ω^2 S가 되고, 여기서 ω=√(g/L)=2πf=2π/T로 정의된다. 즉, 단진자의 주기 T는 T=2π√(L/g)의 관계식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중력가속도 g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단진자의 주기에는 질량과 진폭은 영향을 미치지 않고, 오직 진자의 길이 L만이 관련된다고 할 수 있다.
2.2. 물리진자의 운동 방정식
물리진자의 운동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물리진자는 질량 M인 강체가 임의의 회전축 O'를 중심으로 연직선 내에서 진동하는 것이며, 복합 진자 또는 실체 진자라고도 한다. 물리진자의 운동방정식은 I {d^2 theta} over {dt^2} = -mgd`si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