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무용이 가진 힘
무용은 전통무용과 창작무용으로 구분되며, 무용이 가진 힘은 어느 사회에서나 다른 매체와 사이에서 가교역할을 해나간다. 무용은 신체적 활동을 통한 자신의 희로애락을 표현하는 아름다운 예술이라고 볼 수 있다. 무용을 통한 실지로 심리치료에도 많은 보탬이 되고 있으며, 신체 건강에도 도움을 주며, 올바른 인격형성에도 보탬이 된다. 따라서 초등학교 때 건전한 무용활동은 앞으로 장차 건전한 민주시민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무용은 시간, 공간, 역동성으로 구성된 어떤 목적이 있는 패턴화된 동작이며, 다른 형태의 동작과는 달리 유아들에게 있어 하나의 예술이 되기도 한다. 유아들에게 전통무용은 음악, 문화와 동작을 한 번에 경험시켜 줄 수 있는 좋은 매개체의 하나가 되며, 이러한 무용을 익히면서 동작과 함께 음악을 해석하게 된다.
1.2. 한국전통무용의 역사와 특징
한국전통무용의 역사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한국전통무용은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한국무용의 기원은 선사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그 이후 삼국시대와 고려시대를 거치면서 발전하였다. 특히 불교 예술의 발달과 함께 많은 종교의식 무용이 생겨났다. 조선시대에는 궁중무용이 발달하였으며, 민속무용 또한 이 시기에 크게 발전하였다. 이후 근대기에 들어서면서 전통무용은 새로운 변화를 겪게 된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전통문화가 위협받았지만, 해방 이후 전통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많은 연구와 재현 노력이 이루어졌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전통성을 지키면서도 새로운 해석과 창작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전통무용은 몸짓이 곡선미와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체와 하체의 움직임이 조화를 이룬다. 또한 정중동(靜中動)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동작에 여유와 안정감이 있으면서도 역동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것을 말한다. 대부분의 한국전통무용은 아니지만, 부드러운 동작과 호흡, 느린 템포의 음악이 어우러져 이러한 특징을 잘 보여준다.
이처럼 한국전통무용은 유구한 역사와 고유한 전통을 지니고 있으며, 곡선미와 정중동의 미학을 보여준다. 이는 한국인의 정서와 미의식이 깊이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 한국전통무용 통합동작교수법
2.1. 한국전통무용의 정의
전통무용은 전통적인 기본동작에 맞추어 동작을 표현하는 활동이다. 전래동요, 민요 등을 듣고 음악의 리듬에 맞추어 동작을 표현해 나간다. 전통무용은 한국고유의 전통 및 문화를 전달하고, 전통무용의 전통적 가치와 소중함을 일깨워주면서 활동을 지도해 나가도록 한다. 전통무용이 지니고 있는 장단, 호흡, 동작 등도 함께 중요하게 지도해 나가도록 한다. 우리 전통무용은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정중동의 정적인면과 또 다른 신명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통을 기본으로 하는 우리만의 교육방법으로 체계를 잡아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2.2. 손동작과 발동작의 특징
우리전통무용의 손동작과 발동작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우리전통무용에서 손동작의 기본은 양팔 아래에서 번갈아 여미기(감기), 두 손 아래에 모으기, 양팔 옆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