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국제무역 분쟁에 대한 상사중재론 활용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무역분쟁과 상사중재
1.2. 상사중재제도의 의의
1.3. 중재제도 활용의 필요성
2. 상사중재제도의 이해
2.1. 상사중재제도의 의의
2.2. 중재의 전제조건
2.3. 중재제도의 일반절차
2.4. 중재제도의 장단점
2.5. 실제분쟁 사례
3. 중국시장 진출 전략
3.1. 중국 시장 특성
3.2. 우리 상품의 현지 인지도
3.3. 현지 상관행 및 유의사항
3.4. 현지 바이어 성향과 접근방법
3.5. 상사분쟁 예방 및 처리요령
4. 한중 의류 교역 동향과 시장세분화
4.1. 중국 의류산업 현황 및 전망
4.2. 한중 간 의류 교역 동향
4.3. 한국과 중국의 여성의류 구매패턴 비교
4.4. 대중국 마케팅 전략 수립
5. 결론
5.1. 연구결과 요약
5.2.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시사점
5.3. 향후 과제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무역분쟁과 상사중재
국제상거래에서는 여러 가지 분쟁이 발생한다. 이러한 무역 분쟁의 직접적인 원인은 계약내용의 불완전성으로 인한 경우와 계약 이해의 불완전 내지 의도적인 계약 불이행으로 일어나는 경우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쟁의 해결은 법원의 재판권 행사에 맡겨져 있는 것이 원칙이지만, 재판은 신속한 분쟁 해결이 어려워 그 실효성이 크지 않다.
따라서 국제간 상사분쟁을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고 공정하게 해결하고자 하는 무역인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상사중재제도가 국제간 상사분쟁 해결수단으로 도입되어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상사중재는 계약당사자간 자발적 중재합의에 의하여 법원의 소송절차가 아닌 민간인 중재인이 분쟁의 공정한 해결을 부탁받아 최종적인 결정을 내리고 그에 구속을 받는 자주적 분쟁 해결방법이다.
상사중재를 통한 분쟁 해결을 위해서는 당사자간에 중재합의가 있어야 하며, 중재합의는 계약서 상에 중재조항을 삽입함으로써 체결하는 것이 좋다. 중재제도의 일반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사무국이 중재신청을 접수하면 중재인 선정 절차를 거쳐 중재판정부를 구성하고, 심문을 진행한 후 중재판정을 내리게 된다.
상사중재제도에는 다양한 장단점이 존재한다. 장점으로는 당사자의 자율성, 신속성, 중재인의 전문성, 비공개성, 저렴한 비용, 중재판정의 국제성 등이 있다. 반면 단점으로는 법률문제에 대한 중재인의 판단 능력 부족, 판정의 예측가능성 결여, 상소제도의 결여 등이 있다.
실제 분쟁 사례로는 수출물품의 품질하자로 인한 손해배상 사건을 들 수 있다. 피신청인은 일부 배상 책임을 인정받았으나, 신청인이 주장한 손해액과 하자물량을 구체적으로 입증하지 못하여 대부분의 청구가 기각된 사례이다.
이처럼 상사중재제도는 국제상거래 분쟁을 신속하고 공정하게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 되고 있다. 특히 국제거래의 특성상 관습과 문화가 다른 당사자들 간의 분쟁에서 그 활용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1.2. 상사중재제도의 의의
중재란 계약당사자간에 자발적 중재합의에 의하여 당사자간에 현존하는 분쟁 또는 장차 발생 가능한 분쟁을 법원의 소송절차에 의하지 않고 민간인인 제 3자를 중재인으로 하여 그에게 분쟁의 공정한 해결을 부탁하기로 하는 합의가 있는 경우에만 중재인에게 제한적인 관할권을 줌으로써 그 위임된 분쟁에 한하여 중재인이 당사자들의 주장과 증거에 입각하여 최종적인 결정을 내리면서 당사자는 이에 구속을 받는 자주적 분쟁 해결방법이다. 중재는 분쟁의 당사자가 법원의 판결에 의존하지 아니하고, 그들의 자율의사에 의한 중재합의에 따라 자신이 선임하는 중재인에게 분쟁을 해결할 것을 신청하여 그 판정의 결과에 복종하기로 하는 자주적인 분쟁해결방법이다. 이처럼 중재제도는 국제간의 상사분쟁의 해결수단으로 도입되고 오늘날 활발히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국제상거래에서 발생하는 분쟁을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고 공정하게 해결할 수 있다.
1.3. 중재제도 활용의 필요성
국제거래상의 분쟁을 재판에 의하여 해결하려는 방법은 실효성이 없다. 이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고 공정하게 해결을 바라는 무역인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상사중재제도가 국제간의 상사분쟁의 해결수단으로 도입되고 있다.
상사중재제도는 분쟁의 당사자가 법원의 판결에 의존하지 않고 자신이 선임하는 중재인에게 분쟁을 해결할 것을 신청하여 그 판정의 결과에 복종하기로 하는 자주적인 분쟁해결방법이다. 중재는 거래에 종사하는 당사자들 간의 자발적인 중재합의에 의해 이루어지며, 신속성, 중재인의 전문성, 비공개성, 저렴한 비용 등의 장점이 있다.
따라서 국제무역 분쟁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중재제도의 활용이 필요하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은 개발도상국의 경우 상대적으로 제도가 미비한 상황에서 중재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국제무역거래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거래 당사자들의 권익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중재를 통해 분쟁을 원만히 해결함으로써 기업의 대외신인도를 제고하고 국가 이미지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2. 상사중재제도의 이해
2.1. 상사중재제도의 의의
상사중재제도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중재란 계약당사자간에 자발적 중재합의에 의하여 당사자간에 현존하는 분쟁 또는 장차 발생 가능한 분쟁을 법원의 소송절차에 의하지 않고 민간인인 제 3자를 중재인으로 하여 그에게 분쟁의 공정한 해결을 부탁하기로 하는 합의가 있는 경우에만 중재인에게 제한적인 관할권을 줌으로써 그 위임된 분쟁에 한하여 중재인이 당사자들의 주장과 증거에 입각하여 최종적인 결정을 내리면서 당사자는 이에 구속을 받는 자주적 분쟁 해결방법이다. 이와 같이 중재는 당사자 간의 자발적인 중재합의에 따라 민간중재인에 의해 분쟁이 해결되는 자주적이고 신속한 분쟁해결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중재제도는 무역거래의 신속한 해결과 국제 상거래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2. 중재의 전제조건
중재에 의하여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당사자간에 자신들의 분쟁을 중재에 의해 해결하겠다는 중재합의(Arbitration Agreement)가 있어야 한다. 중재합의는, 통상적으로 분쟁이 발생된 후에는 불리하다고 판단하는 당사자는 중재합의 자체를 기피하여 분쟁해결을 지연시키는 경우가 많으므로 계약서 상에 중재조항(Arbitration Clause)을 삽입함으로써 중재계약을 맺는 것이 좋다. 이를 통해 당사자들은 사전에 중재에 의한 분쟁해결 의사를 명확히 밝힐 수 있다. 또한 분쟁 발생 전에 중재합의가 이루어져야 중재제도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중재계약을 사전에 체결하지 않고 분쟁이 발생한 이후에 중재에 의한 해결을 합의하기는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중재계약은 계약서에 명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중재에 의한 분쟁해결의 전제조건은 당사자 간 중재합의가 존재하는 것이다.
2.3. 중재제도의 일반절차
사무국은 중재신청인으로부터 신청을 접수하면 그 신청이 상사중재규칙에 적합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적합한 경우에는 쌍방당사자에게 이를 접수하였음을 통지한다. 사무국은 접수통지와 함께 중재인 명부에서 중재인 후보자 10명을 선정하여 양당사자에게 보내면 양당사자는 의장중재인과 기타 중재인에 대하여 선호순위를 표시하여 발송일로부터 국내중재의 경우 15일, 국제중재의 경우 30일 이내에 사무국에 제출하도록 한다. 피신청인은 답변서를 15일 이내에 제출해야 한다. 사무국은 양당사자에 의해 제출된 중재인 후보자 선정 명단 중에서 희망순위에 따라 선정된 중재인에게 수락서를 받아 중재판정부를 구성하고 심문기일을 정한다. 중재판정부 구성은 신청금액이 미화 30,000불 이하인 경우에는 1인, 이상인 경우에는 3인으로 구성된다. 사무국은 양당사자에게 중재인 선정통지 및 심문기일을 통지한다. 심문개시 및 진행은 중재판정부, 당사자, 중재서기가 참석...
참고 자료
● 참고 문헌 및 출처
대한 상사 중재원중재판정사례집
www.kcab.or.kr
남풍우, 무역상무론, 두남, 2001
홍성규, 국제중제상사(이론과 실제), 두남, 2002
장문철, 현대중재법의 이해, 세창출판사, 2000
1. 전경옥, 열린 중국 닫힌 중국, 문학세계사, 1999
2. 중국 산업별 현황과 전망, 성균관 대학교 출판부, 2000
3. 이인자, 신효정, 패션 마케팅&코디네이션, 시공사, 2000
4. 안광호 외 2인, 패션마케팅, 수학사, 1999
5. 김주헌, 국제마케팅: 환경과 전략, 문영사, 2000
6. 프랭클린 R. 루트, 해외시장진출전략, 비봉출판사, 1992
7. http://www.koreaemb.org.cn (주 중국 대사관)
8. http://www.chinaexponews.com
9. http://www.chinalabs.co.kr
10. http://www.lawkim.com/lawkim/02.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