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할로젠화 알킬 실험 sn2"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친핵성 치환반응 SN2 실험 개요
1.2. 실험 목적 및 세부 목표
1.3. SN2 반응의 이론적 배경
2. 실험 원리
2.1. 친핵성 치환반응(SN2)
2.2. SN2 반응 메커니즘
2.3. SN2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실험 방법
3.1. 실험 재료 및 기구
3.2. 1-bromobutane 합성 실험 절차
3.3. 생성물 분리 및 정제
4. 실험 결과
4.1. 실험 관찰 내용
4.2. 수득량 및 수득률 계산
4.3. TLC를 통한 반응 진행 확인
5. 고찰 및 오차 분석
5.1. 실험 과정에 대한 고찰
5.2. 오차 발생 원인 분석
5.3. 개선 방안 도출
6. 결론
6.1. 실험 결과 요약
6.2. SN2 반응에 대한 이해 도모
6.3. 향후 연구 방향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친핵성 치환반응 SN2 실험 개요
독일의 화학자 Walden은 거울상이성질체인 (+), (-) - malic acid를 치환 반응들로 상호 변환 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했으며, 이를 친핵성 치환 반응이라 한다. 친핵성 치환 반응은 전자가 풍부한 화학종(친핵체)이 다른 전자 결핍 분자(친전자체) 내의 작용기를 대체하는 화학 반응의 한 종류이다. 친핵체의 전자쌍이 기질을 공격하여 결합함과 동시에 이탈기가 전자쌍과 함께 이탈하는 과정이 특징이다.
1935년 Edward D. Hughes와 Christopher Ingold은 할로겐화 알킬 및 관련 화합물의 친핵성 치환 반응을 연구하였다. 그들은 S_N2 반응이 친핵체가 sp^3 탄소에 있는 이탈기의 반대쪽에서 공격하여 중간체를 생성하지 않고 한 단계로 일어나는 반응이라고 제안했다. S_N2 반응의 가장 큰 특징은 들어오는 친핵체가 치환되는 이탈기의 반대 방향으로부터 할로젠화 알킬을 공격할 때 중간체 없이 한 단계로 일어난다는 점이다.
S_N2 반응은 여러 가지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기질의 구조, 이탈기의 성질, 용매의 종류 등에 따라 반응 속도와 수율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입체 장애가 작은 기질, 안정한 이탈기,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하에서 S_N2 반응이 빠르게 진행된다. 반면 입체 장애가 큰 기질, 불안정한 이탈기, 양성자성 용매에서는 반응 속도가 느리다.
따라서 이 실험에서는 대표적인 S_N2 반응인 1-bromobutane의 합성 반응을 통해 친핵성 치환 반응의 메커니즘과 영향 요인을 이해하고자 한다. 실험 과정에서 관찰되는 현상과 계산된 수율을 바탕으로 S_N2 반응의 특성을 분석할 것이다.
1.2. 실험 목적 및 세부 목표
1-bromobutane 생성 반응을 통해 친핵성 치환반응 SN2를 이해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최종 목표이다. 구체적으로는 SN2 반응의 메커니즘, SN2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구하고자 한다. 또한 알코올의 친핵성 치환반응을 통한 할로젠화 알킬 생성 반응을 이해하는 것 또한 세부 목표에 해당한다. []
1.3. SN2 반응의 이론적 배경
SN2 반응은 친핵체가 sp3 탄소에 있는 이탈기의 반대쪽에서 공격하여 중간체를 생성하지 않고 한 단계로 일어나는 반응이다. 속도 결정 단계에서 반응 기질과 친핵체 모두 관여하는 이분자성 반응이다. SN2 반응의 가장 큰 특징은 들어오는 친핵체가 치환되는 이탈기의 반대 방향으로부터 할로젠화 알킬같은 기질을 공격할 때 중간체 없이 한 단계로 일어난다는 점이다. 친핵체가 기질의 한쪽 면으로 접근하여 탄소와 결합을 형성하고, 할로젠화 음이온이나 톨루엔설폰산 음이온 같은 이탈기가 다른 쪽에서 떨어져 나감에 따라 입체화학적 배열이 뒤집히게 된다.
SN2 반응 속도에는 기질, 친핵체, 이탈기, 용매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 먼저 기질의 구조가 SN2 반응 속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입체 장애가 큰 기질일수록 친핵체의 접근이 어려워져 반응 속도가 감소한다. 메틸 할로겐화물은 치환기가 작아 입체 장애가 가장 적어 SN2 반응에 가장 반응성이 크고, 1차 할로겐화 알킬, 이차 할로겐화 알킬, 3차 할로겐화 알킬 순으로 반응성이 감소한다.
다음으로 친핵체의 성질도 반응 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전기 음성도가 작고 음전하가 큰 친핵체일수록 반응성이 높다. 따라서 메톡시드 이온과 같은 강한 친핵체가 가장 반응성이 크다.
이탈기의 성질 또한 SN2 반응 속도에 중요한 요인이다. 이탈기 음이온의 안정성이 클수록 이탈기는 좋은 이탈기가 된다. 할로겐화물 중에서는 I- > Br- > Cl- > F-의 순서로 좋은 이탈기이다.
마지막으로 용매의 성질도 SN2 반응 속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양성자성 용매는 친핵체를 용매화하여 반응성을 떨어뜨리지만,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는 친핵체의 반응성을 높여 SN2 반응을 촉진한다. 따라서 아세톤, DMSO 등의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가 SN2 반응에 가장 적합하다.
이처럼 SN2 반응 속도는 기질, 친핵체, 이탈기, 용매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반응 조건을 최적화함으로써 SN2 반응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2. 실험 원리
2.1. 친핵성 치환반응(SN2)
친핵성 치환반응(SN2)은 전자가 풍부한 화학종(친핵체)이 다른 전자 결핍 분자(친전자체) 내의 작용기를 대체하는 화학 반응의 한 종류이다. 친핵체의 전자쌍이 기질(substrate)을 공격하여 결합하며, 동시에 이탈기(leaving group)는 전자쌍과 함께 이탈한다. 이 경우 주요 생성물은 R-NU이다.
SN2 반응은 1935년 Edward D. Hughes와 Christopher Ingold에 의해 연구되었으며, 친핵체가 sp3 탄소에 있는 이탈기의 반대쪽에서 공격하여 중간체 없이 한 단계로 일어나는 특징을 가진다. 이에 따라 반응물의 입체배열이 반전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SN2 반응 속도는 여러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기질의 구조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데, 입체장애가 작을수록 친핵체의 접근이 용이하여 반응이 빨라진다. 메틸기가 많이 붙은 2차, 3차 할로젠화알킬은 입체장애가 커서 SN2 반응이 느리게 일어난다.
친핵체의 특성 또한 반응 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전기음성도가 작고 음전하가 큰 친핵체일수록 반응성이 높다. 양성자성 용매는 친핵체와 수소결합을 형성하여 SN2 반응을 방해하지만,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는 이를 촉진한다. 마지막으로 이탈기의 성질도 중요한데, 음전하를 잘 안정화시킬수록 좋은 이탈기로 작용한다.
이런 요인들이 SN2 반응 속도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주며, 실험에서는 기질, 친핵체, 용매, 이탈기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반응 조건을 최적화할 수 있다.
2.2. SN2 반응 메커니즘
SN2 반응은 친핵체가 sp³ 탄소에 있는 이탈기의 반대쪽에서 공격하여 중간체를 생성하지 않고 한 단계로 일어나는 반응이다. 속도 결정 단계에서 반응 기질과 친핵체 모두 관여하는 이분자성 반응이다.
SN2 반응 메커니즘의 가장 큰 특징은 들어오는 친핵체가 치환되는 이탈기의 반대 방향으로부터 할로젠화 알킬과 같은...
참고 자료
Paola yurkanis bruice, “유기화학”, 제6판, 자유아카데미, 2011, pp.331~389
John Mcmurry, Organic Chemistry 9th Edition, CENGAGE, P.310, 2015
위키백과, 친핵성 치환, 2023.04.03.,
https://ko.wikipedia.org/wiki/%EC%B9%9C%ED%95%B5%EC%84%B1_%EC%B9%98%ED%99%98#cite_ref-3
J. March, Advanced Organic Chemistry, 4th ed., Wiley, New York, 1992.
L. G. Wade, Organic Chemistry, 5th ed.,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2003.
위키백과, 친핵성 치환, 2023.04.03.,
https://ko.wikipedia.org/wiki/%EC%B9%9C%ED%95%B5%EC%84%B1_%EC%B9%98%ED%99%98#cite_ref-3
네이버 화학백과, SN2 반응, 2023.04.03.,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173595&cid=62802&categoryId=62802
김지현, [화공실험1] 6주차 1-브로모부테인 합성, 2023.04.03.,
https://che.kumoh.ac.kr/che/sub0702.do?mode=view&articleNo=428361
John Mcmurry, Organic Chemistry 9th Edition, CENGAGE, P.311~315, 2015
네이버 화학백과, SN1 반응, 2023.04.03.,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173576&cid=62802&categoryId=62802
김지현, [화공실험1] 6주차 1-브로모부테인 합성, 2023.04.03.,
https://che.kumoh.ac.kr/che/sub0702.do?mode=view&articleNo=428361
John Mcmurry, Organic Chemistry 9th Edition, CENGAGE, P.323~326, 2015
김지현, [화공실험1] 6주차 1-브로모부테인 합성, 2023.04.03.,
https://che.kumoh.ac.kr/che/sub0702.do?mode=view&articleNo=428361
구글, 물과 황산, file:///C:/Users/amype/Downloads/18_%ED%99%A9%EC%82%B0.pdf
실험자료, The SN2 Reation https://ko.wikipedia.org/wiki/1-%EB%B8%8C%EB%A1%9C%EB%AA%A8%EB%B7%B0%ED%85%8C%EC%9D%B8
구글, 1-bromobutane, https://ko.wikipedia.org/wiki/1-%EB%B8%8C%EB%A1%9C%EB%AA%A8%EB%B7%B0%ED%85%8C%EC%9D%B8
구글, NaHSO4 밀도, https://ko.wikipedia.org/wiki/%ED%99%A9%EC%82%B0_%EC%88%98%EC%86%8C_%EB%82%98%ED%8A%B8%EB%A5%A8
구글, ethyl sulfate, https://en.wikipedia.org/wiki/Ethyl_sulfate
구글, 알코올 황산 반응, https://ko.wikipedia.org/wiki/%EC%95%8C%EC%BD%94%EC%98%AC
구글, dibutyl ether, https://en.wikipedia.org/wiki/Dibutyl_ether
네이버 지식백과, p-아니스알데하이드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46313&cid=40942&categoryId=32099
네이버 지식백과, p-아니스알데하이드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624490&cid=60228&categoryId=60228
실험자료, chromatography
구글, Anisaldehyde stain, http://www.reachdevices.com/TLC_stains.html
구글, SN2반응, https://ko.wikipedia.org/wiki/SN2_%EB%B0%98%EC%9D%91
[네이버 지식백과] SN2 반응 [SN2 reaction] (화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173595&cid=62802&categoryId=62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