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간경변증의 연구 필요성 및 목적
간경변증은 만성 질환으로 암,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주요 사망원인 중 하나이다. 현재 실습 중인 *******병원 ***병동은 소화기 내과로 간.담도계 질환 환자들이 많이 내원하고 있어 간경변증에 대해 깊이 있게 공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사례 연구는 간경변증에 대한 기초 자료를 수집한 후 분석을 통하여 간경변증 환자에 대한 간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간경변증은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증상과 합병증을 동반하므로 간호사의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간경변증 환자에 대한 이해와 간호중재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1.2. 간경변증의 정의 및 특징
간경변증은 학술적 병명인 '간경변증'의 일반화된 명칭이다. 간세포 손상(간염)이 장기간 지속되면 간에 흉터가 쌓이는 간섬유화증이 진행되며, 간섬유화증이 간 전반에 걸쳐 진행되면 간경변증이 된다. 간에 흉터(섬유화)가 과도하게 쌓이면 간으로 혈액이 잘 유입되지 않아 간 문맥압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문맥 고혈압 합병증(복수, 정맥류)이 생긴다. 점차 정상 기능을 할 수 있는 간세포의 수가 과도하게 적어지면서 단백질 합성, 해독 작용 등의 간 기능 장애로 인한 합병증(황달, 간성 뇌증)이 발생한다. 간암 발병률도 크게 증가한다.
2. 간경변증의 원인 및 병태생리
2.1. 간경변증의 원인
간경변증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우리나라에서 발병하는 간경변증의 가장 큰 원인은 만성 B형 간염이다. 만성 B형 간염 환자의 약 70%가 간경변증을 앓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알코올성 간염과 만성 C형 간염이 간경변증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외에도 지방간염, 자가면역성 간염, 경화성 담관염, 윌슨병 등의 유전 질환도 간경변증을 유발할 수 있다. 간경변증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경우도 있다. 알코올은 간경변증을 직접 일으킬 수 있으며, 다른 원인으로 인한 만성 간 질환을 빠르게 악화시킬 수 있다.
2.2. 간경변증의 병태생리
간경변증은 만성적이며 진행성 질환이다. 간경변증의 가장 큰 문제는 간기능의 저하와 문맥성 고혈압이며, 문맥성 고혈압은 주로 심각한 간경변증에서 발생한다. 간경변증은 간세포의 광범위한 파괴가 있다. 이러한 변화는 혈행을 변화시키고 림프계와 담관에서의 흐름의 변화를 초래한다. 주기적인 병세악화는 담즙 정체와 황달을 가져온다. 또한 대표적인 합병증으로 문맥성 고혈압과 그로 인한 식도정맥류, 복수, 간성뇌병증이 나타난다. 간경변증이 심하면 간의 주요 혈관으로 유입되는 혈류를 손상시키거나 변화시키기 때문에 문맥성 고혈압이 발생한다. 문맥성 고혈압은 문맥계를 통해서 흐르는 혈액 유입이 증가되거나 문맥계 안에서 혈류에 대한 저항이 증가되어 문맥계 내에 지속적인 압력상승이 있을 때 발생한다.
3. 간경변증의 증상 및 합병증
3.1. 간경변증의 임상 증상
간경변증 환자는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문제를 경험한다. 부종, 복수, 황달, 소양감, 식도정맥류 출혈, 오심, 식욕부진, 영양결핍, 변비, 두통, 사지 저림, 호흡곤란, 잇몸 출혈, 비 출혈 등의 신체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피부에 붉은 반점이 거미 모양으로 나타나거나(거미 혈관종), 호르몬 대사의 이상으로 손바닥이 정상인보다 붉어지고(손바닥 홍반), 남성에서는 가슴이 비대해지며(여성형 유방) 고환이 수축되어 성기능이 저하된다. 간성혼수(hepatic coma)로 인해 의식을 잃을 수도 있다. 정신적 문제로는 무력감, 우울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복수, 식도정맥류 출혈, 간성뇌증, 간신증후군 등의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하게 되며, 잦은 합병증의 발생은 일상생활을 힘들게 한다. 간경변증은 초기에는 간의 비대, 맥관의 변화 등이 나타나고 간기능 검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