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실험 목적
단순보의 처짐에 대한 이론 내용을 정리하고, 다양한 하중 조건과 지간 길이 및 단면 2차 모멘트를 고려한 실험을 통해 실험값과 이론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구조물에 하중이 작용할 때의 처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외팔보와 단순보의 처짐을 조사하고, 둘째, 보의 춤과 길이가 처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며, 셋째, 실험에서 구한 탄성계수를 이용하여 구한 처짐 계산값과 실험값이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2. 실험 내용
단순보는 양쪽 끝이 지지되어 있는 보이다. 단순보에 외력을 가하면 보의 중앙부에서 최대 처짐이 발생한다. 단순보의 처짐은 보의 길이, 단면 2차 모멘트, 재료의 탄성계수에 따라 달라진다.
실험에서는 단순보의 처짐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우선 외팔보의 처짐을 측정하였는데, 강철, 황동, 알루미늄 보를 각각 사용하여 처짐량을 이론값과 비교하였다. 강철보의 경우 이론값과 실험값이 잘 일치하였지만, 알루미늄보의 경우 실험값이 이론값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는 알루미늄의 낮은 탄성계수로 인해 보가 영구 변형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단순지지 보에 하중을 가하여 중앙 부분의 처짐을 측정하였다. 알루미늄 보를 사용하였는데, 실험값이 이론값보다 작게 나타났다. 이는 보가 이미 위로 변형된 상태에서 실험을 진행하여 초기 변형이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후 단순보의 지간별 처짐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지간이 증가할수록 처짐이 증가하는 비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간의 3승과 처짐이 선형관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보의 강성에 따른 모멘트와 곡률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보의 강성이 클수록 같은 하중에서도 더 작은 처짐이 발생하며, 곡률반경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보의 재료와 단면 특성이 처짐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 요인으로는 실험 장비의 노후화, 측정 도구의 부정확성, 보의 초기 변형, 실험 반복의 어려움 등을 들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실험 전 장비와 보의 상태를 꼼꼼히 점검하고, 측정 방법을 개선하여 정밀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종합적으로 단순보의 처짐 특성을 다각도로 분석한 이번 실험을 통해 보의 설계와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 향후 실험 정밀도를 높이고 다양한 조건에서의 추가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 실험관련 이론
단순보의 처짐
단순보에 외력이 작용하면 보의 중심선 AB가 곡선 ACB로 변형되는데, 이 곡선 ACB를 보의 휨 곡선(deflection curve)이라 부른다. 이 휨 곡선의 곡률은 보의 모멘트 M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