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살풀이 수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살풀이춤의 정의와 역사
3. 살풀이춤의 상징적 의미
3.1. '넋'과 '수건'
3.2. 수건의 색채 상징
4. 수건의 유래와 변천
5. 살풀이춤의 춤사위와 의미
5.1. 무용수의 동작과 표현 의미
5.2. 수건의 길이와 특징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살풀이춤은 한국의 대표적인 민속무용 중 하나로, 무속 음악 중 '살풀이'라는 남도 무악 장단에 맞추어 추는 춤이다. 원래 굿판의 대청이나 안방에서 넋종이, 손수건 등을 들고 입에 물기도 하며 춤추다가 점차 극장식 무대로 옮겨지면서부터 예술적으로 무대화되어 긴 명주 수건을 뿌리고 휘날리며 우아한 아름다운 동작선을 연출하여 독특하고 완벽한 예술작품으로 승화되고 발전하였다. 살풀이춤은 한국 사람들의 삶과 정서가 깊이 반영된 전통무용이며, 그 과정에서 수건이라는 소품이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수건은 '넋'을 상징하며, 수건의 색채와 길이, 사용 방식 등은 살풀이춤의 특징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살풀이춤의 정의와 역사, 수건의 상징적 의미, 수건의 유래와 변천, 춤사위와 수건의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2. 살풀이춤의 정의와 역사
'살풀이춤'은 한국의 대표적인 민속춤 중 하나이다. 무속음악 중 '살풀이'라는 남도 무악 장단에 맞추어 추는 춤으로, 처음에는 굿판의 대청이나 안방에서 넋종이, 손수건 등을 들고 입에 물기도 하며 춤추다가 점차 극장식 무대로 옮겨지면서부터 예술적으로 무대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긴 명주 수건을 뿌리고 휘날리며 우아한 아름다운 동작선을 연출하여 독특하고 완벽한 예술작품으로 승화 및 발전되었다.
살풀이춤은 원래 '살(煞)을 푸는' 의미를 지닌 것으로, 무속 의식에서 액을 풀어낸다는 의미가 있다. 또한 '도살풀이춤' 또는 '허튼춤'이라고도 불리는 살풀이춤은 무속음악 중 '살풀이'라는 남도 무악 장단에 맞추어 추는 춤이다. 이러한 살풀이춤은 조선 중기 이후 나라가 안정되고 서민문화가 활발히 전개되면서부터 광대들의 춤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후 일제강점기 때 굿이 금지되자 무당들 중 일부가 집단을 만들어 춤을 다듬으면서 점차 예술적 형태를 갖추게 되어 오늘날 한국춤의 대표로 정착하였다.
지금의 살풀이춤은 경기지방과 호남지방을 중심으로 계승되어 왔으며, 이매방류, 한영숙류, 김숙자류 등의 춤꾼들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1936년 한성준의 무용발표회에서 살풀이...
참고 자료
崔允禧, 金淑子類 입춤의 美的 價値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7
입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https://folkency.nfm.go.kr/topic/detail/6442
공용, 2018, 공연예술, 현대연극의 다양성과 실험성 여러형식의 전개와 전통의 재해석
방송대 <공연예술의이해와감상> 교재 및 강의
『한국(韓國)의 민속극(民俗劇)』(심우성,창작과 비평사,1975)
『남사당패연구(男寺黨牌硏究)』(심우성,동화출판공사,197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사당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