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박테리아 지수함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박테리아 생장곡선 실험의 필요성
1.2. 미생물의 생장 특성
1.3. 세대시간 및 생장 측정법의 이해
2. 미생물 생장 이론
2.1. 미생물 생장곡선의 단계
2.2.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3. 미생물 생장 측정 방법
2.3.1. 총균수 측정
2.3.2. 생균수 측정
2.3.3. 혼탁도 측정
3. 실험 설계 및 수행
3.1. 실험 재료 및 기구
3.2. 실험 방법
3.2.1. UV 흡광도 측정
3.2.2. 생균수 측정
4. 실험 결과
4.1. UV 흡광도 측정 결과
4.2. 생균수 측정 결과
4.3. 세대시간 계산
5. 고찰 및 결론
5.1. 실험 오차 및 주의사항
5.2. 박테리아 생장곡선 해석
5.3. 실험 결과의 의의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박테리아 생장곡선 실험의 필요성
박테리아 생장곡선 실험의 필요성은 세균을 대량 배양할 때나 조사해야 할 시료의 수가 많은 경우 배양액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세균의 생장을 측정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실험에서는 배양액에서 세균의 생장곡선을 흡광도 측정방법으로 구해보고, 정확한 균체수의 측정을 위하여 콜로니 계수법을 병행해 보도록 한다. 미생물의 생장은 영양분과 필요한 환경인자를 제공받으면 물질대사가 활성화되어 증식하게 되며, 이때 세포의 크기와 집단 내 세포 수가 증가하게 된다. 미생물의 생장에는 용질-수분 활성도, 온도, pH, 산소 농도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며, 미생물 생장곡선에는 유도기, 대수기, 정지기, 사멸기의 4단계가 있다. 세대시간은 미생물 한 세포가 두 개의 세포로 분열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며, 이를 통해 미생물의 증식 속도를 알 수 있다. 미생물의 생장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총균수 측정, 생균수 측정, 혼탁도 측정 등이 있다.
1.2. 미생물의 생장 특성
미생물은 영양과 필요한 환경인자를 제공받게 되면 물질대사가 활성화되고 증식하게 된다. 이때 세포가 새로운 세포 구성성분들을 합성하여 세포의 크기를 증가시키기도 하고, 집단 내에 있는 세포의 수가 증가하기도 한다. 미생물 세포들은 한정된 수명을 갖고 있어서 종이 유지되는 것은 집단의 계속되는 생장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개체생장은 미생물 구성성분의 양적 증가와 구조 및 크기의 증가를 뜻한다. 즉 세포의 무게와 크기의 증가를 일컫는다. 집단생장은 개체의 질량과 크기의 증가뿐만 아니라 미생물 총수의 증가도 생장이라 한다. 미생물은 크기가 미세하므로 미생물의 생장을 연구하기 위해서 개체생장보다는 집단생장을 살펴보는 것이 낫다. 미생물 세포의 집단생장은 한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두 개의 세로가 되므로 2^n, 즉 2의 지수적 비율로 증가한다. []
1.3. 세대시간 및 생장 측정법의 이해
세대시간은 미생물이 이분법으로 증식할 때 한 세포가 두 개의 세포로 나누어지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미생물은 일반적으로 이분법으로 증식하므로, 최적 환경에서 배양할 경우 세포수가 대수적으로 증가한다. 세대시간은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수십분에서 수십시간까지 다양하게 나타나며, 배지나 배양 조건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미생물의 생장 특성을 이해하고자 할 때 세대시간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미생물 생장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크게 총균수 측정과 생균수 측정이 있다. 총균수 측정은 현미경을 이용하여 모든 세포를 계수하는 방법으로, 살아있는 세포와 죽은 세포를 구분하지 않고 측정한다. 반면 생균수 측정은 콜로니 계수법 등을 통해 살아있는 세포만을 계수하는 방법이다. 총균수 측정은 빠르고 간단하지만 신뢰도가 낮은 편이며, 생균수 측정은 시간이 더 걸리지만 살아있는 세포만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미생물의 생장은 배지의 혼탁도로도 측정할 수 있다. 미생물 세포가 증가할수록 배지의 탁도가 증가하므로, 이를 분광광도계로 측정하여 흡광도를 구하면 미생물의 상대적인 생장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는 총균수나 생균수 측정에 비해 간단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렇듯 미생물 생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은 각각 장단점이 있으므로, 연구 목적과 실험 환경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정확한 균체수를 알고자 할 때는 생균수 측정이 적합하고, 배양 과정에서의 상대적인 생장 변화를 관찰하고자 할 때는 혼탁도 측정이 효과적일 것이다. 따라서 실험 목적과 대상 미생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측정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미생물 생장 이론
2.1. 미생물 생장곡선의 단계
미생물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지체기, 영양분을 충분히 이용하여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대수기, 증식이 멈추고 균형을 이루는 정체기, 그리고 점차 감소하는 사멸기의 네 단계를 거치며 생장한다.
지체기는 새로운 배지로 옮겨진 세균이 증식하기 위해 필요한 효소, 핵산, ATP 등을 합성하는 시기로, 세균수의 즉각적인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지체기의 길이는 접종균의 상태와 새로운 배지의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대수기는 영양분이 풍부한 환경에서 세균이 이분법 증식을 통해 지수적으로 늘어나는 시기이다. 세대시간이 가장 짧으며, 세포의 크기와 활성이 최대치를 보인다. 또한 물리적, 화학...
참고 자료
유주현, 변유랑 외, 「응용 미생물학 실험」, 효일, p.96 탁도에 의한 측정법과 생육곡선
홍태희 외 6명, 「식품 미생물학 & 실험」, 지구문화사, p.178 미생물의 생육 및 생육곡선
미생물학 실험교재 편찬위원회, 「미생물학 실험」, 월드 사이언스, p.44 미생물의 발육 조건
Brock, Madigan 외 3명, 「Brock의 미생물학 12판」, 바이오사이언스, p.147 지수생장의 개념 및 미생물의 생장주기
이건형 외 17명, 「일반미생물학」, 교보문고, p.91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탁도 측정
http://100.naver.com/ , 2012년 5월 27일 참고, 용어 및 생장곡선
http://cms.daegu.ac.kr/sgpark/microbiology/%EC%83%9D%EC%9E%A5%EC%A6%9D%EC%8B%9D.htm , 2012년 5월 27일 참고, 미생물의 지수생장 및 생존여건
Madigan 외 4명, 『Brock의 미생물학 14판』, 바이오사이언스, 2016.
방병호 외 7명, 『미생물학실험』, 진로연구사, 2002.
편찬위원회, 『미생물학 실험 : 기초와 응용』, 월드사이언스, 2000.
이종경 외 3명, 『식품미생물학』, 파워북, 2014.
Nester 외 3명, 『일반미생물학』, 교보문고,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