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최근 1년 내에 우리나라 복지정책의 이슈를 분석한 후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국가개입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이에 관련된 자신의 생각을 기술하시오. 【부연설명】 1) 최근 1년 내의 우리나라 복지정책 이슈 선정하여 분석 2)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국가개입의 필요성 설명 3) 본인 생각 작성 4) 참고문헌 반드시 제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사회복지정책의 목적과 역할
1.2. 우리나라 복지정책의 최근 쟁점
2. 아동학대 예방 정책 분석
2.1. 최근 발생한 아동학대 사건
2.2. 아동학대 대응 정책의 주요 내용
2.3.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정책 과제
3.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국가개입의 필요성
3.1. 국가의 아동 보호 의무
3.2. 사회적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국가 역할
3.3. 장기적 관점의 사회복지정책 수립
4. 결론
4.1. 연구 요약
4.2.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제언
4.3. 사회복지정책 발전 방향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사회복지정책의 목적과 역할
사회복지정책은 인간의 기본적 욕구 충족 및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구체화하며 가치를 배분하는 활동이다. 사회복지정책은 헌법에서 정한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빈곤, 의료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부의 재분배적 역할을 하므로, 민주주의 경제논리에는 벗어나지만 우리 사회가 안정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필수적인 정책이다. 사회복지정책은 개인의 사회경제적 안정과 안녕을 촉진하며 사회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는 국가의 신속한 개입이 필요하여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가정과 근로자, 소상공인 등을 지원함으로써 기본적 생활을 보장하고 경제 회복을 돕는다. 사회복지정책은 개인의 능력과 상황에 따라 격차가 크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국가는 균등한 기회 부여와 사회적 격차 축소를 위해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또한 보편적 복지정책을 통해 청년, 노인, 장애인 등 다양한 계층의 기본적 생활과 권리를 보장함으로써 사회 통합과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이처럼 사회복지정책의 목적은 국민 개개인의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사회 구성원 전체의 안녕과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1.2. 우리나라 복지정책의 최근 쟁점
최근 1년 간 우리나라 복지정책의 가장 핵심적인 쟁점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아동학대 사건이다. 지난 10월 정인이 사건을 계기로 국민들의 아동 보호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졌으며, 이에 따라 정부는 아동학대 근절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 대응을 펼치고 있다.
특히 2021년 2월 「아동학대범죄처벌 특례법」이 개정되어 아동학대 살해죄를 새롭게 신설하고 처벌을 대폭 강화하였다. 이는 최근 아동학대로 인한 사망사건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사회적 공분을 샀기 때문이다. 또한 피해 아동에게 국선변호사를 선임하도록 하는 등 아동의 권익 보호도 강화하였다.
아동학대 실태를 살펴보면, 발견율이 3.81%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낮은 수준이며, 재학대 비율도 11.4%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가해자는 대부분 부모이며, 과거 훈육이라는 명분으로 가정폭력이 행해져왔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아동 즉각 분리제도, 체벌 금지 등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정책이 강화되고 있다.
하지만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공공 정책에는 여전히 문제점이 있다. 아동학대 전담공무원 배치와 전문성 제고의 어려움, 분리 보호를 위한 쉼터와 프로그램 부족, 중간 지원시스템의 부재 등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담공무원 전문성 제고, 분리보호체계 안정화, 광역단위 지원체계 구축 등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2. 아동학대 예방 정책 분석
2.1. 최근 발생한 아동학대 사건
지난해 12월 31일 경기 수원시 집에서 생후 29일 된 딸 B양이 잠을 자지 않고 울자 화가 난다는 이유로 왼쪽 엄지손가락에 금속 반지를 낀 채 이마를 2차례 때려 이튿날 급성경막하출혈과 뇌부종 등으로 인한 머리 손상으로 숨지게 한 사건이 발생했다. 올해 1월 8살이던 A양이 친엄마에 의해 살해되었...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정인이법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즉각분리 아동 95%는 학대 판단…10명 중 6명은 집 못갔다-이창준 기자 2021.09.30 https://www.khan.co.kr/national/health-welfare/article/202109301133001#csidx16a105a5859e9bea025034a6cd05daa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윤지혜기자 21.10
한국 아동학대 예방정책의 개선방안 : 한국교정복지학회 https://www.earticle.net/Article/A399372
노상우, 쿠키뉴스, ‘보호대상아동 최근 3년간 지속 증가세...’학대‘ 비중 가장 높아’, 2021.05.21.
경기도 차원의 아동학대 예방대책 필요성 강조–이병희기자 21.4.15.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415_0001408564&cID=10803&pID=14000
배론 사회복지정책론
시사주간 http://www.sisaweekly.com/ 이보배기자 21.5.18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11105147952061?input=1195m /강영훈기자 21.11.5.
편집부. (2021). 정부는 아동 인권의 관점에서 아동학대 대응체계 방안 전면 재검토해야 합니다(2021. 1. 22.). 월간 복지동향, (268), 62-66.
류기환. (2021). 아동학대 현황과 그 대응방안 - 행정조사와 경찰수사를 중심으로 -. 법이론실무연구, 9(1), 9-33.
고령화 사회 가속화”…정부, 노인대책 수립 급물살|작성자 월간인물
초고령사회, 고령자 일자리 정책 발전 방향 논의|작성자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김영민, & 이동열. (2022). 한국의 노인복지정책 동향과 과제. 사회복지정책, 49(3), 23-41.
박진희, & 이상호. (2021).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정책과 노인복지정책의 현황과 과제. 복지행정학연구, 22(2), 157-180.
한국노인복지협회. (2022). 2021 노인복지백서. 서울: 한국노인복지협회.50년 뒤 65세↑ 절반 전망, 일자리·사회보험 강화 등 대책 마련
장혜승, 2022.5.17. 5조 원 넘게 쏟아부은 청년 정책, 보편성 부족, 정책 효과도 ‘의문’, 대학신문
임수정, 2022.6.29. 취업난, 주거 문제, 기후 위기까지.. 청년 정책 사각지대를 발견하다, LIFE IN
이현승, 이학준, 2023.6.27. 포기하는 2030. 청년 니트족 사회로 끌어낼 정책 全無... 상황에 따라 정책 세분화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