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로스만의 실천 모델을 분석 틀로사회복지관을 택해 모델의 틀을 사용하여핵심기능이나 사업에 대해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 모델
2.1. 지역사회개발 모델
2.2. 사회계획 및 정책 모델
2.3. 사회행동 모델
3. 지역사회개발 모델의 사례와 분석
3.1. 새마을 운동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지역사회복지 실천은 사회복지 실천의 가장 기초를 이루는 것이다. 그러나 각 지역과 국가마다 고유한 문화와 사회규범을 지니고 있기에 동일한 지역사회복지 실천 모델을 적용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에 로스만은 지역사회복지 활동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지역사회개발, 사회계획 및 정책, 사회행동의 세 가지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들 모델은 분석적으로는 구분이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혼용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따라서 이 보고서에서는 로스만의 세 가지 지역사회복지 실천 모델을 차례로 설명하고, 그중 지역사회개발 모델의 대표적인 사례인 새마을 운동을 분석하고자 한다.
2.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 모델
2.1. 지역사회개발 모델
지역사회개발 모델은 지역사회의 문제해결을 위한 지역사회의 능력과 사회통합의 과정목표를 통해 지역사회를 새롭게 만드는데 초점을 두며, 지역사회의 욕구나 문제를 다룰 때 주민들의 자조정신을 강조하는 형태이다. 이는 지역사회 구성원의 자발적 참여와 역량개발을 통해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추구하고자 하는 모델이다.
이 모델에서는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자조할 수 있도록 동기화하고, 기본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며, 지역사회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지도력을 발전시키고, 시민의식을 갖도록 돕는 과정을 강조한다. 또한 지역사회에의 참여를 통해 시민으로서의 의무와 권리를 행사할 것을 강조하며, 민주적 과정을 경험할 수 있게 하고, 협동적이고 조화로운 관계를 맺고 유지해 나가는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지역사회개발모델은 개발도상국이나 선진국의 낙후된 도시지역에서 많이 사용되며, 의식과 태도 등의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들과 교육, 건강, 주택, 사회복지, 청소년과 여성을 위한 프로그램, 그리고 지역사회발달에 중요한 요소가 되는 지역사회 지도자의 훈련 프로그램 등이 강조된다. 실천가는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스스로 문제해결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조력자, 촉매자, 조정자, 문제해결 기술을 가...
참고 자료
박태영, 「지역사회복지론」, 학현사, 2007.
최일섭·이현주. 2006. 『지역사회복지론』. 서울대학교출판부.
김자경. 2020. “협동조합으로 커먼즈 만들기”. 『모심과 살림』.
안윤숙ㆍ김흥주. 2019. “지역사회복지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경제의 역할과 과제”. 『지역사회연구』.
지역사회복지실천현장의 이론과 사례 강세현 저 | 공동체 | 2017.01.25
지역사회복지 실천론』 나남 2013. 3. 5. : 강철희, 정무성
새마을 운동의 전개 과정과 성과』 한국행정연구원, 2012 : 소진광, 김선희
지역사회개발사업과 발전주의 복지정치 : 박정희정권의 새마을 운동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38권 제3호 p.57~80 2011. 9.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