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조선소 생산공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조선소 생산공정 현황
2.1. VRIO 분석이란
2.2. 철강산업의 이해와 현황
2.3. 철강산업에서 경쟁기업에 대한 VRIO 분석
2.3.1. 현대제철
2.3.2. 동국제강
2.3.3. 포스코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조선소 생산공정의 이해와 경쟁력 강화방안
대학생이 레포트를 다음 지침에 따라 작성하였다.
철강산업은 경제를 이끌어나가는 핵심 산업으로 다양한 산업계와 연관이 되어 있으므로 철강산업의 성장은 결국 다른 산업의 성장을 견인하는 역할을 한다. 철강산업의 성장과 발전은 우리나라의 주된 수출산업인 조선과 자동차 산업을 이끄는 기반이 되어 있으며 뿐만 아니라 건설, 가전, 기계 등 다양한 산업부문의 국가경쟁력을 키워가는 원동력이 되어왔다. 철강산업은 접근성이 뛰어나야 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철강산업이 발전된 국가들은 교통이 편리하다는 특징이 있다. 물론 자국 내 교통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어야 하는 것 이외에도 해외로 운송할 수 있는 교통시설이 반드시 필요하다. 철강제품은 부피와 무게가 큰 제품에 해당되기 때문에 운반비 부담으로 항공운송이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한 항만시설이 반드시 필요하다. 우리나라와 일본처럼 조선 산업이 함께 발전할 수 있는 인프라가 구축되는 것이 철강산업의 발전에 큰 장점이 된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하나의 산업 내에 경쟁하고 있는 3개의 경쟁기업을 선택하여 VRIO 분석해 보고자 한다.
2. 조선소 생산공정 현황
2.1. VRIO 분석이란
VRIO 분석이란 기업의 지속 가능한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핵심역량을 분석하는 것이다. 기업이 보유한 자원과 역량이 가치(Value), 희소성(Rareness), 모방불가능성(Inimitablity), 활용조직(Organization)의 4가지 기준을 충족한다면 지속 가능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가치는 기업이 전략을 실행하는데 있어 효율성과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희소성은 경쟁기업들이 그 자원과 역량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모방불가능성은 다른 기업이 그 자원과 역량을 쉽게 모방할 수 없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활용조직은 기업이 보유한 자원과 역량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조직 구조와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VRIO 분석은 기업이 보유한 자원과 역량이 지속 가능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는 핵심 도구라고 할 수 있다.
2.2. 철강산업의 이해와 현황
철강산업은 철을 함유하고 있는 철광석, 철스크랩 등을 녹여 쇳물을 만들고 불순물을 줄인 후 연주 및 압연과정을 거쳐 열연강판, 냉연강판, 후판, 철근, 강관 등 최종 철강제품을 만들어내는 산업이다. 중국의 진(晋)나라와 한(漢)나라, 한반도의 고조선 등이 강력한 철기문명을 바탕으로 강성한 국가를 건설할 즈음 유럽에서도 철기문화가 보급되면서 그리스문화의 중심을 이루었던 크레타문명이 발달하였다. 물론 이러한 철의발견은 인류에게 있어서는 생존의 문제였고 나아가서는 제국을 건설하는 밑거름이 되었다. 근대 철강산업은 18세기 산업혁명과 함께 영국에서 발전하기 시작하여 영국과 독일을 중심으로 유럽이 성장을 주도해왔다. 그 후 20세기에는 1970년대 미국을 비롯한 유럽 국가들이 주도였다가 1980년대에 들어서 한국, 중국 등 개발도상국에서 철강산업이 매우 빠르게 성장했다. 이후 1990년대 이후에는 중국, 브라질, 인도 등 신흥 철강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세력을 확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2000년대에 들어서 중국이 세계철강시장에서 빠르게 두각을 나타냈다. 국내 철강산업은 국가경제의 영향을 받아 원화가치의 상승, 국제유가 상승과 같은 외적인 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급변하고 있다. 환율하락은 철강제품의 수출증가세 둔화를 가져와 무역수지 악화의 원인으로 작용하며 국제유가 상승은 철강산업에서의 비용 상승요인으로 작용해 국제 철강산업의 경쟁력 저하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에너지효율 개선을 통한 비용절감으로 국제경쟁력을 갖추어 나가며 경쟁국보다 차별화된 기술로 고부가가치화를 통한고급 철강재의 생산을 증대해 경쟁력을 보다 강화하고 있다. 1945년 일제 강점기를 지나나면서 국가에서 정책적으로 발표한 적산(敵産)국유화 정책을 통해 대한중공업공사(現 현대제철)를 설립(1948년)하였으나, 한국전쟁이 일어나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이후 전후(戰後)부흥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된 기존공장의 복구, 가동 및 부산제철소(現 동국제강)의 최초전기로설비 도입(1963년)등을 통해 여러 민간 기업들의 활발한 진출이 잇따르며 기초를 닦았다. 하지만 일본의 기술을 통한 발전이다 보니 생산설비는 상공정(쇳물을 뽑아내는 기술)보다는 제품을 생산하는 하공정 압연설비(제품을 만들어내는 기술)가 중심을 이루고 있어 상하공정간 불균형이 심해 정부 차원에서 상공정 확충을 목표로 일관종합제철 건설을 위한 정책 차...
참고 자료
잘되는 기업은 무엇이 다를까, 2016, 신형덕 저, 스마트북스.
스틸잡(steeljob.co.kr), 철강산업의 역사, 2014.
민동준 (2020). 한국철강산업의 미래와 도전. 국회철강포럼.
최진혁 (2018). 철강산업 혁신성장 전략, 국회철강포럼.
변종만, “2016년 철강/금속산업 전망”, NH투자증권 리서치 센터, 2015.
김영일 (2011). 철강 유통업체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성과 측정 모델 연구. 박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인천.
우영선 & 박종무 (2014). B2B 산업재 거래에서 서비스품질이 관계품질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논집.
임영목 (2019). 철강산업 현황 및 지역특화산업 육성방안 : 정부 R&D를 중심으로. 국회철강포럼.
김정수,「철강 산업에서의 기업다각화 사례 연구 –신일철, TKS, TATA」,한국철강협회, 2007.
김진환&유성용&이찬호(2020). 원가회계:필수개념과 예제. 신영사 제1판
김윤주&이복남&최길선(2012). ‘한국 일등= 세계 일등’인 조선산업이 건설산업에 주는 교훈. 건설이유포커스
박우&박지문&이정화(2017). 중국조선산업의발전과 육성정책에 관한 연구. 해양비즈니스 , 제36호
정석주 (2022). 세계조선해양 시장동향, 대한조선학회 웹진 2022년 3월 https://www.snak.or.kr/snakzine
문광민(2022,05.23). “후판값 인상에…K조선 수주 낭보에도 울상”인용 매일경제, A19면
한국생산성본부(2021). 노동생산성 국제비교. https://stat.kps.or.kr
이준규&최태정&김성조 (2021). 한국 스마트야드(K-yard) 핵심기술개발산업,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신상곤(2020). 조선분야 기술 특허트렌드. 특허청 기계금속기술심사국
양종서(2020). 해운 조선업 2019년 동향과 20202년도 전망.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 연구소
산업통산자원부&해양수산부(2022). K-조선 해운의재도약, 상생협력을 통한 희망찬 미래. https://www.korea.kr/docViewer
Clrarksons Resaerch (2021). Weekly Shipping Highlights-13th May 2022. https://sin.clarksons.net/Home
조선일보, 2023년 4월 10일 <삼성전자, 접히는 태블릿 출시 전망… 폴더블 시장 대중화 속도>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3/04/10/DOQ3PG6ZGRH77B7BZMYXFYQW3U/조선일보, 2023년 1월 26일 <모리스 창 “반도체 설계·생산 분리될 것” 미래 내다보고 과감한 투자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3/01/25/D3ON34BPPNCD7LC7SY6BN7JAQA중앙일보, 2022년 10월 4일, <“원료 투입하면 원스톱 ‘연속공정’…세계 톱 CDMO 노린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06642
조선일보, 2020년 10월 5일, <국내 최대 음압병동 30병상 완공:코오롱글로벌, 국립중앙의료원에 모듈러 공법으로 한달만에 지어>
https://www.chosun.com/economy/real_estate/2020/10/05/KSCSU5JOSBHFRJ5EC4TC3B6CL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