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언어적의사소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1.1. 언어적 의사소통
1.1.1. 훌륭한 의사소통
1.1.2. 메시지를 들을 때의 규칙
1.1.3. 메시지를 말할 때의 규칙
1.1.4. 효과적인 의사소통기술
1.2. 비언어적 의사소통
1.2.1. 시선접촉
1.2.2. 목소리의 어조와 얼굴표정
1.2.3. 손과 발의 동작
1.2.4. 신체적 자세
1.2.5. 옷차림과 외모
2.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2.1. 의사소통 능력이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2.2. 인간관계의 의의와 중요성
2.3. 갈등관리와 의사소통 능력
3. 자기 이해와 인간관계
3.1. 자기 이해의 필요성
3.2. 자기 이해와 타인 이해의 관계
4.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활용
4.1.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기능
4.2. 비언어적 의사소통 유형
4.3. 전문직에서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활용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1.1. 언어적 의사소통
1.1.1. 훌륭한 의사소통
훌륭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모든 인간은 독특한 방법으로 사건을 인식하고, 경험하고, 상호 교환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하며, 따라서 의사소통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오해는 예상하고 이러한 문제를 줄여 나가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클라이언트가 이해하기 쉬운 방법으로 사고를 조직하고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의지가 필요하며, 클라이언트가 말하는 것을 들을 수 있도록 자신의 방어를 줄이는 의지가 필요하다. 클라이언트에게 주의를 기울여 듣고자 하는 의지, 자신의 사고와 감정, 행동에 책임을 지려는 의지, 그리고 잘 이해하고, 잘 이해받기 위해서 의사소통에 필요한 시간을 가지려는 의지가 필요하다. 의사소통에서 말을 하는 사람은 자신의 메시지가 쉽게 오해받지 않는 방법으로 전달해야 할 책임이 있으며, 말을 듣는 사람은 말하는 사람이 의도한 대로 정확하게 메시지를 듣고 왜곡하지 않을 책임이 있다. 따라서 훌륭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태도와 책임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1.1.2. 메시지를 들을 때의 규칙
메시지를 들을 때의 규칙은 다음과 같다. 말하는 동안에는 들을 수 없기 때문에 말하는 것을 멈춘다. 말하는 사람을 편안하게 해주고 불안을 줄이기 위해, 문을 여닫는 소리 등 산만하게 만드는 요인을 없앤다. 주의를 집중하고, 말이나 행동으로 듣고 싶어 한다는 것을 보여야 한다. 말하는 사람을 참을성 있게 대하고 말을 끊지 않는다.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혹은 말하는 사람이 자신의 메시지를 명확히 전달하도록 돕기 위해서 질문을 한다. 감정을 통제한다. 즉, 의사소통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비판이나 논쟁을 하지 않는다.
1.1.3. 메시지를 말할 때의 규칙
명확하고 단순한 말을 사용하며, 분명하고 너무 빠르지 않게 말한다. 자신의 몸짓에 주의하며, 몸짓은 자신의 메시지 내용과 일치해야 한다. 적절한 눈의 접촉과 몸짓을 사용한다. 너무 많은 정보로 수신자를 압도하지 않으며, 긴 복잡한 메시지를 몇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보다 쉽게 이해되고 다루어질 수 있게 한다. 말을 듣는 사람이 잘 이해했는지를 알 수 있도록 질문이나 코멘트 등 피드백을 요구한다. 이를 통해 말할 때의 규칙을 지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1.1.4. 효과적인 의사소통기술
사례관리자는 더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도록 도움을 주는 여러 가지 기술이 있다. 첫째, 메시지를 계획하는 기술이다. 메시지는 듣는 사람에 의해 일부 왜곡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부분은 이야기의 앞이나 끝 부분에 두어야 한다. 둘째, 자신을 소개하는 기술이다. 의미 있는 의사소통의 중요한 첫 단계는 사례관리자가 자신을 소개하는 것으로, 자신이 누구이고 원하는 메시지나 정보의 교환에서 역할이나 책임이 무엇인지 간단히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의사소통의 목적을 설명하는 기술이다. 메시지를 전달하는 이유를 언급하는 것이며, 듣는 사람이 말한 사람의 메시지에 대해 동의하지 않거나 혼란스러워하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보이면 이에 반응하는 것도 중요하다. 넷째,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염두에 두는 기술이다. 듣는 사람이 메시지에 동의하고 있지 않음을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해 전달할 때 이를 염두에 두고 반응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다섯째, 메시지 수신을 확인하는 기술이다. 듣는 사람이 말한 사람의 메시지를 완전히 그리고 정확하게 받아들였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질문과 탐색을 할 수 있다. 여섯째, 자신의 메시지 수신을 확인하는 기술이다. 자신이 메시지를 받았고 말한 사람이 의도한 것을 오해하지 않았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탐색과 질문을 사용하는 것이다. 일곱째, 질문에 응답하는 기술이다. 질문에 대해 직접 부합하는 답을 분명히 하는 것으로, 사람들은 종종 질문을 제대로 듣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마지막으로 여덟째, 단어의 의미를 확인하는 기술이다. 사람들은 단어나 말을 서로 다른 방법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의사소통의 문제가 많이 일어나므로, 의사소통을 하는 사람들이 주요 단어들을 같은 의미로 생각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질문이 필요하다. [1,2]
1.2. 비언어적 의사소통
1.2.1. 시선접촉
시선접촉은 의사소통의 중요한 수단이다. 눈은 사람의 감정 상태에 대해 많은 것을 전달한다. 시선접촉은 ...
참고 자료
대한뉴스http://www.dhn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3609
국회도서관 ‘이서우’학위 논문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650607507
Rubin, R. B. & Martin, M. M. (1994). Development of a measure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Research Reports. v.11. 33-44
김성재, 「감정의 커뮤니케이션」, 『언론과 사회』 제23권 1호,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5, pp. 5-46.
이미형 외 3인,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현문사, 2020, 17-57쪽.
[네이버 지식백과] 너 자신을 알라.
김형수,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원리와 기법」, 『제18회, 제19회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다문화언어교육사 연수회』,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15, pp. 291-300.
황은미,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비언어적 행위」, 『텍스트언어학』제24권 0호,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08, pp. 313-335.
홍페이윈, <<인간관계 착취>>, p. 11-272.
보건복지부 교준교재 (2020).
[네이버 지식백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커뮤니케이션, 2013. 2. 25., 오미영)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박경옥, 『보건커뮤니케이션』, 계축문화사, 2020
안상윤 외 2인, 『new보건의사소통』, 보문각,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