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ASD(Atrial Septal Defect, 심방중격결손증)는 가장 흔한 선천성 심장병 중 하나이다. 우심방과 좌심방 사이의 중간 벽(심방중격)에 구멍이 있어 혈액이 새어나가는 질환이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이 질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문헌고찰을 통해 질병의 정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진단 및 치료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실제 간호사례를 분석하여 간호사정, 간호중재, 간호평가 등의 간호과정을 적용해봄으로써 소아간호에 대한 역량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질병의 정의
심방중격결손(atrial septal defect, ASD)은 우심방과 좌심방 사이의 중간 벽(심방중격)에 한 개 혹은 여러 개의 구멍이 있는 비교적 흔한 선천성 심장 질환 중의 하나이다. 결손의 위치에 따라 일차공 결손, 이치공 결손, 정맥동 결손, 관상정맥동 결손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 일차공 결손은 이첨판 결손과 중격하부 결손이 혼합된 형태이며, 이차공 결손은 중격중앙부 결손으로 가장 흔한 유형이다. 정맥동 결손은 대정맥과 우심방의 경계부 가까이에 생긴 결손이며, 관상정맥동 결손은 관상동맥 내 위치한 가장 드문 유형이다.
2.2. 원인
선천성 심장병은 대체로 신생아 100명당 약 4~5명에게 발견되며, 국가 간, 인종 간에 거의 비슷한 발생 빈도를 보인다. 선천성 심장병의 원인은 대부분의 경우 뚜렷한 원인을 찾기 어려우며, 약간의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운 증후군을 비롯한 여러 염색체 이상 등의 유전적인 원인이나, 풍진, 인플루엔자 같은 바이러스 감염, 항경련제, 항부정맥약, 정신과 약 등의 약물에 의한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선천성 심장병에서는 뚜렷한 원인을 찾기 어렵다.
태아의 심장 형성은 임신 3개월 이전에 이미 완료되므로, 선천성 심장병은 태아의 심장이 형성되는 과정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선천성 심장병은 임신 초기에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2.3. 병태생리
혈액은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기 때문에 우심방과 좌심방 사이의 벽(심방중격)에 구멍(결손)이 있는 경우 혈액은 압력이 높은 좌심방에서 우심방으로 흐른다.
이로 인해 우심방으로 혈액이 많이 흐르므로 오른쪽 심장 용적과 폐로 흐르는 혈류가 증가하며, 우심실 비대가 나타난다.
압력치가 낮은데도 낮은 폐혈관저항과 우심방의 높은 확장성 때문에 혈액의 흐름은 빨라질 수 있다.
심실중격결손보다 더 낮은 압력으로 혈액이 유입되기 때문에 우심실은 증가된 혈량을 잘 처리할 수 있다.
비록 우심방과 우심실의 비대를 초래하더라도 단순 심방중격결손인 경우 심부전은 발생하지 않는다.
결손을 고정하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몇십년 후에 폐혈관 변화가 발생한다.
2.4. 증상
태어날 때부터 중격 결손이 있더라도 크기가 크지 않다면(5mm 미만) 성인이 될 때까지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대부분의 소아 환자들에게서 어떠한 증상도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심방 중격 결손의 크기가 크거나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