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D 간호과정

  • 1
  • 2
  • 3
  • 4
  • 5
  • 6
  • 7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ASD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2.1. 질병의 정의
2.2. 원인
2.3. 병태생리
2.4. 증상
2.5. 진단
2.6. 치료 및 간호

3. 간호사례
3.1. 간호사정도구 사용
3.1.1. 주관적 자료
3.1.2. 객관적 자료
3.2. 진단적 검사 및 기타 자료
3.3. 치료 및 질병경과
3.4. 간호과정 적용: 간호문제→간호진단→간호계획 및 수행→평가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ASD(Atrial Septal Defect, 심방중격결손증)는 가장 흔한 선천성 심장병 중 하나이다. 우심방과 좌심방 사이의 중간 벽(심방중격)에 구멍이 있어 혈액이 새어나가는 질환이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이 질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문헌고찰을 통해 질병의 정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진단 및 치료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실제 간호사례를 분석하여 간호사정, 간호중재, 간호평가 등의 간호과정을 적용해봄으로써 소아간호에 대한 역량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질병의 정의

심방중격결손(atrial septal defect, ASD)은 우심방과 좌심방 사이의 중간 벽(심방중격)에 한 개 혹은 여러 개의 구멍이 있는 비교적 흔한 선천성 심장 질환 중의 하나이다. 결손의 위치에 따라 일차공 결손, 이치공 결손, 정맥동 결손, 관상정맥동 결손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 일차공 결손은 이첨판 결손과 중격하부 결손이 혼합된 형태이며, 이차공 결손은 중격중앙부 결손으로 가장 흔한 유형이다. 정맥동 결손은 대정맥과 우심방의 경계부 가까이에 생긴 결손이며, 관상정맥동 결손은 관상동맥 내 위치한 가장 드문 유형이다.


2.2. 원인

선천성 심장병은 대체로 신생아 100명당 약 4~5명에게 발견되며, 국가 간, 인종 간에 거의 비슷한 발생 빈도를 보인다. 선천성 심장병의 원인은 대부분의 경우 뚜렷한 원인을 찾기 어려우며, 약간의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운 증후군을 비롯한 여러 염색체 이상 등의 유전적인 원인이나, 풍진, 인플루엔자 같은 바이러스 감염, 항경련제, 항부정맥약, 정신과 약 등의 약물에 의한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선천성 심장병에서는 뚜렷한 원인을 찾기 어렵다.

태아의 심장 형성은 임신 3개월 이전에 이미 완료되므로, 선천성 심장병은 태아의 심장이 형성되는 과정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선천성 심장병은 임신 초기에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2.3. 병태생리

혈액은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기 때문에 우심방과 좌심방 사이의 벽(심방중격)에 구멍(결손)이 있는 경우 혈액은 압력이 높은 좌심방에서 우심방으로 흐른다.
이로 인해 우심방으로 혈액이 많이 흐르므로 오른쪽 심장 용적과 폐로 흐르는 혈류가 증가하며, 우심실 비대가 나타난다.
압력치가 낮은데도 낮은 폐혈관저항과 우심방의 높은 확장성 때문에 혈액의 흐름은 빨라질 수 있다.
심실중격결손보다 더 낮은 압력으로 혈액이 유입되기 때문에 우심실은 증가된 혈량을 잘 처리할 수 있다.
비록 우심방과 우심실의 비대를 초래하더라도 단순 심방중격결손인 경우 심부전은 발생하지 않는다.
결손을 고정하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몇십년 후에 폐혈관 변화가 발생한다.


2.4. 증상

태어날 때부터 중격 결손이 있더라도 크기가 크지 않다면(5mm 미만) 성인이 될 때까지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대부분의 소아 환자들에게서 어떠한 증상도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심방 중격 결손의 크기가 크거나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참고 자료

방경숙 외. 아동간호학 2판. 학지사 메디컬. 2019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박명인 기자. [기고] 선천성 심장병의 비수술적 치료. MEDWORLD.
http://www.medworld.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07
박은영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19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방경숙 외(2018). 아동간호학 2판. 서울 : 학지사메디컬, 414-415.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 [Internet]. 서울: 약학정보원; 2021 [cited 2021 Nov 26]. Available from: https://www.health.kr/searchDrug/search_detail.asp
Linte A, Balanescu AR, Onorato E, Balanescu DV, Bojinca VC, Drakonaki E, Bojinca M, Balanescu SM(2019). Percutaneous closure of a large atrial septal defect in a child with severe dextroscoliosis: A case report. Exp Ther Med. 18(2), 972-975.
Jung SY, Choi JY(2018). Transcatheter closure of atrial septal defect: principles and available devices. J Thorac Dis. 10(Suppl 24), S2909-S2922.
SickKids. Atrial septal defect (ASD) [Internet]. Canada:hospital for sick children; 2021 [cited 2021 Nov 24]. Available from:
https://www.aboutkidshealth.ca/article?contentid=1607&language=english
MARILYN J Hockenberry 외.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2018).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심방 중격 결손증”.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999&cid=51007&categoryId=51007. (2023.03.22.)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심방 중격 결손증”.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6507503&cid=51004&categoryId=51004. (2023.03.22.)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심방 중격 결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637. (2023.03.23.)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