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대지 분석 등 사전 조사
서울대 미술관의 렘 쿨하스 설계안은 대지의 고유한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고자 하였다. 우선 캠퍼스 내부에 위치한 미술관은 지역사회와 캠퍼스 간의 연계성을 고려하였다. 미술관이 마치 통로공간으로 작용할 수 있게 하여 학생들과 대중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경사진 지형을 적극 활용하여 지하에 계단식 강당과 강의실을 계획함으로써 기존 대지의 지형이 그대로 재현되는 느낌을 주었다. 이를 통해 미술관은 단순한 전시시설이 아닌 지역사회와 캠퍼스를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게 되었다. 나아가 미술관의 프로그램 계획에서도 교육공간의 비중을 늘려 영상매체 관련 전시관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렘 쿨하스는 서울대 미술관의 설계 과정에서 대지의 특성과 지역적 맥락을 면밀히 분석하고 이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1.2. 치수계획 및 규모계획
건축면적은 1,363.5㎡이며, 연면적은 4,486.47㎡이다. 대지면적은 3,889,012㎡로 상당히 넓은 편이다. 건폐율은 5.76%이고, 용적율은 20.2%이다. 규모는 지하 3층, 지상 3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미술관은 대지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건물로 계획되었지만, 지하층과 지상층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공간을 구성하였다. 특히 지하층에는 다양한 부대시설들이 배치되어 있어 전시공간 외에도 교육, 행정 등 미술관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지상층에 배치된 전시공간은 2층 교육공간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1.3. 공간계획
서울대 미술관은 기본적으로 크게 전시 공간, 교육 공간, 도서관, 사무 공간 등 네 가지 프로그램으로 나누어진다. 교육공간인 강당과 강의실은 경사진 지형에 맞추어 조각 난 매스에 의해 만들어진 경사를 그대로 활용하여, 계단식 강당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서관은 건물 중앙의 구조 코어에 위치한다. 건물내 코어를 중심으로 구성된 외곽 동선과 중앙의 동선은 두 개의 나선형 고리를 만들며 건물 내의 프로그램간의 연속성을 만들어준다. 미술관의 가장 중요한 공간인 전시공간은 건물의 최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3층에 위치한 전시공간은 2층의 교육공간으로의 공간적인 확장이 가능하게 디자인 되었다. 이러한 확장과 그 결과로 전시장 용도로 쓰일 수 있는 다용도의 교육공간은 경사진 동선과 재료에 의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서울대 미술관은 재료와 외장마감재를 통해 건물의 구성 요소들과 기능적 요구사항들을 표출시키며, 철골구조 프레임을 외부로 노출시킨 이 단일 매스 건축물은 대학 캠퍼스 내부로의 방향성을 가지고 세워져 있다.
1.4. 구조계획
직육면체의 건물 매스를 지형에 맞추어 경사지게 조각내고, 지역사회와 캠퍼스간의 보행자 통로를 생성시키는 것이 핵심이다. 공중에 떠있는 매스 하부는 동선과 지형에 따라 변형되었는데, 이 매스는 중앙의 콘크리트 코어에 의해 캔틸레버식 철골 구조물에 지지되고 있다.
건물의 동선을 살펴보면 매스를 경사지게 조각내는 작업과 연관성을 가진다. 내부 동선은 두 방향으로 갈라지며, 콘크리트 코어를 중심으로 감아 들어가는 형태이다. 건물에 진입하면 이러한 동선은 다른 여러 프로그램들로 연결된다.
서울대 미술관은 재료와 외장 마감재를 통해 건물 구성요소들과 기능적 요구사항들을 표출시켰다. 철골구조 프레임을 외부로 노출시킨 이 단일 매스 건축물은 대학 캠퍼스 내부로의 방향성을 가지고 세워져 있다.
건물 중심의 콘크리트 코어 벽체를 기준으로 장스팬의 트러스 구조가 입면 전체에 걸쳐 구조적, 입면적 특징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와 더불어 무주공간에서 필요한 강도를 얻기 위해 슬라브 깊이를 늘리고 트러스 구조화하여 수직적, 수평적 트러스 구조를 모두 활용한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지형에 맞추어 경사지게 조각낸 매스, 그리고 이를 지지하는 캔틸레버식 철골구조 및 콘크리트 코어 등 다양한 구조적 요소들이 서울대 미술관의 건축적 특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
1.5. 형태계획
렘 콜하스의 서울대 미술관 설계는 캠퍼스와 지역 커뮤니티 간의 관계를 연결해주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연결고리가 프로젝트의 형태론을 정의내리는 요소였다. 직육면체의 건물 매스를 지형에 맞추어 경사지게 자르고, 지역사회와 캠퍼스 간의 보행자 통로를 생성시키는 것이 주요 설계 개념이다. 경사지게 갈라져 공중에 떠있는 매스 하부는 동선과 지형에 따라 변형되었다. 이 매스는 중앙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