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가족생활주기는 결혼을 통해서 가족이 형성되는 순간 자녀의 성장이나 독립, 은퇴, 배우자 사망 등 여러 변화가 이루어지는 가족생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족생활주기는 가족구성원의 나이와 세대를 고려한 발달 단계로 인간은 발달단계에 따른 발달과업이 있는 것처럼 가족도 생활주기에 따라 성취해야 할 발달과업이 있다는 것이다. 각 단계는 일정 발달과업이 주어지고 새로운 단계로 전환될 때 일종의 위기를 경험할 수 있다. 또한 가족생활주기는 가족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사회적 차이, 문화적 차이로 인해 달라지기도 한다. 즉, 가족형태 등에 따라서 가족생활주기는 변화할 수 있으며 가족유형이 같다고 하더라도 사회적 배경과 문화적 배경이 다르다면 가족생활주기 또한 달라질 수 있다.
2. 가족생활주기 이론
2.1. 카터와 맥골드릭의 가족생활주기
결혼 전기는 미혼 자녀가 원가족으로부터 떠나면서 결혼 이후 자녀를 낳고 자신의 가족을 이루기 전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부모의 의존으로부터 벗어나 자립하여 사회에서 요구하는 역할 수행과 사회 일원으로서 성장해야 하며, 주요 발달과제는 원가족과의 분화를 통해 성숙한 개인이 되는 것, 부모의 정서적, 경제적 지원으로부터 독립 및 자립하는 것 등이 있다.
결혼 적응기는 남녀가 원가족에게서 물리적, 심리적으로 분리되어 두 사람만의 세계를 만드는 단계이다. 자신들이 자란 원가족 경험으로 욕구 표현방식이 달라 갈등이 나타나기도 하므로, 부부는 잘 기능할 수 있는 기본적인 규칙, 유형을 만들 수 있어야 한다. 이 시기 발달과제는 결혼이 자신의 원가족에게 정서적 자립했다는 것을 전제로 성립해야 하고 결혼으로 하나의 가족 단위로 성립되는 기본적 가족기능을 원만히 수행하는 것이다.
자녀 아동기는 첫 자녀 출생 뒤 태어난 자녀가 부모에게 전적으로 의존하는 상태에서 시작된다. 자녀가 출생한 뒤 부부는 인내심을 가져야 하며 많은 부담도 가질 수 있으나, 자녀가 출생한 것은 부모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아정체성 원천으로도 작용하게 된다. 이 시기는 부모 체계에 자녀가 더해지므로 새로운 경계, 역할을 형성하고 부부간 의무, 부모로서 부모 간 균형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주요 발달과제는 자녀 자립성, 가족의 충성심과 소속감 간의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하며, 자녀에게 지나친 기대를 하여 중압감을 가지지 않도록 부모와 자녀 간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2. 가족생활주기 단계
결혼적응기는 남녀가 원가족에게서 물리적, 심리적으로 분리되어 두 사람만의 세계를 만드는 단계이다. 자신들이 자란 원가족 경험으로 욕구 표현방식이 달라 갈등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이로 인해 부부는 잘 기능할 수 있는 기본적인 규칙과 유형을 만들 수 있어야 한다. 이 시기 발달과제는 결혼이 자신의 원가족에게 정서적 자립했다는 것을 전제로 성립해야 하고 결혼으로 하나의 가족 단위로 성립되는 기본적 가족기능을 원만히 수행하는 것이다.
자녀아동기는 첫 자녀 출생 후 태어난 자녀가 부모에게 전적으로 의존하는 상태에서 시작된다. 새로운 자녀가 탄생하고 그 자녀가 청소년기까지 성장하는 시기에 해당한다. 자녀가 출생한 뒤 부부는 인내심을 가져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