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농업 및 식품 분야의 생명기술의 정의, 특성, 장단점, 과거현재미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GMO 정의 및 개발 배경
2. GMO의 장단점
2.1. 장점
2.2. 단점
3. GMO 찬반 논쟁
3.1. 찬성론자들의 주장
3.2. 반대론자들의 주장
4. GMO 개발사례
5. 느낀점
6. GMO 허용에 대한 의견
본문내용
1. GMO 정의 및 개발 배경
GMO란 생명공학기술인 유전자재조합기술을 이용하여 개발된 작물이다. 이는 어떤 생물의 유전자 중 유용한 유전자만을 취하여 다른 생물체에 삽입하여 새로운 품종을 만드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GMO는 잠재적 혜택들도 많지만, 유전자변형기술의 이용에 따른 자연 생태계나 인체 및 동물에게 미치는 다양한 측면에서의 우려가 있어 아직 여러 국가들에서 찬반논쟁 중에 있다.
1980년대 미생물분야에서 유전자재조합 기술의 응용이 활발히 이루어져 의약품이나 첨가물이 손쉽게 만들어지기 시작하면서 농작물의 품종 개발과 같은 농업분야에서도 유전자 재조합 기술이 이용되기 시작했다. 특히 농업 분야에서는 기존의 육종기술에 의한 품종 개발이나 농약, 화학비료에의한 농작물의 생산량 증가가 한계에 이르고 잔류 및 오염문제 등으로 안전성이나 환경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다. 이에 대한 새로운 품종 개량 기술로서 유전자 재조합 기술이 이용된 결과 유전자 재조합 식품이 개발되게 되었다.
2. GMO의 장단점
2.1. 장점
GMO 식품은 해충, 기상이변에 강하다. 따라서 농약 등을 쓰지 않아 오히려 환경보호가 되며 농민들의 재산 손해가 줄어든다. 이를 통해 농업 활성화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생산량이 많아 식량 문제를 줄일 수 있다. 필리핀의 경우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쌀 수출이 전 세계 순위 내에 들 정도였지만, 현재 쌀 가격이 2배로 폭등해 많은 서민들이 힘들어하고 있는데, GMO를 생산하면 이런 상황을 해결할 수 있다. GMO는 어떤 환경에서도 자랄 수 있기에 작물의 재배 가능 지역이 늘어난다. 바나나 같은 작물은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지만 유전자변형을 통해 어느 곳에서나 재배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GMO 식품은 식품 신선도가 높아 식중독의 위험이 준다. 유기농 식품이라 해도 병균이 쉽게 묻지만 GMO는 훨씬 더 청...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