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최신 보건의료기술을 활용한 간호계의 향후 추진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감염병 관련 국내외 보건의료 정책의 필요성
1.2. 감염병 관련 국내외 보건의료 정책변화에 대한 이론적 문헌고찰 내용
2. 본론
2.1. 감염병 관련 국내 보건의료 법규와 보건의료정책의 변화
2.2. 감염병 관련 향후 국내 보건의료 정책 수립을 위한 제안과 수정해야 할 점
3. 결론
3.1. 과제를 수행하면서 느낀 자아성찰 내용
3.2. 과제를 수행하면서 느낀 국내외 보건의료 정책에 대해 종합적인 평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감염병 관련 국내외 보건의료 정책의 필요성
감염병은 역사적으로 엄청난 사상자를 초래하여 인류를 위협해왔다.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항생제와 백신 등을 통해 이를 극복할 수 있었지만, 21세기 들어 SARS, 조류인플루엔자, 신종플루, MERS, 에볼라, 지카바이러스 등 잇따른 신종 감염병의 출현은 막대한 사회경제적 피해를 야기했고 전 세계인을 감염병의 공포에 떨게 했다.
감염병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살펴보면, 진단기술, 방제/방역, 감시/역학보다는 백신, 치료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수공통감염병보다 인체감염병 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은 가까운 일본, 중국과의 감시 데이터 공유를 통해 아시아권의 감염병 감시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이를 시작점으로 삼아 세계보건기구와 같은 국제적 감염병 네트워크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는 국내 유입으로 국가 위기 상황에 신속하고 적정한 대응을 할 수 있는 위기대응 역량 및 인프라가 미흡하여 공중보건에 지속적인 위험을 초래하고, 사회경제적으로 큰 손실비용이 나타났다.
이에 정부는 현재의 감염병 예방 및 관리 제도를 개정하고 향후 국가 방역체계 개편안을 제시하였으나, 아직 구체적인 기준이나 절차, 사업 및 프로그램들이 설정되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확진자 발견과 접촉자 격리 등 차단 중심의 봉쇄전략(1차 예방)에서 지역사회 확산을 지연시키고, 이로 인한 건강피해를 최소화하는 완화전략(2차 예방)의 방향으로 전환해 나가야 할 시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즉, 지역사회 감염 확산이라는 변화된 상황에 맞게 방역의 목표와 전략을 수정해나가야 하며 보건의료정책의 변화를 알고 감염병 예방 및 관리체계를 조사하여 국내 보건의료 정책수립을 위한 제안과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1.2. 감염병 관련 국내외 보건의료 정책변화에 대한 이론적 문헌고찰 내용
전 세계적으로 전염성 질환이 계속 출현하고 사라졌던 질환이 다시 재출현하는 요인 중 국가 간 교역과 여행의 증가로 인한 해외 유입 질환과 2000년 이후 사스와 조류인플루엔자 등 국제적인 수준의 전염병 발생이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전염병은 과거 단순한 질병 역학의 차원을 넘어 국가 경제와 국제 보건의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한국은 '15년 메르스 유행 이후, 감염병 대응연구비가 확보되어 연구가 추진되었으나, 보다 선제적이고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며 최근 코로나바이러스 COVID-19의 유행으로 인해 국가의 감염병 대응에 필요한 연구가 그 어느 때 보다도 중요한 시점이다. 이들은 감염경로가 밝혀지지 않고 있어 '...
참고 자료
매일경제. (2018). 저출산에 신음하는 이탈리아 '셋째아이 낳으면 농지 무상 제공, retrieved from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18/11/685
046/
이재준. (2019). 고령화 사회, 경제성장 전망과 대응방향. KDI 정책포럼, 제273호, p. 2.
최광민. (2019. 5. 14.). 캠브리지컨설턴트, 다양한 산업에서 AI기술을 적용한 사례 소개. 인공지능신문, http://www.ai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
0=1377204 %.
황인창. (2018). 인구고령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KIRI보험연구원 해외 학술연구 분석. retrieved from http://www.kini.or.kr/pdf/%EC%A0%84% EB%
AC%B8%EC%9%90%EB%A3%8C/KIRI_20180824_115217.pdf
Charlton. (2018). Students in Milan are moving in with the elderly to fight loneliness and save money. retrieved from, https://www.weforum.org/agenda/2018/11/why-some-students-in-milan-are-moving-in-with-elderly-people/
Foster. (2018). Aging Japan: Robots may have role in future of elder care. retrieved from https://www.reuters.com/article/us-japan-ageing-ro
bots-widerimage/aging-japan-robots-may-have-role-in-future-of-elder-care-idUSKBN1H33AB
2020년도 감염병관리사업지침/질병관리본부 http://www.cdc.go.kr/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대한감염학회 www.ksid.or.kr
찾기 쉬운 생활법령 정보 http://easylaw.go.kr/CSP/Main.laf
KCDC E형 간염 예방수칙 안내 https://www.cdc.go.kr
최연희 외 공저,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 2, 수문사, 2017
2020년 보건복지부 업무계획 – 따뜻한 복지, 건강한 미래 http://www.mohw.go.kr
보건복지부(2021), 2021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안내[신체활동]
윤종률(2016), 노인의료 관련 정책수립에서 고려해야 할 노인의료의 특성,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정책동향 10권 3호]
유해영(2021), 노인간호학, 현문사
영도구보건소 >보건사업>통합건강증진사업
https://www.yeongdo.go.kr/health/01568/01575/03587.web
광주시보건소 >보건*위생 >보건사업 >건강증진> 노인건강증진사업
https://www.gjcity.go.kr/depart/contents.do?mId=0805010600
하남시보건소> 보건사업> 건강증진 사업> 노인건강증진사업> 시니어 운동교실
https://www.hanam.go.kr/health/contents.do?key=923